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년의 고독 2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5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조구호 옮김 / 민음사 / 2000년 1월
평점 :
백년에 걸친 가문의 이야기. 박경리의 <토지>가 생각났다. 가문의 대표가 있고, 자식 문제와 의문의 사건이 발생하고, 갈등, 위기, 전쟁, 죽음, 후손, 💑 결혼 등이 되풀이되며 시간과 함께 펼쳐지는 이야기가 닮았다.
왜 고독일까? 인간은 모두 태어나는 순간, 죽음으로 향해 고독한 침대에서 자고 깨어나는 슬픈 존재임을 말하는 걸까?
슬픔으로 집에 자신을 가둬버린 레베까를 아마란따가 생각할때, 고독은 수많은 추억 중에 고통스럽고, 둔감해진 부분을 망각으로 덜어내고, 가슴에 소중히 남은 추억만을 남겨 크게 영원하게 만드는 거라고 말한다.
각 인물들의 고독하고, 수동적, 도피적, 말수가 적어지는 순간들, 사랑에 실망하고 죽는 날까지 울면서 지내기로 결심하기도 하고, 무한한 권력의 고독 속에 길을 잃어버린 대령처럼, 불안감에 지치고 늙고, 쇠약해지는 사람들에 대한 묘사가 곳곳에 표현되어 있다.
대모격인 부엔디아 가문의 1대 여인인 ˝우르술라˝는 115세로 추정되는데, 모든 이의 탄생과 죽음을 보고는 2권에 60%가 진행되었을 쯔음, 간단히 언급한다. ˝우르술라는 죽은 몸으로 성 목요일 아침을 맞이했다˝.
이렇게 모든 이야기는 서술식으로 숨가쁘게 흘러간다. 죽음은 더 이상 큰 의미가 없이, 다음 세대의 인물과 사건으로 잊혀진다.
한 번 지나간 시간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개인에게는 그렇지만, 삶은 6세대를 지나면서 대략 39명의 가문에 얽인 일들이 펼쳐지지만, 리듬과 반복을 가진다. 불멸을 찾아 헤맨 길가메시, 방황하는 코엘로의 연금술사 이야기, 낙원 같은 마을, 대홍수, 이념의 대립과 전쟁, 깨달음까지 시간이 다시 다른 가문과 시대로 이어지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그래서 마지막 문장에도 마침표는 없다. 계속 우리 세대가 다음으로 이어지듯이, 소설은 삶과 같은 운명으로 다시 탄생된다.
* 읽기 쉽지 않은 책. 난해함보단 고독 그 자체를 견뎌야 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