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를 잘못 예측한 부분도 있고, 요즘의 시각으로 보면 혁명적 감상주의에 빠진 부분도 있었지만 대개는 손을 대지 않았다. 《빨치산의 딸》은 내 소설이라기 보다 소설 형식을 띈 역사서다. 격동의 삶을 살아 온 빨치산이나 90년 당시 변혁 세력의 현실 인식이 잘못된 측면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것 역시 충실하게 기록되야 하고, (....) 이제 와 생각하니 우리에게 ‘사회주의‘는 ‘지금보다 더 나은 무엇‘을 가리키는 추상 명사였다. (...) 역사를 위해 목숨을 걸었고, 독재 정권 하에서 죽음보다 더한 모멸과 시련을 견뎌 온 그 분들이 역사에 바라는 것은 따스한 시선 정도일 것이다. 이 책이 그분들의 쓸쓸한 노년을 비추는 몇 줌의 따스한 시선이라도 만들 수 있으면 좋겠다. (2005년 복간하면서 쓴 작가 서문)
《빨치산의 딸》은 1990년 엄혹한 시기에 발간과 동시에 작가는 불구속 기소되고 출판사 대표는 구속, 당연히 책도 모두 회수되어 읽을 수 없는 책이 되었다. 2005년 필맥에서 복간했다.
프롤로그에 정지아 작가의 성장 과정과 부모님이 빨치산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 사실을 삶 속에서 받아들이기까지의 간략한 과정이 나온다. 《아버지의 해방일지》에서 아버지를 추억하는 부분과 겹치는 부분들이 있다.
밝혀지지 않은 자료들도 있겠지만 통상적으로 1945년 일제로부터의 해방부터 한국 전쟁의 개전과 휴전까지의 과정들에 대해 많은 것들이 알려졌다. 《빨치산의 딸》을 읽으면서 이 무렵이면 대략 이랬고, 이런 정세였고, 하는 것들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를테면 6.25가 터졌을 때 드디어 해방이라고 만세를 부르는 빨치산의 모습 바깥에서 그 전쟁이 가져 온 풍경들이 함께 떠 오르는 거 같은. 사회주의와 김일성이 동의어였던 당시의 인식이 얼마나 잘못 된 것인지도 우리는 안다. 북쪽이 밀리는 전쟁 말미의 급박한 와중에도 박헌영과 그와 가까운 이들을 미제의 간첩이라고 숙청했을 때, 김일성은 기왕에 가졌던 삼팔선 이북이라도 잃어버리지 말아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을 것이다. 이후, 남한 정권도 오랫동안 사상의 자유를 억압하며 많은 억울한 죽음을 만들어냈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빨치산이 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그들 모두는 민중들이 배 곯지 않고 억울하게 맞아죽지 않고 자유롭고 평등한 세상을 만들고 싶어했다. 시대에 따라 구체적인 요구가 조금씩 달라진다 한들 좋은 세상을 만들고 싶은 그 마음은 지금이라고 다르지 않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