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미술관 - 풍속화와 궁중기록화로 만나는 문화 절정기 조선의 특별한 순간들
탁현규 지음 / 블랙피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의 멋과 정취를 담은 그 시절 진짜’ 조선을 만나다!

작품을 맛있게 설명해주는 고미술계 최고의 해설가와 떠나는 조선 미술 여행!

 

 

 

 

  『조선 미술관은 고미술계 최고의 해설가인 탁현규가 17~18세기 문화 절정기 속 조선의 풍속화와 궁중기록화를 엮어낸 책이다저자는 풍속화가 사생활이라면 기록화는 공공생활이고 풍속화가 드라마라면 기록화는 다큐멘터리라 표현하며시대를 읽어내는 중요한 단서이자 당대의 생활과 문화를 세밀하게 살펴볼 수 있는 사료로 이들의 가치에 주목한다무엇보다 조선의 문화 절정기라 불리는 17~18세기는 중국의 영향에서 벗어나 조선 고유의 색을 문화 전반에 갖추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매우 특별하다놀라운 관찰력과 묘사력을 갖춘 당대의 뛰어난 화가들이 자신의 붓끝으로 담아낸 조선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백성들의 다채로운 일상부터 왕실의 경사스러운 행사까지조선의 멋과 정취를 담은 그 시절 진짜’ 조선을 만나보고 싶다면 이 책을 따라가 보자.

 

 

 

조선의 멋과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아주 특별한 미술관

 

 

  부채를 손에 든 선비가 말고삐를 잡아당겨 말을 멈춰 세운다고개를 왼쪽으로 돌려 버드나무를 바라보니 가지 위해 주황색 새 한 마리가 고개를 쳐들고 울고 있다가만 보니 모든 새들 가운데 울음소리가 가장 아름답다는 꾀꼬리다그러니 아무리 바빠도 걸음을 멈출 수밖에자세히 들여다보면 두 번째 꾀꼬리가 오른쪽 아래 잘린 둥치 위로 고개를 빼꼼히 내놓고 첫 번째 꾀꼬리와 호응하고 있다그야말로 선비에겐 눈 호강귀 호강이 따로 없다하지만 나의 시선을 더욱 사로잡는 것은 아무래도 이 그림의 주인공인 선비다호젓한 강둑 어귀에서 지저귀는 새의 노랫소리에 마음을 뺏긴 선비의 호기심어린 표정과 여유로운 몸가짐이 내 바쁜 마음을 붙들고어쩐지 너 거기서 저 꾀꼬리를 좀 보아라.” 하는 것 같다.

 

 

 


 

 

 

  이렇듯 감상자의 마음까지 단번에 동화시키는 이 풍속화는 단원 김홍도의 <마상청앵>이다말 위에서 꾀꼬리 소리를 듣는 선비의 모습을 이토록 섬세하면서 꾸밈없이 그려낼 수 있다니과연 탁현규 해설가의 말 그대로 평민 풍속의 종결자답다어디 김홍도뿐일까조선의 생각으로 조선의 것을 담고자 한 진경풍속의 창시자 겸재 정선정선의 진경풍속을 이어받은 조영석태평성대 속에서 백성들의 평안한 삶을 담은 단원 김홍도양반들의 놀이 문화를 통해 문화 절정기의 호사스러움과 흥겨움을 담은 양반 풍속의 끝판왕 신윤복까지책은 조선의 문화 자부심을 그대로 보여준 그들의 대표작을 통해 조선의 다양한 풍경 속으로 빠져들게 한 한다여기에 예리한 해석과 유쾌한 입담 친근한 언어는 조선 미술에 대한 진입장벽을 한껏 낮춰준다.

