沈 봉사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한국희곡선집
채만식 지음 /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 201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채만식의 희곡 제목은 <심청전>이 아니라 <심 봉사>이다. 딸 청이가 자신의 목숨을 바쳐서 효를 다하는 대상인 심 봉사를 제목으로 삼은 것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가 자신의 분수를 알고 허황된 꿈과 생각을 버리고 살았다면 딸을 잃은 불행은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심 봉사는 탁발승에 말에 혹하여 당장 공양미 삼백 석을 시주하겠다고 약속하고 뒤늦게 후회한다. 그의 한숨이 어린 심청의 마음을 자극하게 만드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것은 감출 수 없는 일이었다. 또한 많은 곡식을 장 승상 부인에게 얻어 왔다는 청이의 말을 그대로 믿고 의심하지 않았으며, 자신의 재물을 뺑덕어미에게 다 빼앗기면서까지 그녀를 의지하는 인물이다. 자신의 신세를 한탄만 하고 있지 변화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 결국 심청이의 효심 때문에 눈을 뜨지만 그는 다시 자신의 손으로 두 눈을 찌르고 장님이 된다.

 

심 봉사: (자기 손가락으로 두 눈을 칵 찌르면서 엎드러진다.) 아이구 이놈의 눈구먹! 딸을 잡어먹은 놈의 눈구먹! 아주 눈알맹이째 빠져 바려라.(마디마디 사무치 게 흐느껴 운다. ) 아이구우 아이구우

 

 자기가 자기의 눈을 찌르는 어리석은 자의 모습을 작가는 심 봉사를 통해 우리에게 보여주며, 1930년대 무능력한 지식인들, 조선의 많은 사람들을 묶어 버린 유교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허상을 보여준다. 현실속에서 임당수에 제물로 바쳐진 불행한 심청은 살아 날 수 없었다. 작가는 심청을 죽음에서 건져내지 않음으로써  현실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준다.

  눈 먼 아버지를 살뜰하게 챙기고 결국 자신의 목숨을 바쳐서까지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해 주려는 심청의 마음은 대견하기도 하다. 그러나 효라는 커다란 윤리의 강요 속에 인간의 권리와 존엄성은 여지없이 무너지고 있다. 중생을 구제하고 위로해야 할 몽은사 스님들과 부처님은 공양미 삼백 석을 바쳐야만 눈을 뜨게 해준다고 말한다. 종교적 자비와는 거리가 먼 재물에 대한 탐심이 가득하다. 장사를 하러 떠나는 길, 무사귀환을 빌기 위해 어린 여자 아이를 제물로 바치겠다는 상인들의 생각은 자신들만 잘 먹고 잘 살면 된다는 인간의 이기심을 그럴 듯하게 포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눈에 보이는 것만이 진실은 아니다. 때로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인간의 삶을 풍요롭고 아름답게 만든다. 그것을 잊은 인간들이 때로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스스로 불행 속으로 뛰어든다. 우리의 모습이라 씁쓸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