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갱부 ㅣ 현암사 나쓰메 소세키 소설 전집 6
나쓰메 소세키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4년 9월
평점 :
[책리뷰/소설>일본소설] 갱부 / 나쓰메 소세키 / 송태욱 / 현암사
소세키 문장의 또다른 매력

첫페이지부터 다른 느낌의 소설이에요. 저자를 모르고 읽으면 도저히 소세키 소설이라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거든요. 그동안의 주인공들이 주도적인 반면 이번 소설의 주인공은 너무 자기 생각이 없어 보여요. 조조라는 한 사람에게 모든 걸 맡기고 수동적으로 따르기만 하는 모습을 보며 무엇을 말하고 싶은 건지 무척 궁금했어요. 그리고 소세키에게 유머감각이 있다는 것에도 놀랐어요. 읽는 중간중간 저도 모르게 낄낄대고 있더라고요.
화자인 '나'는 죽으려고 가출한 부잣집 도련님이에요. 자살하려 했지만 번민 끝에 '자멸'을 선택해요. 대도시에서 살던 그가 갱부가 되기로 한 거예요. 바로 어제까지만 해도 부족함 없는 도련님이 광산에서 일하려고 하는 이유는 자신을 학대하려는 것으로 보였어요. 처음부터 갱부가 될 생각이 있던 건 아니고요, 조조라는 사람이 갑자기 다가와서는 갱부가 되지 않겠느냐는 제안을 받아들인 거예요. 조조는 갱부는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며 대단한 일이라고 포장해서 '나'를 설득해요. '나'는 딱히 돈이 필요한 것도 갱부가 되고 싶었던 것도 아니지만 조조를 따라 갱부가 되기 위해 길을 떠나요. 기차를 타고 내려 걷고 걷고 또 걷는데 얼마나 지겹게 걷는지에 대한 묘사도 대단했어요. 소세키의 묘사대로라면 마치 이 지구가 온통 소나무 길인 것으로 착각할 정도였어요.
갱부가 되러 가는 길에 조조는 또다른 사람을 설득하는 데 성공해요. 그렇게 갱부가 되고자 하는 사람을 여럿 거느린 조조와 그를 무작정 따라 걷는 일행의 이야기가 이어져요. '도대체 저 조조라는 사람은 선한 사람일까 악한 사람일까'라는 생각을 지나 ''나'에겐 어떤 사연이 있는 걸까'를 밟고 한장한장 잘도 넘어가요. 흡인력 강한 소세키의 이런 문장은 그동안 읽은 문장과 너무 달라요. 그래서 검색해보니 많은 사람들이 소세키의 다른 소설들과 다른 문체의 소설이라는 평가를 했더군요. 딱 제 스타일. 그런데 이 소설만 이런 문체라니,,, 아쉬워요.
이 소설은 어느 청년이 소세키에게 자신의 갱부 이야기를 소설로 써달라며 해준 얘기를 바탕으로 썼다고 해요. 대부분의 소세키 소설이 소세키가 직·간접적으로 경험했음직한 것과 다른 이유가 있더라고요.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나중에 내게도 자신의 얘기를 소설로 써달라는 사람이 있을까? 저도 정말 유명한 소설가가 된다면 가능하겠지요? 비록 제 첫 소설 《사랑은 냉면처럼》이 종이책 출간에 실패하고 전자책으로만 냈지만 꾸준히 써서 지속적으로 책을 내면 언젠가는 인정받는 작가가 될 거라 믿을래요. 요즘 두번째 소설도 잘 써지고 있으니까 희망을 버리지 않으려고요.
그리고 이 소설의 특징 또하나는, 각 장이 매우 짧다는 거예요. 한 5페이지? 그래서 속도감을 느끼는 건지도요. 조금 읽다 보니 10장이고 조금 읽다 보니 20장이고 그렇더라고요. 각 장마다 주제가 있어서 읽는 재미도 솔솔하고, 얼마 읽지도 않았는데 막 20장 30장 넘어가니까 엄청 많이 읽은 것 같아 성취감도 크고요. 그래서 더 몰입해서 읽은 것 같아요. 각 장을 짧게 한 게 연재소설이라서 그런 걸수도요. 이 소설은 아사히 신문에 연재형식으로 발표한 작품이거든요. 오랫동안 연재하려고 각 장을 짧게 한 건지, 지면이 좁아서 짧게 한 건지, 작가의 의도인지는 모르겠지만요.
내면의 변화니 삶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이니 등에 대해선 모르겠어요. 유식하지 않은 평범한 독자가 읽은 느낌은 '재밌다' 정도. 그당시 일본의 상황에 대입하면 자살과 번민 등에 대해 말할 수 있겠지만, 저는 이 소설에 대해선 그냥 '소세키 소설 중에 색다른 별미'라고 말하고 싶어요.
밑줄
잠이 들면 문득 시간이 사라진다. 그러므로 시간의 경과가 고통이 될 때는 자는 게 최고다. 죽는 것도 아마 같은 이치일 것이다. 하지만 죽는 것은 쉬운 일 같아도 그리 간단하지 않다. 우선 평범한 사람은 죽는 대신 수면으로 임시변통하는 것이 간편하다.
#naha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