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중원 박서양
이윤우 지음 / 가람기획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중원 박서양  조선인 최초의 백정출신 양의사, 박서양.
  이책은 구한말 열강의 틈바구니에서 핍박받던 조선을 닮은 한 남자의 파란만장했던 삶을, 실존인물이었던 그의 삶을 소설화하여 그린 이야기다.
  백정출신이라는 것부터가 그의 삶이 얼마나 척박했을지 짐작케했지만 읽어나갈수록 가슴이 먹먹했다.   그는 천민중에서도 가장 천한 계급이라 인간이하의 삶이라기보다는 그야말로 짐승같은 삶을 살 수밖에 없는 부류에 속했던 사람이었다.   그에게 인권은 단 1%도 용납되지 않았던 것이다.   백정은 상투는 커녕 자르거나 단정하게 다듬을 수도 없이 봉두난발을 해야했기에 누구나 한눈에 백정임을 알아 보고 천대하고 멸시했다.
  서양인 의사 알렌이 그의 재능과 총명함을 알아보고 그에게 의술을 가르쳐 의사를 만들려는 과정에서도 숱한 사람들의 질시와 모욕적인 폭행을 감내해야만 했다.   그나마 개화가 되어 백정출신인 그에게 교육의 기회가 열렸기에 가능한 일이었지만 우리민족이 국치를 겪는 계기를 제공한 개화였으니 그의 운명과 닮았다고 하겠다.   자발적인 의지가 없는 신분제 타파의 개혁은, 호시탐탐 우리나라를 넘보고 있던 일본과 결탁한 무리들이 일으킨 ’개화’라는 이름을 내건 쿠테타였기 때문이다.   개화가 되어 신분제가 무너져도 사람들에게 그는 여전히 백정이었다.   몸에 맞지 않은 옷을 입은것처럼 백정과 기회라는 말은 정말 어울리지 않는데, 그 어울리지 않는 기회를 잡았으니 그의 삶이 험난할 수밖에 없지 않았겠는가.
 
  박서양은 의학적 지식에서는 단연 뛰어났기에 자신감은 있었으나, 자신의 신분이 천하디 천한 백정이라 밑바닥 대우를 받는만큼 자존감또한 밑바닥이었다.   그래서 그는 사람들의 반응에 쉽게 흔들리고 비굴했던것이다.   그런 그에게 의사로서 당당히 일어설 수 있게 해준 스승은 알렌이 아닌 미동에 사는 조선의원 강건우였다.
  "기억해라. 의술을 배우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의술을 행하는 태도를 배우는 것이, 어떻게 의원으로 살아야 하는가를 배우는 것이 정말 어려운 거지. 자존감을 만들고, 자신감을 기르고, 의원으로 사는 법을 배워라."   -P 256-   이렇게 강건우는 박서양이 일본으로 가서 신분에 구애받지 않고 교육받으며 자존감을 가진 의사가 되도록  해주었다.   열린환경에서 차별받지 않고 배우고 익혀야 자존감을 스스로 만들 수 있음을 주지시키면서.  
  자존감은 8살 이전에 형성된다고 들었는데, 늦으면 몇갑절의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가능하구나하는것을 알게되었다.   또한 자존감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이책을 읽으며 깨달았다.   내아이가 자라서 당당하게 세상을 살아가게 하려면 실력의 배양으로 인한 자신감 못지않게 자존감을 담뿍 담아줘야겠다.  그것이 부모로써 자식들에게 해줄 수 있는 최선의 선물이 아닐까한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카스트라는 잔인한 신분제도가 남아있는 인도와의 다른 모습도 알아야 할거같다.   외침이 있었을때마다 우리나라는 신분과 관계없이 승려나 기생들까지 구국의 일념으로  외세를 몰아내기위해 뭉쳤던 것에 반해,  인도도 우리나라처럼 외세의 침입을 많이 받았지만 인도의 천민들은 조국이라는 개념이 없어서 누가 인도를 차지하든 그들의 삶에는 희망이 없기에 관심이 없었다고 한다.   그 차이는 무엇일까?   그것은 천민들을 짐승처럼 괄시하여 희망이라는 단어를 떠올리기에 적절치 않아도 우리나라 백성으로 인식하고 나름 보호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
 
  박서양이 잡초처럼 짓밟혀도 당당히 의사로 성공했던 것만으로도 실로 대단하다 하겠지만, 그가 우리 가슴에 별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것은,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자신을 백정이라 철저하게 핍박하고 거부했던 사람들이 혜택을 누렸던 나라 조선을 조국으로 여기며 독립운동을 위해 간도로 떠나 최선을 다했던 삶이었기 때문이다.
  이책으로 박서양을 알게 되면서 어떻게 그동안 철저하게 그의 존재를 몰랐을까 의문이 들었고, 그에게 한없이 미안했다.   그의 생을 재조명하는 이제라도 우리는,그를 여타 유명한 독립운동가 못지않게 존경하고 고마운 마음을 가져야 할것이다.
 그의 존재, 그의 삶은 우리 역사의 보물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