 

 

 

66세 때 그림을 뒤집으면 80세 때 그림 구성이 되는데 이렇게 그림의 좌우를 반전해 또 한 장을 그리는 것은 조선시대 화가들이 즐겨 사용하던 방법이다정선은 80세에 접어들면서 일체의 색을 버리고 수묵으로만 그림을 그렸는데 이 그림 역시 마찬가지다그래서 66세 때 채색화에서는 하얀 눈을 지붕나무돌다리 위에 칠해 넣었지만 80세 때 수묵화에서는 기와지붕 위를 반쯤 비워두어 눈 쌓인 모습을 표현하였다. / <사문탈사>, 정선 40p

 

 

이 그림은 조선판 그것이 알고 싶다라고 부르면 어떨까농어촌 풍속을 담은 그림에서는 노동이 주는 보람을 그려냈다면 이 그림 <밀회투전>에서는 노름 장면을 적나라하게 포착하며 사회의 어두운 면을 드러냈다이렇듯 조선시대 풍속화는 사대부들에게 통치 교과서 역할을 하였다만약 정조 임금이 이 그림을 본다면 일체 노름을 금하라는 엄명을 내리지 않았을까임금이 구중궁궐에서 알기 어려운 백성들의 삶을 화원들이 그린 풍속화로 들여다본다면 정치의 방향을 어느 정도 가늠해볼 수 있었을 것이다. / <밀희투전>, 김득신 53p

 

 

시어머니와 과부 며느리가 계곡에 빨래하러 왔다가 맞닥뜨린 낭패를 신육복은 놓치지 않았다신윤복은 재가가 불가능했던 조선시대 과부들의 삶이 얼마나 신산스러웠는지를 말하고 싶었던 것인지 모른다.

신윤복의 화첩 속에는 또 다른 과부 여인이 봄날 후원에서 개들이 짝짓기하는 모습을 보며 가슴 태우는 장면이 있는데 이 또한 조선에서 과부들이 처한 답답한 상황을 그리고 있다이것이 신윤복 그림 속에 담은 풍자이다서양이건 동양이건 풍자는 풍속화의 중요한 목적 가운데 하나이고 신윤복은 당대 여인들이 처한 상황을 동정하는 눈길로 바라보았다. / <표모봉욕>, 신윤복 101p

 

 

 




 

 

 

 

  풍속화와 더불어 조선인들의 삶을 볼 수 있는 또 다른 그림이 있었는데 이를 기록화라 한다대부분 도화서 화원들이 그린 것으로그 중에 압권은 임금이 등장하는 궁중기록화이며 그 가운데 희귀성이 높은 것은 임금이 기로소(조선 시대에, 70세가 넘는 정이품 이상의 문관들을 예우하기 위하여 설치한 기구-임금은 60)에 들어간 사건을 그린 기사첩이다국왕이 오래 사는 것은 왕조 국가의 가장 큰 경사로문화 절정기 시절 숙종과 영조 임금이 연이어 기로소에 들어가는 모습을 담은 기사첩은 당대 궁중 문화를 생생하게 들여다볼 수 있어 귀중하다개인적으로 영조 시대의 화원과 숙종 시대의 화원들의 솜씨를 비교함으로써 두 시절의 문화 수준 차이를 살펴볼 수 있는 점이 인상적이다.

 

 

 

조선 궁중 행사 그림에서 임금은 그리지 않기 때문에 이때 임금을 상징하는 물건이 일월오봉병이다찬안 위에 술잔을 올리는 이는 사옹원 제조로부터 술잔을 건네받은 내시이다왕세자에게는 부제조가 술잔을 올리고 기로신에게는 집사자가 올린다고 실록에 나와 있다찬안 양쪽에서 푸른 칼집의 장검을 어깨에 메고 있는 이들은 별운검이고 나머지는 내시들이다. 2품 임시직인 별운검은 무반 가운데 임금이 신임하는 자 두 명을 뽑아 임금 자리 양쪽에서 검을 들고 시위하게 하였다. / <경현당석연도> 175p

 

 

그런데 기로신들 관복 등에 흉배 자수가 없다원래 녹포단령에는 흉배 자수가 들어가지만 그림에서 작게 표현하는 것이 여의치 않으니 생략해버린 것이다하지만 숙종대 기해년 화첩 속 녹포단령에는 모두 흉배 자수를 표현했었다이것이 기해년과 갑자년 기사첩의 큰 차이로 세부 표현에서 영조대인 갑자년 화첩이 많이 후퇴하였다그렇다면 그림 솜씨는 영조 시대 화원들보다 숙종 시대 화원들이 더 높았다고 봐야 하는데 이것은 화원들 솜씨만의 문제는 아닐 테고 숙종과 영조 시대 전반의 문화 수준 차이일지 모른다. / <숭정전진하전도> 220p

