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괴물 백과 - 신화와 전설 속 110가지 괴물 이야기
류싱 지음, 이지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세계 괴물 백과

지은이: 류싱

옮긴이: 이지희

펴낸 곳: 현대지성




눈이 마주친 사람을 돌로 만들어 버린다는 메두사, 보름달이 뜨면 처절하게 울부짖으며 변신하는 늑대인간, 아름다운 목소리로 선원을 홀려 잡아먹는 세이렌... 어린 시절 읽었던 동화부터 성인이 되어 읽은 각종 신화와 고전에서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다채로운 괴물들! 하지만 세월이란 파도에 쓸려 기억 저 멀리 가버린 것인지 생각나는 괴물은 손에 꼽을 정도인 듯하다. 괴물은 다양한 장르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글감이자,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다른 세상을 경험하게 해주는 신비로운 존재다. 신화와 전설 속에서 만났던 그 괴물 이야기를 체계적으로 나누어 한눈에 볼 수 있다면 어떨까? 상상만 해도 흥분되는 괴물 모음집이 내 눈앞에 나타난다면? 이건 꿈이 아닌 현실이다. 신문학을 전공한 작가 류싱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여러 민간 문화와 그 사유체계를 탐색한 결과를 한데 모은 책 『세계 괴물 백과』. 이 신비로운 책에서 그 어디에서도 경험할 수 없었던 기이한 괴물들의 향연이 펼쳐진다!










'고대 근동 신화, 이집트 신화, 그리스 신화, 종교 전설, 동방 여러 민족 전설, 유럽의 전설과 괴이한 일' 편으로 나뉘어 듣지도 보지도 못했던 신비로운 괴물의 이야기가 촘촘하게 박혀 있다. '고대 근동 신화'의 경우 기원전 혹은 초기 고대 문명 시절의 괴물 이야기라 '이게 대체 뭐야?'라며 물과 기름처럼 몰입하지 못했다. (현대인의 눈에는 너무 신비로웠기에...) 이집트 신화로 들어서자 그나마 눈에 익은 존재들이 속속 등장! 갯과 동물의 머리가 달린 사람의 모습을 한 아누비스, 사람 머리를 가진 새 '바'. 이집트 신화는 나름 잘 안다고 생각했는데 여전히 처음 보는 괴물들이 즐비했다. 그리스 신화 편은 그래도 제법 친숙했지만... 상체는 말, 하체는 바다 괴물인 히포캄포스? 맙소사. 그리스 신화를 몇 번이고 읽었건만 너는 누구냐! 종교 전설 편에서는 성경이나 다른 종교의 경전에 이토록 해괴한 괴물이 많이 등장했다니 충격이었다. 가장 무시무시했던 괴물은 헬 마우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지옥으로 가는 문'을 뜻하며, 새로운 영혼이 고통 가득한 지옥으로 떨어지기만을 기다리는 두려운 존재다. 동방 여러 민족 전설 편을 지나 유럽의 전설 편의 시작은 유니콘이다. 아, 반가운 존재! 아이를 괴롭히는 악마 크람푸스는 정말 비호감! 괴물에게 잘생기기를 기대해서는 안 되겠지만, 그래도 좀 호감형일 수는 없겠니?










'괴물'이라는 단어에서 풍기는 이미지는 상당히 부정적이다. 인간을 고통스럽게 괴롭히거나 잡아먹는 무서운 존재. 대체로 그런 사악한 괴물인 경우가 많지만 아시리아 신화에 등장하는 수호신 '라마수'나 신비롭고 성스러운 영물로 자리 잡은 '유니콘'처럼 특별한 존재도 꽤 있었다. 어느덧 동심으로 돌아가 책에 푹 빠져 괴물의 생김새를 상상하며, 각 이야기 시작 부분에 정성스레 실어 놓은 사진과 그림 자료로 상상했던 모습이 맞는지 확인해보곤 했다. 눈을 뗄 수 없는 괴물들의 모습에 뒤로 갔다가 앞으로 돌아가기를 여러 번. 이 책 『세계 괴물 백과』를 만나기 전까지 나는 대체 무엇을 알았던 걸까? 세상에 이토록 많은 괴물이 있을 줄이야! 현실에서는 만나기 싫은 존재들이지만, 어쩐지 마음이 끌려 손에 붙들고 한참 읽었던 괴물 이야기. 이 책에 미처 실리지 못한 괴물이 꽤 있겠지만, 이 정도만 알아도 괴물 박사 수준이 아닐까 싶다. 전래동화보다 재밌고 신화보다 더 신비로웠던 괴물과의 만남. 상상력을 무한대로 채웠으니 이제 글쓰기 도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