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는 좀 바빴다. 이런저런 일들을 처리하면서 숙제도 해야했기 때문이다.

지난 주말에 친정에 다녀오면서 아버지가 텃밭 농사로 지은 이런저런 수확물들을 얻어왔다. 그 가운데 말린 토란대가 있었다. 토란대 볶음을 해 보기는 했다. 일상에서 해 먹은 건 아니고 제사 때 이미 준비 된 재료를 볶기만 했다. 말린 토란대를 삶는 거부터 모든 과정을 다 해 보진 않았다. 그래도 뭐, 해 보기로 했다. 아, 결코 만만한 게 아니었다.

말린 토란대는 물에 불리면서 특유의 아린 맛을 빼야한다. 인터넷을 뒤졌다. 삼십분 불린 이부터 세시간 불린 이까지 다양했다. 그 글을 쓴 이들은 모두 한번 먹을 양만큼 구입해서 한 거라 양이 적었다. 나는 과감하게 아예 하루를 불리기로 했다. 큰 대야에 토란대를 담고 물을 부었다. 물을 갈아주면서 하루를 꼬박 불렸다. 고무 장갑을 끼고 치대가면서 빨고 쌀뜨물에 넣어 삶기 시작했다. 주걱으로 저어가면서 삶는데 솥이 작았나보다. 토란대가 자꾸 부풀어오른다. 이래선 안 되겠다 싶어 비슷한 솥 하나를 더 해서 두 솥에 나누어서 삶기 시작했다. 인터넷에는 10분 삶았다는 이도 있었지만 삼십분을 삶았다. 먹어보니 질기진 않은데 목구멍으로 넘어 갈 때 살짝 아린 맛이 남았다. 삶은 토란대를 건져내어 찬물에 여러 번 헹구고 다시 하루를 담가 두었다.

사흘째 되는 날, 드디어 건져내어 물기를 꼭 짜고 4센티 길이로 썰고 금방 먹을만큼만 덜어내고 봉지봉지 담아서 냉동실에 넣었다. 드디어 토란대 나물 볶음을 한다. 우선, 들기름을 둘러 볶다가 물을 붓고 뚜껑을 덮고 잠시 끓인다. 이 때 다시마 육수를 넣기도 한다지만 나는 새우살을 넣을거라 그냥 물을 부었다. 보글보글 익어 갈 때 새우살을 넣고 국간장과 액젓으로 간을 맞춘 다음 불을 끄고 잠시 두었다. 들깨와 잘 어울리는데 들깨가루가 없어서 생략.

다 쓰고 다시 읽어보니 장황하다. 나로서는 이게 어쩌다 한 번 겪는 일이지만 우리 어머니 세대만 해도 이런 일들이 일상이었다. 결혼 초에 시댁에 가면 마당에 굴이 가득 쌓여있었다. 며느리들이 둘러 앉아서 굴을 깠다. 금방 깐 굴은 싱싱하고 맛 있었다. 밭에서 시금치를 캐다가 다듬어서 나물을 하고, 여름에는 상추를 뜯어다가 밥상을 차렸다. 도시에서 자란 나에게는 신기하고 즐거운 경험이었다.

이번에 토란대 삶고 불리고 볶으면서 어머니들, 그 윗대 윗대의 어머니들을 생각했다. 부엌을 벗어나지 못 하는 가운데 책 한 줄 읽는 일도 쉬운 일이 아니었겠지. 어느 작가는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했다는데. 지금 핵가족 살림도 각종 기계의 도움을 받아도 힘든데 절차복잡한 살림을 살면서 지적 성취를 이룬다는 건 얼마나 엄청난 일이었을까?

귀한 기록을 남긴 선배들도 감사하고 역사에 기록을 남기지 못 한 숱한 어머니들께도 감사하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10-21 10: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호우 2022-10-21 11:05   좋아요 2 | URL
맛은 있습니다. 하느라 들인 시간덕분에 더 맛있는 거 같아요^^;;

프레이야 2022-10-21 12:5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어머니들 참 손 많이 가는 일들 하시면서 가족 먹는 모습에 흐뭇해 하고 고생하셨습니다.
저는 토란대를 시어머니가 쇠고기국에 넣어 끓이는 거 보고 처음 알았어요. 나물도 맛나겠어요. 건강밥상입니다. 레시피 잘 읽고 가요. 해먹어봐야겠어요. ^^

호우 2022-10-21 15:12   좋아요 2 | URL
그런 거 같아요. 예전에는 식구들도 많았는데 어떻게 다 해 내셨나 모르겠어요. 이 나이 되어보니 어머니들 노고를 알겠어요. 쇠고기국에 토란대 들어가면 맛나지요. 프레이야님, 건강한 주말 되세요~~^^

mini74 2022-10-21 14:0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릴 때 토란국 좋아했어요. 감자처럼 생겼었는데. 저희 엄마도 토란대 듬뿍 넣어 소고기국 끓여주셨어요 ~ 그죠 예전 음식들은 품이 많이 가죠 ~군침돕니다 호우님 *^^*

호우 2022-10-21 15:22   좋아요 1 | URL
토란국 구수하고 맛있지요. 그러게요. 예전 음식들이 참 품이 많이 가지요. 해 놓고 보면 뿌듯하고 좋은데 ㅎㅎ 미니님, 행복한 주말 되세요~~^^

바람돌이 2022-10-21 16:1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와 토란나물을 하려면 저렇게 엄청난 과정을 거처야 하는거군요.
우리나라 음식들 진짜 손 많이 가요. 심지어 다양하기는 엄청 다양해. 덕분에 설겆이도 너무 많아.
호우님 맛난 토란나물을 보면서 왜 저는 울컥하는건가요. ㅠ.ㅠ

호우 2022-10-21 20:39   좋아요 1 | URL
그렇죠. 저도 전 단계가 그렇게 힘들 줄은 몰랐어요. ㅠㅠ 우리 나라 음식이 좀 그런 면이 있죠. 제대로 차려먹을려면 너무 힘들고. 설거지 진짜. 요리하는 건 또 괜찮은데 설거지는 참 귀찮죠. 도를 닦으러 산으로 갈 필요가 없어요. 살림살이가 다 수행이라. -_-;; 바람돌이님, 편안한 주말되세요~~토닥토닥.

희선 2022-10-22 00:5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걸으면서 연잎처럼 보이는 거 보고 저게 토란이던가 했네요 토란대도 먹는군요 토란도 별로 안 먹어봤지만, 토란대는 한번도 안 먹어봤습니다 그런 거 먹으려면 여러 가지 해야 하는군요 그렇게 해서 나물하면 맛있겠습니다 몸에 좋은 반찬일 것 같네요


희선

호우 2022-10-22 07:41   좋아요 1 | URL
반가워요, 희선님^^ 토란대 나물 맛있어요. 기회가 되면 꼭 드셔보세요. 편안한 주말 되세요~~^^

서니데이 2022-10-22 19:4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마른 토란대도 아린 맛이 있어서 한참 물에 우려내야 한다고 들었는데, 손이 많이 가서 저희집은 자주 먹지 못하는 음식이예요. 그렇지만 토란대 나물이 맛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호우님, 주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 낮에는 날씨가 좋은 편이었는데, 밤이 되니 차가워지네요.
편안한 주말 보내세요.^^

호우 2022-10-22 20:29   좋아요 2 | URL
그러네요. 추워지는군요. 내일은 화창했으면 좋겠어요^^ 서니데이님, 따뜻한 밤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