 

 

 

  단원 김홍도의 <기로세련계도>는 책장을 넘기는 순간 나도 모르게 입으로 탄성을 내뱉은 작품이다. 1804년 9월 9일 송악산 아래 고려 왕궁터인 만월대에서 개성에 사는 칠십 넘은 노인 64명의 경로잔치를 담은 그림이다. 1607년에 한 번 열린 이래 개성 노인들의 기로회는 이백 년 만의 잔치였다고 한다개성 노인들은 이 경사스런 모임을 후대에 전하기 위해 당대 최고 화원인 김홍도에게 그림을 부탁했는데김홍도가 그린 풍속화 가운데 가장 많은 인물이 등장한 것이라 한다정말이지 절경이고 장관이다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심원법을 사용해 기로회에 모인 모든 사람을 담았음에도 불구하고 한 명 한 명의 인물 묘사가 살아 있다그러나 이 그림이 김홍도의 마지막 풍속화가 되었을 뿐 아니라진경풍속화의 대미를 장식함과 동시에 종말을 알리는 기념비 같은 그림이 되고 말았으니 통탄할 일이다. 1806년 김홍도가 생을 마감하고 진경산수화와 풍속화는 역사의 뒤안길로 물러나며 조선화단의 찬란함도 빛을 잃어갔으니 그 안타까움을 이루 말할 수 없다나타나고 사라짐이야 자연스러운 일이겠으나 이 역시 조선의 쇠락과 운명을 같이 할 수밖에 없었던 게 아닐까 싶다.

 

 

 



 

 

 

 

신윤복 화첩 속에서 선비와 기녀가 여러 번 나왔어도 항상 볼썽사나운 모습으로 나온 것은 선비였는데 이 장면에서 그 법칙이 깨지고 말았다더군다나 사대부 여인을 이렇게 민망하게 만들고 말았으니 감정 표현을 더욱 절제할 수밖에 없었던 사대부 여인들의 진솔한 감정을 드러내기 위해 평민 과부가 아닌 양반 과부를 주인공으로 택한 것이 아닐까그러니까 화가는 조선시대 열녀 이데올로기에 과감히 반기를 들었다고 봐야겠다열녀 수절이라는 명분으로 자연스런 욕망을 억압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 극단의 연출을 꾀한 것이다. / <이부탐춘>, 신윤복 107p

 

 

왜 스님들과 절 노비들이 길을 막고 북 치고 목탁 치고 꽹과리 치고 권선문을 내밀고 있는 걸까길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시주를 받아내기 위해서 현재 탁발 공연을 펼치는 중이다그냥 길을 막고 돈 내라고 하면 누가 주머니를 열겠는가예나 지금이나 무언가 보여주어야 사람들은 주머니를 여는 법이다그렇다면 이 장면을 이렇게 불러보면 어떨까? ‘스님들의 버스킹.’ 조선시대 스님들은 길거리에서 탁발해야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으니 수행하랴 탁발하랴 얼마나 힘들었을까이렇듯 신윤복 풍속화는 조선시대 불교계 상황을 정확하게 기록한 좋은 사료가 된다. / <노상탁발>, 신윤복 148p

 

 

 

  서양 미술을 중심으로 한 교양 미술서는 많이 읽어봤지만 조선의 미술을 담은 책은 처음이라 홀린 듯 단숨에 읽어나갔다여러 곳에 포커스를 둠으로써 세밀하게 그림을 관찰할 수 있는 즐거움을 준 것은 물론쉽고 재치 있는 표현으로 작품을 맛있게 설명해준 탁현규 해설가의 안내도 이 책의 큰 묘미 중에 하나다세상에 없는 특별한 조선 미술관에 꼭 한 번 방문해보시길 추천드린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았으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