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 - 서울대생 1100명을 심층조사한 교육 탐사 프로젝트
이혜정 지음 / 다산에듀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리뷰/교육]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 / 이혜정 / 다산에듀

 

창의성 실종

 


 

 

  서울대에서 A+를 받는 사람은 뛰어난 인재가 될까요? 인류에 공헌하고 훌륭한 문화를 만드는 데 이바지 할까요? 이 책을 읽고 나면 절대 그럴 수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될 거예요. 저자는 원래, 서울대에서 A+를 받는 학생들의 공부 비법을 알아내 책으로 쓰려고 했어요. 하지만 알아가는 과정에서 어처구니 없는 사실들을 접해요. 그들의 공부비법은 '교수의 말을 토시까지 받아적는 것'이에요. 이렇게 공부해도 되나 싶을 정도에요. 받아 적은 글을 잘 정리해서 디립다 외우면 A+를 받는다고 해요. 자신의 생각을 넣거나 창의적인 생각을 하면 점수가 낮아진다고 하니 어처구니가 없어요. 교수의 생각을 그대로 수용해서 달달 외우면 최고 학생이 된다고 해요.

 

  외국의 경우는 어떨까요? 저자는 미국의 한 대학교와 비교를 해요. 그 학교 학생들은 서울대 학생들과 반대였어요. 교수의 말을 받아적는 학생도 있긴 했지만 매우 적었어요. 그들은 창의적인 생각과 비판적인 사고를 했어요. 강의시간 내내 죽도록 필기만 하는 서울대 우등생과 달리, 함께 토론하고 대화하며 자신의 생각을 말한다고 해요. 이 대학은 학교 평가에서 서울대보다 매우 뛰어난 점수를 받은 학교라고 해요. 이 학교만이 아니라 유럽의 다른 학교도 비슷한 결과를 얻었어요. 유독 아시아만 달랐다고 해요. 대한민국에선 절대 스티브 잡스가 나올 수 없어요.

 

  모든 잘못이 교수에게만 있는 걸까요? 알아보니 교수 평가를 할 때 연구성과를 본다고 해요. 교육을 어떻게 하는지 얼마나 잘하는지는 중요하지 않아요. 그러니 교수들도 가르치는 교육 보다 연구에 더 집중할 수밖에요. 저는 오래전에 읽은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가 생각났어요. 유교라는 게, 자신의 생각은 중요하지 않고 경전만 죽도록 외우면 장땡이거든요. 어려서부터 답을 외우는 공부를 한 학생이 어른이 되어 교수가 됐는데 뭐가 달라질까요. 원래 세 살 버릇 여든 가잖아요. 어려서부터 몸에 벤 암기 습관과 스승이라는 권위주의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거란 생각이 들었어요.

 

  질문 없이 무조건 받아적고 디립다 외우는 학생이 우등생이 되는 나라. 과연 정상일까요? 저는 절대 아니라고 생각해요. 암기력이 창의력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를 하는 나라에선 절대 빌 게이츠나 스티브 잡스 같은 사람이 나올 수 없어요.

 

  "창의력이 뛰어난 애드은 학점이 안 좋아요." (38쪽)

 

  "제 의견이 아닌 걸 쓴 셈인데요, 그래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일단은 학점을 잘 받아야 되잖아요. 나중에 교수님과 사적으로 얘기할 자리가 있으면 그때 반대 의견을 말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시험이나 과제에서는 교수님 의견대로 써야 한다고 생각해요." (61쪽)

 

  "그런데 남조선에는 말입니다. 피아노 치는 것이 어떻게 다 그렇게 똑같습니까? 각자 다른 자기 음악을 하는 게 아니라 하나같이 똑같이 치길래 알아보니 다들 한 교수 제자라더군요. 남조선에서는 선생과 똑같이 치는 게 잘 치는 것인가 봅니다." (63쪽)

 

  서울대의 교육 목표는 우리 사회 각 분야의 리더를 기르는 것이다. 여기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서울대가 표방하고 있는 목표가 무색하게, 교수가 정한 울티리를 단 한 치도 넘어서지 않고 그럴 시도조차 하지 않으며, 뜨거운 열정과 몰입보다는 철저한 절제와 조절로 자신을 잘 관리하는 서울대 최우등생들을 보며, 서울대는 바로 그런 능력을 기르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서울대가 이 사회의 진정한 리더를 기르고 있는지, 아니면 단순한 관리자를 기르고 있는지 혼란스러웠다. (153쪽)

 

#nahaboo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