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만큼의 애정
시라이시 가즈후미 지음, 노재명 옮김 / 다산책방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요즘 서점에 가보면 많은 일본서적들을 만날 수가 있다. 아니, 거의 출판업계를 장악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불과 몇 년 전만해도 간간히 만날 수 있던 일본 작품들은 이제 한국 작품들이 위협을 느낄 정도로 강하게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하고 둥지를 틀고 있다. 한국 문학들을 우선으로 읽어야지 하는 바람이 무색하게도 나 역시 일본 소설들을 많이 읽는다. 에쿠니 가오리의 침착함과 요시모토 바나나의 몽환적 매력에 취하고 오쿠다 히데오의 재치와 큰 웃음에 정신없이 즐거워하다가 가네시로 가즈키의 소설 속 주인공 박순신에게 알 수 없는 애정과 민족애를 느끼기도 하고 히가시노 게이고의 치밀함에 혀를 내두른다. 일본 문학에 자꾸만 손이 가는 이유는 그들이 가진 독특한 아우라 때문이다. 그것이 무엇인지 꼭 집어 설명할 수 없어 답답하지만, 일단 일본 소설은 아주 읽기가 편안하다. 책장이 술술 넘어가서고 깊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해야 할까? 그냥 머리로 생각하기 이전에 쉽게 이해하고 넘어가 버리는 것 같다. 때문에 일본 소설들을 읽으면서 큰 감동을 받았거나 눈물을 흘렸던 기억은 많지 않다. (아... 물론 정말 좋은 작품들도 있지만...^^;) 하지만 나오키상이나 러브스토리 대상, 혹은 서점인들이 뽑은 선정도서 1위라는 홍보문구들은 우리가 그들의 책을 한 번 더 들춰 보게 만든다. 혹시 이번에 내가 읽은 [얼마만큼의 애정]이란 책이 수상작이 아닌 최초의 작품이 아닌지 기억을 더듬어본다. 아마 상을 받지 않은 작품도 읽기야 읽었겠지만 왠지 이 소설이 처음이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결국 이 말을 하고 싶어 이렇게 말이 길어진 건지도 모르겠다.

 역자이신 노재명님도 번역후기에 말씀하신 바이지만 이 책의 저자 시라이시 가즈후미는 우리나라에 거의 알려지지 않은 작가이다. 그렇기에 그와의 첫 만남은 꽤나 인상 깊었다고 할 수 있다. 왠지 모를 무거운 공기가 가득 차 가슴을 벅차오르게 하는 기분, 잔잔한 호수에 날아든 하나의 돌이 긴장감의 물보라를 일으키다가 이내 다시 잔잔해지는 그런 기분, 평온한 전개가 오히려 특별하게 느껴지는 그런 책이었다.

 작가가 이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사랑에 대한 자신의 생각인 듯 했다.
사람이 시력을 잃고 서야 실명의 공포에서 해방될 수 있듯이 정작 사랑도 헤어짐 후에 그 사람을 잃을까 두려웠던 마음을 던져버릴 수 있다는 것. 불안이라는 감정이 사람을 초조하게 만들기에 그 불안을 이길 수 있는 방법은 다 잃는 것 밖에 없다는 논리였다. 허나 저자는 여기서 사랑의 의미를 끝내지 않는다. 그는 상대와 이별을 하게 되더라도 서로를 생각하는 마음만 있다만 사랑이 지속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주인공들이 헤어져야 했던 이유가 우리들이 흔히 드라마에서 볼 수 있는 상대의 행복을 위해 떠난다는 그런 이유였지만... 왠지 가슴이 따뜻해졌다. 나는 그런 사랑은 바보 같은 사랑이라고 생각했었다. 사랑하면 옆에 있고 어려워도 함께해야 맞는 것 아닌가... 한편 책 속의 도인 키즈선생은 주인공들이 사랑은 했지만 결국은 헤어지고 싶었기 때문에 헤어진 것이라고 말한다. 어떠한 이유와 압력을 받았던 지에 상관없이 결국은 두 사람이 헤어져야겠다고 생각하고 이별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라고... 그 헤어짐은 아키라의 위대한 사랑 때문이긴 했지만 말이다... 키즈선생은 마사히라의 5년 전 헤어짐이 누구의 탓도 아닌 마사히라와 아키라의 의지였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싶어 한 것 같다. 그리고 다시 시작하는 것 역시 그들의 의지로 가능하다는 것을...

 혹여 스포일러가 되기는 싫어서 책의 내용을 많이 적지는 않았다. 책을 읽으면서 사랑이라는 감정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보았다. 그리 길지 않은 인생동안 경험한 나의 사랑은 어땠던가?... 나는 상대방을 위해 이별을 결심해야 하는 경우는 없었던 거 같다. 무참히 헤어짐 통보를 받을 적은 있었지만... 오랜 생각 끝에 사랑에는 여러 가지 모습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때로는 어쩔 수 없이 포기해야할 때도 있다는 사실을 수긍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정말 사랑한다면 그들처럼 5년의 공백을 뒤로하고 다시 한 번 서로에게 손을 내밀 수 있지 않을까? 사랑하는 사람이기에 할 수 있었던 이별과 가슴 속에 온전히 꽁꽁 감추어 두었던 그 마음이 너무나 아름다워 보였다. 아키라와 마사히라의 새로운 시작 속에 헤어짐이라는 단어는 이제 없기를 바라며 새로운 대작가를 만나게 된 기쁨에 잠시 가슴이 떨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