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랑 치타가 달려간다 - 2009 제3회 블루픽션상 수상작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40
박선희 지음 / 비룡소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문학

오랜만에 청소년문학을 읽었다. 아주 오래전엔 청소년문학에 흠뻑 빠져 있었고, 나도 많은 글들을 쓰곤 했었다. 무엇 때문에 그 시절을 잊어버리고 청소년문학을 멀리 했는지는 모르겠다. 어른이 되어서일까? 꿈을 잃어버려서일까? 책을 읽으며 나의 청소년 시절이 많이 생각났다. 그리고 내가 글을 많이 썼던 20대의 시절도 많이 생각났다.

 

서로 다른 두 소년

소설속엔 두 소년이 나온다. 강호와 도윤. 극적으로 두 인물을 나누었다. 강호는 가난하고 엄마도 없으며 공부도 못하고 학교에는 다니나 결석도 자주 하고 주유소에서 아르바이트를 한다. 물론 대학에는 관심이 없다. 도윤은 엄마의 강요에 의해 공부만 하고 살았으며 학원도 다니고 과외도 한다. 물론 일류대학을 목표로 공부를 한다. 이렇게 서로 어울릴 수 없는 강호와 도윤은 초등학교땐 절친한 친구였다. 하지만 6학년이 되면서 둘은 멀어지게 된다. 부류가 다르다는 이유 때문에.

 

둘이 하나 되기

내 학창시절을 생각해봤다. 그러고보니 나의 경우만 봐도 비슷한 사람들끼리 어울렸던 것 같다. 성적도 비슷, 키도 비슷, 관심사도 비슷. 서로 공통의 관심사가 있고 서로 통하는 게 있어서 비슷한 사람들끼리 어울리나 보다. 그래서 작가는 이 책에서 음악이라는 것을 넣었다. 서로 어울리려고 해도 어울릴 만한 것이 없는 강호와 도윤은 음악으로 초등학교 때 처럼 다시 가까워지게 된다. 공부를 못하는 문제아 강호와 공부를 잘하는 모범생 도윤은 그렇게 음악으로 다시 하나가 된다. 그러고 보면 음악에는 신비한 힘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같이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들도, 같이 음악을 듣는 사람들도, 리듬에 맞춰 같이 몸을 흔드는 사람들도 보면 마음이 하나가 된다. 나도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이고 교회에서 찬양팀도 했었기에 음악이 주는 신비한 힘을 알고 있다. 서로 너무나 다른 사람들이 음악을 도구로 다시 가까워진다는 설정은 많이 쓰는 것이지만, 그래도 작가의 선택은 정말 탁월하다고 생각된다.

 

달리는 파랑 치타

파랑치타. 강호의 오토바이 이름이다. 자유, 해방, 질주의 상징인 오토바이에게 파랑치타라는 이름을 붙여준다. 끝없는 수평선이 생각난다. 태어나서 바다를 처음 봤을 때가 생각난다. 20살. 난 탈출하고 싶었다. 가난하다는 이유로 대학을 못간 현실에서 탈출하고 싶었다. 그래서 무작정 갔던 정동진에서 태어나 처음으로 바다를 봤다. 난 그때서야 처음으로 파랑색의 의미를 알게 되었다. 파랑색은 희망의 색이다. 희망이 필요했던 강호, 공부에 갖혀 삶을 잃어버린 도윤에게 필요한 색은 파랑색이었던 것이다. 갑자기 바다가 보고싶어졌다. 도망가고 싶어도 도망갈 수 없는 나의 삶에도 파랑색이 필요한 것 같다. 그냥 파랑색도 아닌 '달리는 파랑색' 말이다. 오늘 나는 파랑색만 생각하며, 강호와 도윤을 생각하며 희망을 가져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