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가요 언덕
차인표 지음, 김재홍 그림 / 살림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래전 TV에서 인기리에 방영됐던 ’거지왕 김춘삼’의 삶과 사랑이 생각났다.  용이와 순이의 로맨스는 김춘삼과 기생 채연이와의 애달픈 사랑을 연상하게 했다.  잘 생기고 우직한 용이의 캐릭터가 거지왕 김춘삼의 카리스마와 닮아있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아무래도 작가가 배우였기에 배우로서 보였던 모습들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었을 것이고, 독자인 나도 배우로 분했던 모습이 책을 읽으면서 자꾸만 연상이 되었다.

  그렇지만, 이책은 인기 배우였던 직업적인 밑천에 편승한 책이 결코 아니라고 서슴없이 말할 수 있다.   끝까지 읽어보면 안다.   읽으면서 함께 가슴 아파하고, 예쁜 마음들을 들여다보면 알 수 있으니까.   오히려 첫 등단 책으로 나온 소설책이라고는 믿기지 않을만큼 구성이 탄탄하고 스토리가 짜임새 있다.   시선을 확 끄는 흥미가 아닌, 미소를 머금게 하면서 잔잔한 감동을 일으키는 감성동화로써 보이지 않은 힘에 이끌려 끝까지 책에서 손을 놓을 수 없게 만든다.   작가에 대한 선입견을 염두에 두지 말고 읽어보길 바란다. 

  나는 몇해전부터 도서관에서 독서토론 모임을 하고 있다.   처음에는 그림책과 동화책을 시작으로 아이들에게 좋은책을 제대로 알고 읽혀주기위해 시작했다.   시작동기는 내아이에게 좋은책을 많이 접하기 위한 학습지도 모임이었으나, 엄마들도 동화책을 읽다보니 재미와 감동을 주는 동화책의 매력에 푹 빠지게 되었다.   동화책은 어린이들만 읽는 책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작가를 중심으로 장르에 따라 읽다보니 두루 섭렵하게 된것이다.    동화책을 읽으면서 웃고, 눈물 흘리며 재미있게 읽다보면 마음이 따스해지고 행복의 기운이 가득 차오름을 느끼게 된다.   이 재미에 더욱더 동화책을 찾아 읽게 되는것같다.   어른인 나의 마음이 이럴진대 하물며 자라나는 꿈 많고 호기심 많은 아이들에게 동화가 주는 힘을 맛보게 하고싶다.   세상을 바라보는 따뜻한 눈을 가지게 하고 싶다.   

  이책을 읽는 내내 문장이 곱고 참 예쁘다는 생각을 하면서 읽었다.  
  제비의 눈에 비치는 일련의 사건들이 흥미롭고, 유쾌함을 주면서 동화책을 보듯 가슴 따스함을 느꼈다.   일제시대의 무자비한 일본인들 중에서도 가즈오대위와 같은 정의롭고, 감성이 살아있는 인간애적인 인물도 있음을 보여주며, 일본인을 무작정 증오하고 혐오하는 생각을 가다듬고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이웃으로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는 명제를 던져주고 있다.   어머니에 대한 애틋한 애정이 가득한 편지글에서는 미술학도였던 가즈오에게 인간적인 호감으로 안쓰러움이 느껴졌다.
  또한 초인적인 저력으로 살아남아 순이를 찾고 기다리는 용이의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이책은 용서와 사랑을 느낌으로 가르치는 지침서같은 동화책이라고 생각한다.   초등학교 중학년부터 읽을만하고, 고학년 이상의 아이들부터는 꼭 읽혔으면 하는 책이다.
  가슴저며오는 아픔은 있으되 분노와 우울함은 남지않는 참말 예쁜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