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은 건축이다 - 인간이 만든 최고의 아름다움
김희곤 지음 / 오브제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리뷰/인문>역사] 스페인은 건축이다 / 김희곤 / 오브제

 

건축으로 스페인을 말하다

 

 

 

 

   2년 전만 해도 '유럽? 거기 가서 뭐해?'라고 말하고 다녔어요. 내가 태어난 이 나라에도 얼마나 가 볼 곳이 많은지 알거든요. 아름다운 자연환경,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 경치, 위대한 문화유산 등 평생 봐도 다 못 볼 만큼 많아요. 그런데 궂이 외국까지 나갈 필요가 있을까란 생각을 했지요.

 

   제 생각이 바뀐 건 여행에세이를 읽으면서부터에요. 스마트폰이라는 게 생기면서 페이스북을 하기 시작했고, 사진과 함께 글을 올리다 보니 자주 사진을 찍게 됐고, 사진을 찍다보니 사진에 관심이 많아졌고, 책 좋아하는 사람답게 사진 책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어요. 사진이 많은 책을 찾다 보니 자연스레 여행에세이를 자주 접했지요. 책으로 만난 유럽은 경치가 아니라 문화에 반했어요. 선진 문명이라는 곳에서 사는 유럽인들이 부러워졌어요. 그러다가 민주주의가 거꾸로 가는 세상이 오면서 더욱더 유럽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지요.

 

 


 

 

   유럽에 관심을 가졌지만 스페인에 대한 책은 보지 않았기에 스페인에 대한 정보는 전혀 없었어요. 어떤 나라인지도 모르고 어디에 붙어있는지도. ^^ 그저 축구 잘하는 나라라는 것 외에는 아는 게 없었지요. 고작 읽은 책이라봐야 몇 권이니 당연할지도요. 유럽 문화, 역사, 건축 등에 대해 조금씩 관심을 가지던 제게 이 책이 나타났어요. 책을 읽는 내내 "와~"를 연신 내뱉었어요. 건축학도인 저자이 인문학적 지식에 놀랐고, 아름다운 건축물 사진에 놀랐어요. 사진과 글에 빠져 한장 한장 넘기다 보니 아쉽게도 벌써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게 되었어요. 이렇게 좋은 책으로 지식 욕구도 채워준 저자가 고맙게 느껴졌어요.

 

   스페인은 로마의 건축, 기독교의 건축, 유대의 건축, 이슬람의 건축들이 함께 공간을 채우고 있어요. 역사적으로 여러 시기를 겪었기에 이렇게 다양한 건축물이 있더군요. 대부분의 지명이 낯설었지만 읽는 내내 즐거웠어요. 건축물들을 소개하며 관련된 역사와 건축물에 담긴 뒷얘기들을 읽다 보니 스페인으로 달려가고 싶어졌어요. 작가의 설명이 좋아서 비행기 타고 유럽으로 가고 싶은 충동을 느낀 거겠죠? 가고 싶어도 참아야 해요. 회사에서 휴가를 안 내줄 테니까요.

 

 


 

 

   책을 보며 가장 가 보고 싶었던 곳은 알람브라 궁전이에요. 작가는 이 곳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이라고 부연설명을 해요. 사진으로 보면 아시겠지만, 자연과 잘 어울리게 지은 궁전이에요. 이 궁전은 이슬람이 지배한 800년 기간보다 더 아름답고 온전하게 이슬람 건축예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해요. 아핫, 제가 보는 눈이 있나봐요. 이 궁전이 스페인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는 유적이라니요. 아,,, 직접 가 보고 싶어라. 언젠가는 저도 이 궁전 벽을 직접 손으로 느껴볼 수 있겠지요? 네. 언젠가는요. ^^

 

   라틴 아메리카를 발견한 콜럼버스와 『돈키호테』를 쓴 세르반테스는 스페인의 자존심이다. 돈키호테의 스페인 광장과 콜럼버스의 콜론 광장은 마드리드의 중심축인 그란비아 거리를 젖줄처럼 서로 물고서 마드리드를 신화 속으로 이끌고 있다. (20쪽)

 

   톨레도를 보지 않았다면 스페인을 본 것이 아니라는 말이 있다. 톨레도는 '작은 로마' '이슬람의 메카' '작은 예수살렘'이라 불리며, 로마시대 이후의 이슬람, 유대 건축문화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64쪽)

 

   가우디 없는 바르셀로나는 상상할 수 없고, 성가족 대성당 없는 바르셀로나는 존재하지 않는다. 성가족 대성당은 가우디 인생의 시작과 끝을 함께한 그의 평생 프로젝트였다. (234쪽)

 

#nahaboo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