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밀레니얼 칠드런 - 2014 제8회 블루픽션상 수상작 ㅣ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76
장은선 지음 / 비룡소 / 2014년 11월
평점 :
최근 헝거게임이나 메이즈러너 같은 디스토피아 영화나 소설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예전에는 그저 먼 미래의 이야기
상상력이 극대화 된 현실과 동떨어진 이야기로만 느껴지던 그것들이
이제는 그래.... 이렇게 될지도 몰라... 아주 아니다라고 얘기할수 없잖아 라는 생각을 갖게 만들 정도로
점점 세상은 무섭고도 두려운 상황으로 치닫고 어둡게 변해가고 있다
이 이야기는 그 멀고도 멀지 않은 미래에 대한 이야기 이다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노화로 인한 죽음이란걸 기대할수 없게 된 세상.
태어나는 아이들은 많지만 죽는 사람은 없다. 세상은 곧 포화상태에 이르게 되고 산아제한 정책도 모자라
아이들을 낳는 것도 부가 뒷받침되야 가능한 세상에서
어려운 사정의 부모들에게 태어나 버려지고 숨겨지는 아이들은 학교라는 감옥 같은 곳에서 인간이하의 대우를 받으며
20살이 되어 성인권을 따내 한사람의 시민이 되기 위해 서로를 짓밟아가며 버텨내고 있다.
그들은 그것이 당연한듯 살아오고 있었지만
바깥세상에서 이미 날때부터 남다르게 태어나 모든걸 갖고 누리며 살아가는 등록아동들에게 성적이란 무의미한 것이고
그들은 많은걸 자유롭게 선택하고 공부하며 즐기고 살아가고 있었다.
영원한 자유와 생명이 보장된 등록아동. 주인공인 문도새벽은 그 위치에서 갑자기 학교라는 나락으로 떨어지게 된다.
부모님의 사고사.
모두가 버려지고 숨겨진 아이들로 가득학 학교라는 곳에서 많은걸 누리며 살아온 등록아동인 문도새벽은 눈앳가시다
성적과 점수로 먹을것과 숙소, 자유, 힘이 나눠지고 많은걸 누리기 위해선 위로 올라가는 수 밖에 없다.
허나 태어나는 방법부터가 다른 등록아동인 문도새벽은 많은 노력없이도 그들을 밟고 올라설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었다.
불합리하고 어찌보면 쓸데없는 학교라는 제도 안에서의 관리가 곧 군소리 없이 바깥세상에 편입시키고
이용하기 위한 세뇌의 일환이라는 것을 눈치 채고는
문도새벽은 이 모든것을 망가뜨리고 고발하기 위해 움직이기 시작한다.
별 기대 없이 펼쳐든 책이었다. 내용만봐서는 뻔해보였고, 우리나라의 소재의 한계랄까 그냥 별거 없을 거라 생각하고
읽기 시작한 이 책은 요즘 유명한 디스토피아 소설들과 견주어도 떨어지지 않을만큼 술술 읽히는 묘한 쾌감을 주었다.
지금 우리의 현실과 별다르지 않은 이야기. 허나 그게 불합리한 감옥으로 비유되는 것들이
어찌보면 현실을 꼬집고 있지만, 그것을 벗어날수 있는 힘은 우리에게 있다는 걸 전하는 듯 하다.
내가 고등학교 다닐때만 해도 3년 내내 야간자율학습을 했다.
도시락 두개씩 싸들고 다니며 아침7시까지는 등교해서 수업전에 공부하고 저녁10시까지 야자하고....
집중이 되는지 어떤지는 생각하지 않은채 그저 앉아있기를 강요한 고교시절... 나중에는 체육시간 마저도 자율학습시간으로
바뀌어 진행될만큼 수능 하나만 보고 고등학교 내내 달려온것 같다.
책을 읽는 내내 우리가 지금 버티고 살아가는 이 학창시절이 그대로 표현된것 같아 한숨부터 나왔다.
무엇을 위해 우리는 이렇게 사교육과 공교육의 사이에서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지듯 살아가고 있는지
그게 지금 나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나는 그것으로 인해 좀더 나은 사람이 되었는지
나의 경험으로 보자면.. 아니다.
지금에와 생각해보면 나에겐 공부도 중요했지만 용기와 도전을 가르쳐줄 무언가가 필요했던것 같다.
지금 내가 이렇게 나약한거 보면... 나에게 학창시절은... 그런 측면에선 전혀 도움은 안된듯 하다.
개개인의 특성이 다르고 개개인의 부족한 것이 다르듯 여러 분야에서 많은걸 보고 느끼고 채워주는 교육이
질적으로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가고 만족을 줄수 있지 않을까...
그러려면 지금 점점더 심해져가는 한국의 교육문화가 고쳐질 필요가 있지 않을까...
유럽의 자유로운 생각을 더 중요시하고 경험을 중시하는 그런 문화도 받아들일때가 되지 않았나 싶다.
학원에 치여 공부에 치여, 우리의 아이들은 나약하고 스트레스로 똘똘 뭉쳐 어떤 즐거움을 느끼며 살아가겠는가 하는 생각만
내내 들었다.
가볍게 볼수만은 없는 이야기. 그것이 이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