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선으로부터,
정세랑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6월
평점 :
뿌리를 내린 나무는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
비가 쏟아지던 오후, 잡혀있던 약속이 취소되었다. 앞 시간에 다른 일을 보고 카페에 도착한 나는 그냥 집에 돌아가기 싫었다. 가방 안에는 보라색 표지의 파란색 보석이 박혀 있는 것 같은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가 들어 있었다. 책을 펼치니 ‘심시선 가계도’가 나왔다. 아, 가족사 소설이구나. 두 번의 결혼 이력과 그 안에서 뻗어 나온 3대까지의 후손들을 보며, 세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인물들의 삶을 들여다볼 수 있다는 기대감이 들었다. 부계가 아닌 모계를 중심으로 펼쳐진 가계도도 좋았다. 나는 동사와 명사 혹은 명사와 고유명사가 겹치는 단어를 좋아한다. 그런 면에서도 이 소설은 마음에 와 닿았다. ‘시선’이란 인물이 어떤 인물인지, 자신이 살아온 삶을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았는지 문장들을 따라가면서 알고 싶어졌다. 그리고 나는 책을 다 읽을 때까지 집에 가지 못했다.
소설 속에서 시선의 삶과 목소리는 주로 생전의 인터뷰나 강의, 강연, TV토론, 축사, 편지 등을 통해 전해진다. 시작도 시선의 인터뷰부터이다. 진행자와 그녀는 제사 문화에 대해 토론 중이었는데 시선은 제사 문화에 대한 강경한 반대 발언과 더불어 자녀들에게도 자신 사후에 절대로 제사를 지내지 말라고 당부한다. 그러나 그녀의 자녀들은 시선의 10주기를 맞이하여 엄마의 당부를 어기고 하와이에 가서 딱 한 번 처음이자 마지막 제사를 지내기로 결정한다. 왜 하필 하와이일까. 하와이는 시선이 6·25때 가족을 잃고, 마지막 사진 신부로 떠났던 곳이다. 시선의 삶이 다시 시작된 곳이자 불행과 고통의 불씨가 된 마티아스 마우어를 만나게 된 곳이기도 하다. 그곳에서 후손들은 시선을 추억하고 기억할 수 있는 각자의 제수(祭需)들을 준비한다. 하와이와 제사, 모계를 중심으로 한 가족사 등 커다란 역사와 문화 속에 작은 여인과 그의 역사를 하나로 묶어 풀어나간 작가의 노력이 빛난다. 작가는 맨 마지막 작가의 말에서 ‘이 소설은 20세기를 살아낸 여자들에게 바치는 21세기의 사랑이다.’라고 표현했다.
소설을 읽으며 나는 제사(祭祀)문화에 대해 생각했다. 국어사전에 ‘제사’란 신령에게 음식을 바치며 기원을 드리거나 죽은 이를 추모하는 의식을 지칭하는 용어라고 나와 있다. 우리에게는 주로 죽은 이를 추모하는 의식으로 받아들여지는 쪽인데 이 명사가 ‘~하다’와 만나면 타동사나 자동사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이 재미있었다. 타인을 위해 혹은 타인에 의해서 하는 것과 자신을 위해, 자신에 의해서 하게 되는 것 사이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나는 그것을 올 봄에 경험했다.
개인적으로 이번 5월, 작년에 돌아가신 아빠의 첫 제사를 지냈다. 참고로 우리 아빠는 집안의 장남이었고, 딸만 넷을 두었다. 부모님과 달리 기독교를 믿는 우리 자매들에게 아빠는 할아버지 제사를 지낼 때도 절하기를 강요하지 않았다. 우리는 할아버지보다 음식을 차리는 엄마를 생각해서 설거지 정도를 도왔을 뿐이다. 40년대 생인 엄마에게는 며느리로서 의무감이 더 컸을 것이다. 그러나 아빠의 1주기를 지낼 때 엄마와 우리 네 자매는 그렇지 않았다. 엄마를 도와 생전에 아빠가 즐겨 드셨던 음식을 손수 준비하면서 지난 추억을 이야기하다가 얼마나 웃었는지 모른다. 생전에 아빠 제삿날 모두 모여서 너희 방식대로 기도하며 우애 있게 살라던 유언을 우리는 즐겁게 지켰다.
