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 히로부미 안중근을 쏘다
김성민 글, 이태진.조동성 글 / IWELL(아이웰)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안중근 100년

이렇게 까지 몰랐을까? 우리는 안중근에 대해 몰라도 너무나 몰랐다. 우리가 그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이라곤 이토 히로부미를 권총으로 쏴서 죽였다는 것, 그리고 사형을 당했다는 것이다. 이것 외에는 아는게 전혀 없었다. 그의 자손들이 있는지, 있다면 어떻게 살고 있는지 궁금하긴 했지만 자료를 찾아볼 수가 없었고 그 궁금증은 이내 사라지곤 했었다. 저자는 안중근 100년을 맞아 안중근에 대한 왜곡된 진실을 알리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이 책을 읽으며 안중근에 대해 너무나 몰랐던 것에 대해 부끄러웠다. 나는 그에 대해 너무나 몰랐다.

 

장군 안중근

그는 장군이다. 결코 의사가 아니다. 저자가 첫번째 주장하는 것이 바로 '안중근 의사'는 잘못된 표현이라는 것이다. '안중근 장군'이 옳바른 표기다. 그는 한 개인으로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것이 아니라 군인의 자격으로 작전을 수행한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안중근은 전쟁중 작전을 수행한 장군이라는 것이 맞다. 그는 법정에서도 자신은 전쟁중 작전을 수행하다 잡힌 포로라고 여러번 주장을 했고 그 기록도 남아있다. 이제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할때다. 그는 의사가 아니라 장군이었다.

 

동양평화론

그리고 그는 대한민국을 위해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것이 아니라 동양의 평화를 위해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것이다. 그가 옥중에서 쓴 (마무리를 하지 못했다고 한다) [동양평화론]을 읽어보진 못했지만 이 책에 대략적으로 소개된 내용을 보니, 저자의 주장이 맞는 것 같다. 그는 일본을 주축으로 한 평화가 아니라 중국, 한국, 일본이 서로 손잡고 협력하는 평화를 주장했던 것이다.

 

아들 안준생

나는 저자의 세 번째 주장에는 동의하지 못한다. 저자는 안준생을 변절자라고 말하고 있다. 시대적 상황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변절한 변절자라는 것이다. 나는 저자에게 되묻고 싶다. 당신이 안준생의 입장이었다면 당신은 어떤 결정을 내렸겠는가? 난 안준생의 결정이 친일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살아남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물론 이런 내 생각을 말하는 것도 매우 조심스럽다. 나는 일본인이 싫다. 죽여버리고 싶다. 하지만 애국이라는 것은 무조건 안중근처럼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산 안창호선생의 글들을 보면 무엇이 애국인지 자세히 나와있다. 내 현재의 상황에서 나의 일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바로 애국이다. 총들고 애국하는 방법도 있지만 물질적으로 애국하는 방법도 있고 정신적으로 애국하는 방법도 있다. 그래서 안준생을 변절자로 모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

정말 대단한 나라다. 한강의 기적,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원조를 하는 나라로 변화한 유일한 나라, 부지런한 국민성 (외국 나가보면 한국인이 얼마나 부지런한지 안다), 단결력 등 무엇 하나 뒤떨어지지 않는 민족이다. 지금이 네편 내편 반 갈라서 싸움질만 할 때인가? 중국과 일본에 끼여 샌드위치를 당할 위기에 처해 있다. 또다시 다 잃어버리고 땅을 치며 통곡할 것인가? 정신 차리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