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의 흑역사 - 인간은 입만 열면 거짓말을 한다
톰 필립스 지음, 홍한결 옮김 / 윌북 / 202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 진실의 흑역사

지은이: 톰 필립스

옮긴이: 홍한결

펴낸 곳: 윌북




새빨간 거짓말이 난무하는 이 세상에서 제일가는 거짓말은 무엇일까? 아마도 '나는 태어나서 거짓말이란 걸 해본 적이 없어!', 이 말이 아닐지! 인간은 누구나 거짓말을 한다. 'White lie'라고 불리는 소의 악의 없는 하얀 거짓말도 있다지만, 그래도 거짓은 거짓인 법. 대체 이 거짓말의 기원은 어디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찾을 수 있을지 궁금했던 한 남자가 상당히 흥미로운 조사를 펼치며 책을 냈다.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인류학과 사학, 과학철학을 전공했다는 톰 필립스. 현재는 영국 비영리 팩트체킹 기관 '풀팩트'에서 편집자로 일하고 있다고 하니, 이것이야말로 덕업일치! 근데 이를 어쩌나. 모두 예상했듯이 인류란 날 때부터 툭하면 거짓말을 하고, 속고, 혹 거짓임을 눈치채도 귀찮아서 묵인해왔다. 과연 거짓의 기원을 찾을 수 있을까 싶지만, 톰은 인간이 망쳐온 진실의 흑역사를 집요하고 파고든다. 그가 늘어놓는 언론의 황당한 만행과 이건 '멍멍 개소리'구나 싶은 웃픈 과거의 사건들이 실소를 터트리게 하는 이 책, 신박하다!





거짓말을 하게 되는 경위는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돈과 명예, 그것도 아니라면 천성이 사기꾼인 거라는데... 누군가의 농간에 다 같이 속아 넘어간 경험이 있는 나는 사기꾼이라는 단어가 눈에 띄자마자 가슴이 욱신거리며 그 아줌마를 떠올렸다. 희대의 사기꾼인 그녀. 하여튼 뭐 살면서 안 속아본 사람이 있겠는가. 거짓말의 기원을 찾아 떠난 역사 탐험 중, 신문이라는 대중매체가 생겨난 초창기의 엉망진창 보도는 실소를 터트릴 만큼 황당했다. 벤저민 프랭클린의 날조, 17세기에 신문과 커피하우스가 왕권에 악영향을 초래한다며 견제 대상이었다는 사실. 1830년대 뉴욕에서 《선》지가 유포한 달나라의 신비는 정말 압권이다. 양서류가 공처럼 굴러다니고 염소처럼 생긴 파란색 유니콘이 있으며 구릿빛 털을 가진 박쥐 인간이 은밀한 유희, 즉 섹스를 즐기는 모습을 망원경으로 관찰했다나? 놀랍게도 당시 사람들은 그런 말도 안 되는 사실을 진짜라고 믿었고, 소위 '자발적 기만'으로 그 거짓을 진실로 확고히 하는데 앞장선 멀끔한 신사들도 있었다고 한다. 아이고, 지금이라면 진짜 수갑 철컹철컹할 사기꾼들!









게이츠와 잡스가 오늘날 전 세계의 경영대학원 수업 자료에 꼭 등장하는 이유는 '우긴' 다음에 '되게'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직감적으로 결단을 내렸는데, 실제로 해낸 것! 작가는 이 사례를 통해 '모든 건 결과론적이다'라는 요지를 전한다. 역사에서 '우긴 사람'으로 남을지, '되게 한 사람'으로 남을지는 해보고 나서 나중에야 알 수 있다니... 정말 맞는 말이다. 대체 어떻게 저런 이야기에 속았을까 싶을 정도로 황당했던 지난 거짓말의 역사를 살펴보며, 문득 지금 세상도 그다지 별다르지 않다는 씁쓸한 진실에 도달했던 시간. 황당한 망상이나 남을 해하려는 의도의 거짓말은 죽어도 하지 않겠지만, 원대한 꿈을 품고 '우긴 사람'이 아니라 '되게 한 사람'이 되자는 다짐을 마음에 새겨본다. 같은 문화권의 독자라면 더 재밌게 읽을 책인 듯. 한국판 진실의 흑역사가 나오면 우리에겐 안성맞춤이리라! 하여튼 우리 모두 거짓말하지 말고 착하게 삽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