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허한 십자가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책리뷰/소설>추리소설] 공허한 십자가 / 히가시노 게이고 / 이선희 / 자음과모음 

 

히가시노 게이고 또 하나의 역작

 


 

 

  일본소설을 즐기지 않는 사람도 추리소설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히가시노 게이고의 《용의자 X의 헌신》은 잘 알 거라 생각해요. 워낙에 유명한 소설인데다가 영화로도 만들었거든요. 저는 소설을 읽으면서도 펑펑 울었고 영화(한국판)를 보면서도 눈물을 쏟았어요. 추리소설을 가장한 아름다운 로맨스에 눈물을 흘리지 않을 수 없었어요. 아니 눈물을 흘렸다기 보다는 펑펑 울었다고 해야겠지요. 저는 그렇게 히가시노 게이고를 알게 됐어요.

  하지만 그 후로 그의 소설을 읽진 않았어요. 뭐랄까, 추리소설도 일본소설도 그닥 좋아하지 않기 때문일 거예요. 너무 오랫동안 그의 소설을 읽지 않았지만 이 소설을 읽으며 계속 《용의자 X의 헌신》이 생각난 이유는 뭘까요.

 

  이 소설은 사형제도에 대해 말해요. 등장인물들이 사형제도 찬반에 대해 확고한 생각을 해요. 가족이 살해당한 경험이 있는 유족들은 사형제도를 찬성한다는 특이점을 빼고는 두 의견으로 나뉘지요. 저는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흉악한 범죄인은 사형이 맞다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며 제 생각이 흔들렸어요. 과연 사형한다고 해서 해결될까?

  여기서 저는 《용의자 X의 헌신》이 생각났어요. 폭력을 휘두르는 전남편을 피해 도망다니다가 잘 살던 한 여자. 그녀는 갑자기 나타난 전남편에게 폭행당하다가 딸과 함께 죽이고 말아요. 우발적으로 죽인 거예요. 그녀를 짝사랑하던 옆집 남자가 그녀를 위해 헌신한다는 내용이지요. 만약 사람을 죽였다고 해서 무조건 사형이라면 그녀는 너무 억울할 거라고 생각해요. 다행히 현재 법은 우발적 살인은 형량이 내려간다고 해요.

 

  우발적 살인. 이게 바로 쟁점이더군요. 계획적 살인이냐 우발적 살인이냐에 따라 형량이 변동한다는 거예요. 우발적 살인일 경우 사형을 피할 수 있다고 해요. 소설 속엔 한 부부가 나와요. 딸만 두고 집을 비운 사이 강도가 들어 딸을 살해해요. 부부는 범인이 사형되야 한다며 재판에 올인해요. 부부의 목적은 오직 하나, 범인이 사형되는 것. 결국 재판은 부부의 바람대로 사형판결이 나요. 하지만 부부는 얻은 게 없어요. 달라진 것도 없지요. 그런데도 과연 사형이 옳은 걸까요?

  이 범인은 재범이었어요. 오래전 이미 살인을 했고 무기징역을 받았어요. 그 땐 우발적 살인이라는 판결이 나서 사형을 피했지요. 그런데 만약 그 때 범인이 사형당했다면 부부의 딸은 죽지 않았을 거예요. 자, 이제 좀 복잡해지지요?

 

  십자가는 사형도구에요. 흉악범을 죽이는 사형도구지요. 하지만 이 사형도구가 무엇을 할 수 있는 걸까요? 범죄자를 갱생할 수는 있는 걸까요? 사형이라는 판결 대신 무기징역 또는 유기형에 처해진다고 해서 죄를 반성하고 선한 사람이 될 수 있는 걸까요? 저자는 이 소설을 통해 우리가 만든 법이라는 것이 죄인을 형벌할 수는 있어도, 유족을 위로할 수도 죄인을 갱생할 수도 없다고 말해요. 그래서 십자가는 공허할 뿐인가봐요.

 

#nahaboo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