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살아서 좋아 - 도시 속 둥지, 셰어하우스
아베 다마에 & 모하라 나오미 지음, 김윤수 옮김 / 이지북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리뷰/자기계발] 함께 살아서 좋아 / 아베 다마에, 모하라 나오미 / 김윤수 / 이지북

 

셰어하우스 이야기

 


 

 

   일본 이야기이긴 하지만 우리와 전혀 상관 없는 건 아니에요. 예전에 혼자 살 때 저도 셰어하우스 생각을 해봤거든요. 혼자 살기엔 너무 외로워서 친구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선지 관련 뉴스나 기사들이 눈에 띄었어요. 하우스 메이트라는 용어를 알게 됐고 검색도 해보며 한참 고민을 했지요. 그러다가 회사 기숙사로 들어가며 고민을 끝냈지만요.

   기숙사에 들어갔더니 거기가 바로 셰어하우스였어요. 기숙사라고 학교 기숙사 같은 건 아니고요, 빌라 하나를 얻어서 회사 사람들이 함께 생활하는 곳이거든요. 주로 파견직들 중에 집이 너무 먼 사람들이 살았어요. 부서가 모두 달라서 직장생활의 연장이 아니었기에 딱 하우스 메이트더군요. 좋은 점은 외롭지 않다는 것이었고, 불편한 점은 여럿이 한 공간을 써야 하기에 남에게 피해를 주어선 안 된다는 거였어요.

 

 


 

 

   이 책은 셰어하우스 거주자가 직접 썼어요. 저자는 셰어하우스에 대해 더 알고 싶어서 직접 스무가구가 넘는 셰어하우스를 다니며 인터뷰를 했어요. 셰어하우가 어떤 곳이며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 생생한 기록이라고 할 수 있지요. 젊은 사람이 가장 중요한 부분인 연예문제와 가사분담 등을 잘 정리해놔서 현재 셰어하우스에 살고 있는 사람 뿐만 아니라 셰어하우스를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유익한 책이 될 거라 생각해요.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된 건데, 최근엔 아예 집을 셰어하우스로 짓기도 한다고 해요. 마치 원룸 짓듯이요. 생각해보니 이것도 좋은 사업 아이템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수요가 있으니까요.

 

 


 

 

   아핫,,, 그리고,,, 남녀 공용 셰어하우스에 살면 연애로 발전하진 않을까에 대한 내용이 기억에 남아요. 실제 남녀 공용 셰어하우스에 사는 사람의 말로는, 마치 남매처럼 지내기 때문에 연애로 발전하진 않는다고 해요. 드라마나 영화에서처럼 달콤한 로맨스는 일어나지 않는다는 말에 살짝 실망했어요.

 

   셰어하우스는 크게 네 가지가 있는데요 아는 사람끼리 모인 형과 모르는 사람끼리 모인 형, 공통 목적으로 모인 형과 그렇지 않은 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해요. 그리고 대부분 규칙이 있었는데요, 생활물품은 어떻게 구매할 것인가에서부터 청소와 세탁, 식사는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대해 규칙을 정한다고 해요.

   셰어하우스의 장점이 있는 한 앞으로 이런 형태의 거주는 더욱 늘어날 거라 생각해요. 혹시 혼자 사는 게 불편하다면 셰어하우스도 생각해보는 건 어떨까요? ^^

 

#nahaboo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