제사는 자주 만나고 싶어도 그렇지 못하는 가족이나 친척들이 고인을 통해 한 자리에 모여서 지난 추억을 이야기하고, 친교를 가지는 것에 더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 시간을 통해 가족의 결속력은 강해지고, 고인과의 추억은 애도가 된다. 그러니 전통과 풍습으로 묶어 놓은 채 얼굴도 모르는 사람의 제사를 지내기 위해 한쪽에만 물질과 노동을 강요하는 제사문화는 고통과 갈등을 만들어 낼 수밖에 없다. 우스운 소리로 ‘자기 부모의 제사는 자기가 지내는 걸로’라는 말이 생겨난 것도 그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사회에서는 남성들보다 여성들에게 더 치우쳤던 문제였기에 여성중심의 서사로 소설이 진행된 것이 더 설득력을 가질 수 있었다. 무조건 제사문화를 비판하기에 앞서 보다 다양한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는 생각을 할 수 있어서 좋았다.
소설속 인물들도 엄마이자 며느리, 장모, 외할머니인 시선과의 추억을 생각하고, 그녀를 애도할 것들을 찾아 나선다. 그것은 음식이기도 했고,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는 무엇이기도 했으며, 시선의 유전자를 물려받은 의지의 확인이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시선과의 추억을 통해 자신들의 지난 시간을 떠올리고 움직이며 즐거워하던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물론 가족들을 마주하면서 떠올리고 싶지 않은 고통의 사건들을 어쩔 수 없이 마주해야 했으며, 시선의 과거 때문에 다양한 비난과 비웃음을 견디어야 했지만, 오히려 그것이 가족들을 하나로 묶어줄 수 있는 결속력이 되었다.
통계와 수치, 교과서 속의 기록으로 남아있는 역사는 우리에게 사실을 알려줄 수는 있지만, 여운은 주지 못한다. 우리가 역사 속 사실을 체온으로 느낄 수 있는 것은 개인의 삶을 통해서이다. 그것은 역사책이 줄 수 없는 부분이며, 문학이 감당해야 할 역할이기도 하다.
우리는 추악한 시대를 살면서도 매일 아름다움을 발견해내던 그 사람을 닮았으니까. 엉망으로 실패하고 바닥까지 지쳐도 끝내는 계속해냈던 사람이 등을 밀어주었으니까. 세상을 뜬 지 십 년이 지나서도 세상을 놀라게 하는 사람의 조각이 우리 안에 있으니까. 331.p
한 사람의 작은 인생 속에 커다란 역사가 담겨있다. 뿌리를 내린 나무의 가지들은 바람에 흔들리고 떨어져서 사라지지만 다시 그 나무에 거름이 되고 가지가 되어 꽃으로 피어날 것이다. 그것을 각자의 세밀한 현미경으로 들여다보고 공감할 수 있다면 지나간 시간을 살다간 사람들과 또 과거가 될 현재 우리의 삶도 슬프지만은 않을 것 같다.
정세랑 작가의 소설은 재미있다. 무엇보다 소설을 펼치고 읽기 시작하면 놓지 않게 만든다. 그녀가 만들어 놓은 세계 속으로 깊이 쏘옥 들어갔다가 나오면 조금 부끄러워질 때도 있다. 그 세계를 통과하기 전의 나와 그 후의 나는 조금 달라져 있는 것도 같다. 나를 포함하여 사람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던지고 바라보았던 시선 속에 많은 폭력이 담겨 있다는 것도 드물게 깨닫기도 하고 말이다. 서울에서 하와이로, 하와이에서 독일까지 펼쳤다가 접었다가 하면서 70년에 가까운 시간을 오가게 한 그녀의 소설을 읽으며, 앞으로 나올 소설들에 기대감이 들었다. 정세랑 작가의 소설이 계속 점점 깊어지고 아름다워지면서도 재미있어지기를 바란다. 계속 읽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