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지프 신화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43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시지프 신화

글쓴이: 알베르 카뮈

옮긴이: 김화영

펴낸 곳: 민음사

 

 

 영화 같은 삶을 살다 간 작가, 알베르 카뮈. 소설 《이방인》과 《페스트》로 수많은 독자의 가슴에 불꽃을 피어오르게 한 노벨 문학상 수상자. 카뮈에 관한 첫인상은 '잘생겼다'였다. 《이방인》과 《페스트》, 클래식 클라우드 《카뮈》를 통해 그에 관해 새록새록 알아가면서 바람 잘 날 없었던 그의 인생과 작품에 담긴 심오한 철학에 한때 심취했었다. 열병처럼 스쳐 간 카뮈 앓이가 아련한 추억이 될 때쯤 언젠가 꼭 읽어보자 생각만 했던 『시지프 신화』를 집어 든 건 카뮈를 향한 그리움 때문이었을까? 부조리와 그에 맞서는 인생의 자세를 논한 철학서. 제목에 속아 재밌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떠올리면 낭패를 볼 작품이니 혹 오해하신 분들이 있다면 꼭 참고하시길!

 

 

 

 

 

참으로 진지한 철학적 문제는 오직 하나뿐이다.

그것은 바로 자살이다.

인생이 살 가치가 있느냐 없느냐를 판단하는 것이야말로 철학의 근본 문제에 답하는 것이다.

민음사, 알베르 카뮈 《시지프 신화》 p15 중에서...

 

 

 

 

 

 카뮈는 이 책의 머리말에서 지금까지는 부조리가 결론으로 간주되어 왔지만, 이 논고에서는 하나의 출발점으로 삼겠다고 말한다. 인간 정신이 앓고 있는 병에 대한 순수한 상태 그대로의 묘사만을 보게 될 것이라고... 과학적, 인식론적 사고는 중요치 않다. 이를 위해 목숨을 버린 사람은 없으므로. 자살을 '사회적 현상'이 아닌 '개인의 생각과 자살의 관계'로 다룬다. 삶을 직시하는 명철한 의식, 즉 생각을 하기 시작하면 인간은 정신적 침식으로 골병이 들기 시작한다. 본래 삶이란 자신의 방식대로 통일되어 있어 '낯익은 세계'지만, 어느 날 문득 환상과 빛을 박탈 당했다는 생각이 들면 자신을 '이방인'이라 느끼며 삶이 낯설어진다. 통일성이 해체되고 이해할 수 없는 상황. 이때 솟아오르는 감정이 바로 '부조리'다.

 

 

 

 

 

부조리(不條理): 명사

1. 이치에 맞지 아니하거나 도리에 어긋남. 또는 그런 일.

2. '부정행위'를 완곡하게 이르는 말.

3. (철학) 인생에서 그 의의를 발견할 가망이 없음을 이르는 말. 인간과 세계, 인생의 의의와 현대 생활과의 불합리한 관계를 나타내는 실존주의적 용어로, 특히 프랑스의 작가 카뮈의 부조리 철학으로 널리 알려졌다.

네이버 국어사전, 표준국어대사전 중에서...

 

 

 

 

 

과연 자살이 어느 정도로 부조리에 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 인생이 살만한 가치가 없다고 생각한 사람들은 두 가지 질문에 도달한다. '희망'과 '자살'. 그렇다면 길은 오직 이 두 갈래 뿐인가? 아니면 그 사이에 머무는 게 가능할까? 부조리한 인간은 자신이 손에 쥔 시간만을 긍정하며 그 속에서 살아간다. 죽음을 인지하므로 부조리에 관한 반항으로 행동의 자유를 획득하고, 끝이 있는 시한부 인생이므로 열정적으로 살아간다. 자기 삶의 다른 가능성을 모두 살고자 하는 인간이 바로 부조리한 인간이다. 긴장 상태에서 버티는 반항이 자유와 열정을 불러오는 셈이다. 이런 부조리한 인간의 표상이 바로 신화 속 인물 시지프다.

 

 

 

 

 

 

 

 

■■■ 시지프(시시포스)는 누구인가?

 

 

그리스로마에서 가장 교활한 인물로 꼽히는 시지프는 코린토스의 왕이었다. 그는 자신의 왕국에 물을 대고 싶은 사사로운 욕심에 제우스의 만행을 실토했고 그 죄로 지옥에 떨어졌다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로는 임종을 앞둔 그가 아내의 사랑을 시험해보려 자신이 죽거든 시신을 매장하고 말고 광장에 버리라고 했다는데... 인간적 사랑에서 한참 어긋난 아내의 복종에 노한 시지프는 아내를 벌하고자 죽음의 신 플루톤에게 간청하여 세상으로 돌아간다. 하지만 지옥으로 돌아가기 싫었던 그는 오래도록 세상에 머물다가 결국 강제로 끌려가 지옥에서 끊임없이 돌을 들어 올리는 형벌에 처하게 된다.

 

 

 

■■■ 시지프는 왜 부조리한 인간의 표상인가?

 

 

분노한 신들은 시지프에게 바위를 산꼭대기까지 끊임없이 굴려 올리는 형별을 내린다. 아무 소용없고 희망 없는 노동이야 말로 가장 끔찍한 형벌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런 묵묵한 형별을 감내하는 것은 부조리한 삶에 대한 시지프의 반항이다. 그는 바위를 떨어뜨리고 산을 내려올 때마다 기쁨을 느낀다. 고생 끝에 찾아오는 휴지의 시간. 곧 바위를 다시 짊어져야 하지만, 그는 가혹한 운명 속에서도 찰나의 자유를 만끽한다. 아무리 부조리한 일일지라도 시지프는 운명에 맞서며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다. 어쩌면 그는 지금 이 순간에도 바위를 짊어지고 있을지 모른다.

 

 

 

■■■ 짧은 감상

 

 

아무래도 철학 에세이이다 보니 읽는 게 쉽지는 않았다. 일단 '부조리'라는 단어에서 느껴지는 괴리감이 상당했고, 과연 카뮈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싶은 것일까 처음엔 갈피를 잡지 못하고 빙빙 겉돌았다. 아직 고전과 철학 근육이 많이 붙지 않을 터라 공부하는 마음으로 읽었던 책. 카뮈가 말하는 철학적 의미의 '부조리'를 이해한 순간부터 흐름에 따라 그가 하고자 하는 말을 어느 정도 받아들일 수 있었다. 부조리한 세계 앞에 선 인간의 세 가지 선택지인 자살, 희망, 반항 중에 우리가 택해야 할 길은 반항이라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 반항이 자유와 열정으로 이어진다는 결과도 만족. 우리는 어쩌면 매일 똑같이 굴러가는 인생의 굴레 속에서 시지프처럼 바위를 들어 올리고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 속엔 분명 우리를 미소 짓게 하는 기쁨과 행복이 있고 그래서 우리는 또 내일을 향해 달려간다. 카뮈가 전하고자 했던 바를 완벽하게 이해한 건 아니니, 시간이 날 때마다 다시 읽어 보며 그의 철학을 더 깊이 사유해볼 생각이다. 알베르 카뮈의 《시지프 신화》와 함께한 시간은 조금 힘들었지만 뜻깊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