키르케
매들린 밀러 지음, 이은선 옮김 / 이봄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여성이란 존재로 나타나는 등장인물들의 활약은 남성 신에 비해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경우가 드물다.

 

더군다나 키르케라는 마녀에 대한 존재감은 호메로스의 또 다른 걸작 [오디세이아]에서 잠깐 스치고 지나가는 인물이기에 저자가 본격적으로 이 등장인물에 대해 다뤘다는 점은 소설에서 주는 재미와 상상력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이점을 제대로 느끼게 해 준다.

 

 

신화에서 나오는 태생의 족보들은 여전히 어지럽고 혼란스럽다.

표를 그려가며 짚어가는 뿌리의 근원의 발원지를 더듬어가며 읽는 수고를 더하게 되지만 그 나름대로의 신들도 이런 면이 있었구나 하는 것을 느끼며 키르케의 삶을 들여다본다.

 

태양신 헬리오스와 님프 사이에서 태어난 키르케는 그리스 신화에서 마녀로, 특히 주술에 능한 대명사로 알려져 있다.

 

어릴 때부터 인간의 목소리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매(hawk)라는 뜻의 키르케라고 불리는 그녀는 아버지의 빛나는 강력함과 님프인 엄마 사이에서조차도 특별한 아이로 기억되지 않는다.

 

그러던 그녀가 인간 어부 글라우코스를 만나고 그를 도우면서 인간의 세계의 삶을 함께 하며 그와 사랑에 빠지는데 그와 영원함을 이루고자 그를 신으로 만들어 버린다.

 

함께하길 원했기에 행할 수 있었던 독자적인 판단의 결과는 그가 다른 님프들에게 눈을 돌리면서 배신감을 맛보는 첫 번째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그를 유혹하는 스킬라에 대한 분노는 자신이 스스로도 느끼지 못했던 마법을 부림으로써 추악한 괴물로 만들어버린 사건으로  이후 아버지와 제우스 간의 합의로 유배지 생활을 하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헤르메스에 의해 자신이 유배된 곳이 아아아이에란 사실을 알게 되는 그녀는 그곳에서 스스로의 자립과 고립된 외로운 생활, 의지를 갖고 마법의 세계를 연마하는 생활로 지낸다.

 

 

 

 

그런 그녀에게 헤르메스와의 인연, 그 이후 여동생 파시파에의 명을 받은 다이달로스와의 만남, 그의 이카루스, 그 뒤를 이어 미노타우로스의 탄생을 돕고 자신의 조카 메데이와 이아손의 사연들을 거치면서 인간들의 등장을 맞기까지 그녀의 일생에 긴장감의 고조는 연이어 이어진다.

 

 

그냥 마녀라고 알고 있었던 그녀에 대한 인생 이야기는 짧은 등장 속에 저자의 상상력이 더해짐으로써 그녀가 왜 인간들, 특히 남성들을 돼지로 만들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설득력을 지니게 한다.

 

고립된 섬에서 로빈슨 크루소우처럼 자립의 생활을 이어가던 그녀가 식량을 주고 아픈 상처를 보듬어준 인간 남자들에게 당한 배신감의 아픔은 그녀의 입장에서 느끼는 두 번째 배신이자  살려주고 죽이는 기준이 자신의 살갗이 아직 내 것인지 증명하는 방법 중 하나라는 설정은 연민마저 불러일으킨다.

 

 

*****

나는 평생 혼자였다. 아이에테스, 글라우코스는 내 기나긴 고독의 쉼표에 불과했다 (144쪽)

 

 

신도 아니고 인간도 아닌 하급 님프 출신인 중간자적인 입장에서 섰던, 남성이었다면 조금은 훨씬 편안했을까를 생각해보기도 한 여성이란 신분과 자신의 의지를 이어가는 모습들이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그런가 하면 오디세우스가  트로이 전쟁의 이야기 속에 자신의 유리한 위치에서 들려주는 무용담 속 헬레나에 대한 평가를 통해 '너하고 다르지 않은 여자구나'라고 생각하는 장면은 인간의 얄팍한 존재감에 대한 위선을 꼬집기도 한다.

 

또한  엄마로서의 존재감을 부각하는 장면은 신, 인간, 님프의 그 모든 경계를 허물만큼 강한 모성애를 드러낸 장면이 아닌가 싶다.

 

자신의 유일한 혈육인 아들을 아테네로부터 지키기 위해 살아온 세월은 아들이 아버지를 그리는 장면에선 연약하고 나약한 존재인 엄마로서 비칠 뿐 강력한 마법의 주술이 통하지 않는 진한 감동을 선사한다.

 

신화 속에 담긴  여러 이야기들 속에 키르케란 인물이 차지하는 존재감은 이 작품으로 그동안 알려져 있지 않은 존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느껴보게 한 작품이었다.

 

신들과도 함께 지내고 인간들과도 함께 지내면서 그녀 스스로 자신의 인생을 헤쳐나가는 모습은 강한 힘을 발산하는 영웅담을 지닌 영웅 못지않은 매력을 발산하도록 저자의 생생한 영감이 큰 힘을 발휘하지 않았나 싶다.

 

이 책의 전체적으로 흐르는 강한 여성의 삶을 이어나가는 데에 필요한 의지력은 그 어떤 어려운 운명 앞에서도 꿋꿋이 견디며 행복한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여성상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강한 인상을 심어준 책이다.

 

 

곳곳에 문장 속에 담긴 내용들은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데에 부족함이 없는 한동안 키르케란 인물에 빠져 살 것 같다.

 

 

 

 *****
인간의 삶에 반드시란 없다, 죽음 말고는.(362쪽)

 

*****

 예전에는 신이 죽음의 반대말이라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그 무엇보다 죽은 존재라고 생각한다. 바뀌지도 않고, 손에 쥘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지 않은가.
나는 평생 전진한 끝에 지금 이 자리에 왔다. 인간의 목소리를 가졌으니 그 나머지까지 가져보자. 나는 찰랑거리는 사발을 입술에 대고 마신다. (50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