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 - 2006 제38회 여성동아 장편소설 공모 당선작 미래인 청소년 걸작선 21
이근미 지음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읽은 청소년소설 중에 가장 재밌었다. 주인공 무경이의 처지가 나와 비슷해서 였는지, 신경숙의 [외딴방]을 한 번 더 읽는다는 느낌 때문이었는지는 모르겠다. 청소년소설에 관심이 많은 내게 오래도록 기억될 만큼 재미가 있었다. 교훈적인 내용도 많았다. 책따세(책으로 따뜻한 세상 만드는 교사들) 선정도서가 되려면 교훈적으로 써야 하나보다. 선생님 들이나 학부모들은 '청소년소설은 이 책 처럼 교훈적인 내용이 꼭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 재미도 있고 교훈적인 내용이 매우 많다면 금상첨화.


소설은 17살인 딸이 갑자기 가출을 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컴퓨터 모니터 바탕화면에 가출한다는 글을 남기고 사라진 것이다. 이미 벌어진 일이었기에 후회는 하나 마나였다. 그래서 현실적인 고민을 하게 된다. 찾으러 나서기 보다는 소통을 하기로 마음먹은 것이다. 어떻게 소통해야 할지를 고민 하다가 딸이 컴퓨터로 소통을 원하는 게 아닐까 생각하게 되고 이메일 쓰는 법을 배우게 된다. 그리고는 딸에게 이메일로 편지를 보낸다. 편지는 엄마가 되어버린 '나'가 17살때 가출을 한 사건부터 시작한다.


'나' 무경은 고등학교에 못가게 되며 좌절했고 가출도 했지만 가출은 해결책이 아니었다. 중학교때 우수반에 속할 정도로 공부를 잘 했지만, 도시의 고등학교 까지 다닐 형편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꿈을 미뤄야 했다. 중학교를 졸업하고 고등학교에 못간 '나' 무경이는 가출을 했다가 돌아와서는 회사에 취직을 한다. 직장생활을 하며 겪은 내용들이 이 소설의 주 내용이다.


마음이 착찹했다. 사회는 학교와 전혀 다른 기준이 적용된다는 게 엄연한 현실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그 달라진 기준은 나에게 혼란을 주었다. 살면서 얼마나 많은 기준에 의해 내가 재단될 것인가. 그 생각을 하니 머리가 복잡해졌다. (72쪽)


무경은 어른이 되어야 경험하게 되는 일들을 어린 나이에 경험을 해버린다. 학생도 아닌, 그렇다고 어른도 아닌 무경이는 직장생활을 하는 3년 동안 어른들의 세계를 체험한다. 직장생활로 너무 일찍 철이 들어버린 무경은, 공부가 아니라 외모가 기준이 되어버린 사회에서 많은 것을 배운다. 달라진 환경에 혼란스러워 하지만 곧 적응을 하게 되고 자신을 그 기준에 가두어 버린다.


여상 나오고 , 회사에서 6년 근무하고, 결혼하고, 그런게 인생일까? 왠지 허무한 생각이 들었다. (136쪽)


"대학교 졸업하고 나랑 선생님 되기로 한 약속 있었어?"

너무도 까마득한 옛날 같았다. 우수반에서 하영과 대학교 이름을 죽 적어놓고 대학교 만큼은 서울로 가자고 했던 게 불과 2년 전이건만. (159쪽)


선생님이 되고자 했던 꿈을 포기하고 회사를 다녔지만 오래 되지 않아 허무함을 느낀다. 회사를 다니다가 적당한 때가 되면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하는, 누구나 다 해야 하는 게 싫었던 무경은 잊어버린 자신의 꿈을 찾아 재도약을 하기로 한다. 꿈을 이루기 위해 좋은 직장을 버리려 하자 엄마는 심하게 반대를 한다. 무경은 3년전과 같이 포기하지 않고, 이번만은 지지 않을 것이라며 끝까지 고집을 부리고 결국은 엄마의 승낙을 받아낸다.


인생은 결코 나의 계획대로 되지 않는다. 하지만 나도 모르는 길이 갑자기 열릴 수도 있는 것, 그것이 인생이다. (313쪽)


꿈을 이루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무경을 보니 내가 한없이 부끄러워졌다. 나는 내 꿈을 이루기 위해서 무엇을 하며 살았을까? 나도 무경이 처럼 선생님이 되는 게 꿈이었다. 하지만 대학이라는 곳을 경제적인 이유로 가지 못하게 되며 완전히 잊고 살았다. 이젠 그 꿈을 이루려고 해도 나이가 너무 많아서 힘들다는 걸 안다. 하지만 작가의 꿈 만은 끝까지 놓지 않을 것이다. 내 평생에 이뤄야 할 꿈. 작가가 되는 꿈.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겠지? 그렇겠지? 힘내자. 나는 할 수 있다.


#nahaboo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