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의 하루 - 권력 아래 가려진 왕비들의 역사 하루 시리즈
이한우 지음 / 김영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리뷰/역사] 왕비의 하루 / 이한우 / 김영사

 

왕비들의 역사

 


 

 

  조선의 왕비는 어떤 삶을 살았을까요? 왕비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어둡게 살았거나 왕비라는 이름 하나만으로 권세를 누리고 살지는 않았을까요? 이 책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왕비부터 시작해서 조선의 여러 왕비의 일생을 다뤄요. 책 제목에 '하루'라는 글자가 있긴 하지만, 왕비의 아침은 이렇고 점심은이렇고 저녁은 이렇다는 내용은 아니에요. 조선의 특정 왕비의 일생을 다뤘다고 하는 게 더 정확한 표현일 거예요. 그런 면에서 보면 제목이 조금 아쉽다는.

 

  조선의 첫 왕비인 신덕왕후 강씨, 그녀는 어떤 사람이었을까요? 이성계의 두번째 부인이지만 조선 건국 당시 첫번째 부인은 죽고 없었기 때문에 조선의 첫 국모가 돼요. 하지만 자신의 배로 난 자식이 아닌 이방원을 두려워 하지요. 조선 건국 시에는 강씨 집안이 어느정도 세력이 있었나봐요. 신덕왕후의 간청으로 태자로 자신이 난 아들이 되게 하는 힘이 있었으니까요. 그녀는 이방원이 태자가 되면 자신의 두 아들이 죽을까 걱정했던 거예요. 모든 게 자신의 뜻대로 돌아가는 것 같았지만 운명은 그녀의 바람을 거부했어요. 그녀가 단명을 한 거예요. 이방원은 식덩왕후가 죽자마다 그녀의 두 아들을 죽여버리지요. 첫 국모는 그렇게 비운의 왕비가 돼버렸어요.  첫 왕비부터 비운이었던 게 잘못이었을까요? 조선엔 유난히도 비운의 왕비가 많아요. 고려의 역사 또는 4국시대의 역사에도 이렇게 많은 비운의 왕비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참 유난히도 많은 것 같아요.

 

  이 책이 두 번째 다룬 왕비는 폐비 윤씨에요. 드라마로 너무 많이 만들어서 지겨울 정도지요. 왜 그녀를 드라마로 영화로 많이 다뤘을까요? 그녀의 죽음이 억울해서라고 생각해요. 너무나 극적이고 너무나 안타깝고 너무나 슬퍼서 극 소재로 많이 다뤄지는 게 아닐까 생각이 들어요.

  폐비 윤씨는 조선 역사에 처음으로 폐해진 왕비에요. 저는 조선의 어두운 역사의 시작이 바로 폐비 윤씨라고 생각해요. 그녀의 죽음으로 인해 왕이 된 아들도 폐해지는 일이 벌어지잖아요. 그녀의 아들 연산군은 왕궁에서 태어난 최초의 원자로 가장 정통성 있는 왕이었다고 해요. 비운의 임금 연산군과 폐비 윤씨의 이야기는 제발좀 그만 극화 했으면 좋겠어요. 이 나라 5천년 역사에 다룰 게 그리도 없나?

 

  조선은 남성 권력 사회에요. 이런 조선에서 여성이면서 남성적 권력을 가진 유일한 사람이 바로 왕비라고 해요. 책 첫 꼭지에는 책 제목대로 왕비의 하루를 소개해요. 왕비의 품계를 비롯 조선의 품계도 같이 소개하지요. 저는 이 소개를 읽으며 새로운 걸 많이 배웠어요. 명칭도 우리가 흔히 들은 것만 있는 게 아니더군요. 다양한 명칭과 다양한 품계들이 있었어요. 왕비와 첩의 품계가 매우 높다는 것도 처음 알았어요. 우리가 그동안 TV로 보던 건 아무것도 아니더라고요.

 

  왕의 권력을 휘두른 유일한 여성 문정왕후, 현직 왕비로 유일하게 정권을 장악한 명성황후의 이야기를 읽으며 여성이 어떻게 남성 권력에 맞서는지도 볼 수 있어요. 때로는 역사를 바꾸기도 하고 역사의 희생양이 되기도 하는 왕비의 운명을 보며 '나 라면 그냥 왕비 안 하고 평범하게 살겠다'라는 생각도 들더군요. 물론 조선의 왕비들이 자의 보다는 타의로 왕비가 됐겠지만요.

  숙종과 장희빈의 이야기를 읽을 땐 한숨도 많이 나왔어요. 조선이 이 꼬라지로 돌아가고 있었구나 한심했어요. 이 시기 서방 국가들과 비교하면 참으로 안타깝더군요. 우물안에서 잘나 봐야 개구린데.

  가깝지만 먼 조선의 역사. 이렇게 왕비를 소재로 읽으니 좋았어요. 지루하지 않고 흥미롭게 잘 써서 책장이 술술 잘 넘어갔거든요. 나중에 저도 조선 왕비를 소재로 소설 하나 써보고 싶을 정도로 좋았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론 책 제목을 '조선의 왕비들'이라고 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아요.

 

#nahaboo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