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에게 보내는 편지
대니얼 고틀립 지음, 이문재.김명희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활짝 웃고 있는 할아버지와 그에게 기대어 있는 손자의 행복한 미소가 보인다.
상반신, 아니 얼굴과 어깨까지만 그려진 이들의 모습에서 우리는 그저 행복한

할아버지와 손자려니 하고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그들의 사정을 알고 나면 다시

한 번 눈을 크게 뜨고 살펴보게 된다. 그렇다. 할아버지는 전신마비로 전혀

움직일 수 없는 장애인이며 손자 역시 정신병 중에 하나인 자폐증을 앓고 있다.

나와는 조금 다른 사람. 겪어 본 적이 없어 어찌 대해야 할지 몰라 당황하게 만드는 그런 상황.

혼자서 안절부절 못하는 나에게 지은이이자 주인공인 대니얼 할아버지는 손자 샘에게 차근차근

이야기해주 듯 상냥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신다.

 

 나는 불행하게도 할아버지가 없다. 젊어서부터 홀로 되신 할머니는 어렵사리

아들 둘을 키우셨고 그중 큰 아들인 우리 아빠에게서 첫 번째 자식인 내가 태어

났을 때 너무나 많이 우셨다고 한다. 처음 보는 손주에게 무엇이든 안 해주고 싶으셨을까...

그런 할머니와 함께 지낸 어린 시절은 즐거웠다. 늘 아빠다리를 하시고는 그 위에 나를 앉히시고

아기돼지 삼형제와 같은 동화책을 읽어주시거나 할머니가 세상을 살아오신 이야기와 앞으로 살아

가면서 어떤 일들을 피해야 하는지 알려 주셨다. 마치 샘과 그의 할아버지가 그렇듯 말이다. 다 커

버려서 무뚝뚝해져버린 나 때문에 얼마나 서운하셨을지 생각하면 죄송한 마음뿐이다. 나는 샘과

대니얼 할아버지를 통해 나와 할머니의 거리감 없이 즐거웠던 시절을 되새겨본다. 

 할아버지는 샘이 앞으로 겪게 될 많은 일들과 손자가 그것을 과연 어떻게 극복할지에 대한 걱정으

로 고민하다가 자신의 이야기를 편지로 전하고자 한다. 전신마비로써 겪어야 했던 고통들...

그리고 그 어려움을 자신이 어떻게 이겨 냈는지를. 그리고 자폐증을 가진 샘이 스스로 만든 감옥

안에 갇히게 될까 두려워 남과 다르다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다르다고 생각하는 것이 문제라는 것

을 알려준다. 세상의 많은 할아버지들이 손자를 너무나 아끼고 사랑하겠지만 대니얼 할아버지만큼

자신의 손자를 생각한 사람은 많지 않을 것 같다. 손자 샘이 태어난 이후 4년이 넘는 시간동안 쓴

편지는 한 장 한 장 너무나 소중해서 마치 보석과도 같다.

 반복되는 패턴과 말투는 읽는 이로 하여금 약간의 지루함을 느끼게 할 수 있으나

더디 읽힌다고 생각하면서도 어느새 책을 다 읽은 자신을 보게 된다. 편지 속에 숨겨져 있는 우화

들과  할아버지의 사랑이 나를 그 속에 쏘옥 빠지게 만들어 벼렸으니 시간이 빨리 가는 지도 몰랐

던 것이다. 이 책의 가장 큰 힘은 온 정성을 다해 손자를 사랑한 할아버지의 그 마음이 고스란히 전

해진다는 것이다.  나에겐 너무나 나를 사랑해 주시는 할머니가 있기에 다행이란 생각이 든다. 그

리고 할아버지의 빈자리는 이 책으로 채울까 한다. 부디 대니얼 할아버지와 손자 샘이 항상 행복하

기를... 그리고 많은 이들이 이 책을 통해서 나와 같은 따스함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