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 사람은 내현적 나르시시스트입니다 - 수동적으로 공격하는, 보이지 않는 악인들에 대하여
데비 미르자 지음, 김미덕 옮김 / 수오서재 / 2025년 1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210/pimg_7111301704599373.jpg)
더는 나를 의심하지 않기로 했다!
다정함을 가장한 우리 주변의 내현적 나르시시스트의 존재를 감지하게 하는 심리서!
정신분석학적 용어로 나르시시스트는 자기애성 인격 장애를 가진 사람을 일컫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부 자기애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높은 수준의 자아도취 성향을 지녔음은 물론, 공감 능력 부족과 과대망상 등 여러 병리학적인 증세와 문제점을 지닌 것으로 분석된다. 그렇다면 이 책의 제목이 가리키는 ‘내현적 나르시시스트’란 과연 무엇일까?
회복력 코치이자 작가로 오랫동안 정신건강 분야를 연구해온 저자 데비 미르자는 나르시시스트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바로 외현적 나르시시스트와 내현적 나르시시스트다. 외현적 나르시시스트는 말 그대로 눈에 보이고, 자신이 얼마나 대단한지 남들에게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과시하는 유형의 사람이다. 당연하게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유형을 좋아하지 않는다.
반면, 내현적 나르시시스트는 위장을 잘하고 교묘해서 진단하기 어렵다. 외현적 나르시시스트와는 달리 타인의 평판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자신의 나르시시스트 특성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들은 사람들에게 호감을 받고, 매력적이고 친절하며, 겸손하고 공감하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이들은 공감 능력이 없지만 공감적으로 행동하는 방법을 연기한다. 그렇게 오랜 기간 동안 우리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은밀한 전술을 사용하여 관계를 통제하고, 조종하여 장악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210/pimg_711130170459937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210/pimg_7111301704599375.jpg)
“누군가가 은밀하게 공격적일 때,
그들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계산적이고
비밀스러운 수단을 사용하거나
공격적인 의도를 숨긴 채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조작한다.”
- 조지 K. 사이먼, 《양의 탈을 쓰다》 / 40p
『그 사람은 내현적 나르시시스트입니다』는 다정함을 가장한 우리 주변의 내현적 나르시시스트의 존재를 감지하고, 뒤틀리고 혼란스러운 이들과의 관계 속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심리책이다. 연인, 가족, 친구, 직장 내에서 내현적 나르시시스트들에 의해 피해를 입은 이들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타인을 통제하고 조종하는지 정밀하게 살펴본다.
내현적 나르시시스트 파트너가 당신을 대하는 태도가 이제는 당신에게 일상(정상)이어서, 그 태도가 눈에 띄지 않는다. 폄하가 너무나 교묘해 당신은 지속적인 폄하를 깨닫지 못하며, 당신이 느끼는 감정이 학대자와 함께 사는 트라우마의 결과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다. / 53p
나르시시스트는 당신으로 하여금 ‘내가 뭘 잘못했나’ 궁금하게 하려고, 일부러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내현적 나르시시스트는 기분, 시선, 겉으로는 무시하는 것처럼 보이진 않지만 당신 스스로를 나쁘게 느끼게 하는 발언을 통해 당신을 통제하려 한다. 당신은 뭔가 잘못되었다고 느끼지만 나르시시스트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말한다. 폄한 당계에서 피해자는 스스로를 믿지 못하도록 프로그램에 짜맞춰진다.
또한 내현적 나르시시스트는 실제로 그들 자신의 문제인 일을 당신 잘못이라고 생각하게 만들어 당신의 가치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이를 ‘투사’라고 한다. 그들은 자신이 가진 문제를 당신에게 투사하고, 당신은 이를 눈치채지 못한 채 결국 비난받는다. 피해자의 정서적 요구는 내현적 나르시시스트에게 중요하지 않다. 오로지 자신의 욕구, 요구, 우선순위만이 중요하다. / 57p
내현적 나르시시스트들이 지닌 일련의 특징들 속에서 가장 소름끼치는 것은 이들이 ‘두려움’을 상대와 공유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조종한다는 점이다. “당신이 바람을 피울까 두려워.” “당신이 너무 예민해서 걱정 돼.”라는 말로 두려움을 드러내면서 자신이 가진 문제를 도리어 상대에게 투사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것이 워낙 교묘해서 상대가 ‘정말 나한테 문제가 있는 건가’ ‘내가 이 관계를 망치고 있는 것인가’ 하고 자책하게 된다는 데 큰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그들은 우리로 하여금 엄청난 사랑을 받는다고 느끼게 하지만, 동시에 우리 스스로에 대해 끔찍한 감정을 품게 만든다는 것이 괴이하고 섬뜩하다.
여기에 나르시시스트가 부모라면 더더욱 끔찍하다. 부모가 자녀를 위해 도움을 주고 걱정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녀의 의지와 행동을 무시하고 가르치려는 이들의 태도는 자녀가 상황을 해결할 힘이 자신에게는 없다고 믿게 만드는 결과를 낳는다. 그렇게 자신이 일을 잘 못하고 있다는 미묘한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나르시시스트 부모로부터 받다보면 삶에 무기력해지고 두려움을 느끼게 되는 것은 분명한 일이다.
당신이 자신을 탓하게 되는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당신 삶 속에서 만난 내현적 나르시시스트가 끊임없이 당신에게 책임을 돌리거나 암시했기 때문이다. 둘째, 당신은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며, 다른 사람을 비난하고 싶지 않은 자기 성찰적인 성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현적 나르시시스트와 얽혀 일어난 일로 당신이 받는 대우는 결코 당신의 잘못이 아니다. 당신의 아름다운 특성이 착취당하고 해를 입었으며, 자신을 의심하게 만드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 254p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210/pimg_711130170459937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210/pimg_711130170459937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210/pimg_7111301704599378.jpg)
이 책은 내현적 나르시시스트와 얽혀 일어난 일로 당신이 받는 대우는 ‘결코 당신의 잘못이 아니’라고 강조한다. 교묘하게 꾸며진 말들로 인해 너무 많은 비난을 받아왔거나 스스로를 자책했다면 이제는 그들로부터 벗어나 나 자신이 얼마나 특별한지 진실을 들여다보자. 아울러 아무리 노력해도 나아지지 않는 관계가 있다면 그 속에 내현적 나르시시스트가 있지는 않은지 살펴보자. 내현적 나르시시스트들이 의외로 우리 주변에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고 나면, 타인과의 관계에 휘둘리거나 더 이상 자신을 자책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 사회가 내현적 나르시시스트에 대한 진실을 투명하게 들여다보고, 피해자들이 심리적 고통으로부터 보다 자유로워질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았으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