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하기 때문에
기욤 뮈소 지음, 전미연 옮김 / 밝은세상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영화처럼 플래쉬백의 느낌을 충분히 느끼면서 읽게 되는 작가, 기욤 뮈소의 작품이다.
이번 작품 또한 '상처'와 사랑' 그리고 '용서', '치유'에 대한 이야기를 그만의 장점으로 그려놓는다.
여러 등장인물들이 각기 가진 사연 속에 담긴 인생 이야기는 어떻게 이들이 연관되어 이루어지고 결말을 맺게 되는지, 첫 장을 펼친 순간부터 바로 빠져들게 된다.
할렘가 출신으로 정신과 의사로 성공한 마크는 바이올리니스트인 아내 니콜과 함께 단란한 삶을 살고 있었지만 어느 날 5살짜리 딸 '라일라'를 잃으면서 나락으로 떨어진다.
이제는 과거는 잊고 새로운 출발을 원하는 아내의 바람과는 달리 그는 딸의 존재에 대한 그리움, 자책감 때문에 방황하게 되고 급기야는 노숙자로서의 삶을 살아가기도 하는 남자다.
여기에 어린 시절 같이 보낸, 그의 모든 성장과정을 알고 있는 친구이자 신경정신과 의사 커너, 억만장자의 상속녀지만 매스컴에 오르내리는 앨리슨, 단 하나의 유일한 가족인 엄마의 죽음이 억울하게 벌어졌다는 생각에 복수를 꿈꾸는 '에비'라는 소녀가 서로 연관이 되면서 진행이 된다.
누구나 살아가면서 가슴에 큰 상처를 입고 살아가는 경우가 있다.
그것이 자의든 타의든 간에 이미 벌어진 일에 대한 결과에 대해 부모로서 느끼는 자책감과 괴리감에 대한 감정들 외에 자신의 이런 힘든 일을 겪게 만든 상대를 용서하는 과정은 참으로 힘들다.
책에서 보인 등장인물들의 연관은 이렇듯 알게 모르게 이어지면서 그들이 자신에게 저지른 일들에 대해 진정한 용서가 이루어지고 그 이후 비로소 자신의 마음의 평온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는 과정을 그린 내용은 저자가 그리는 '사랑'에 대한 다양한 감정들을 느껴볼 수 있게 한다.
특히 정신과 치료약을 이용해 과거의 그들이 가졌던 상처에 대한 마음을 치유하는 과정들은 허구이기에 가능한 면이란 생각이 들지만 만일 이러한 약이 실제로 있다면 지금도 마음의 아픈 상처가 있는 사람들에겐 아주 유용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보게 한다.
스스로 자책하며 학대하고 그것만이 최선이란 생각으로 살아갔던 사람들이 서로가 서로의 처지를 바라보고 용서할 때 진정한 자신에게도 상처가 치유된다는 사실을 느끼면서 읽게 되는 책, 여전히 가슴이 따뜻해지는 책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