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영혼을 훔친 노래들 - 고전시가로 만나는 조선의 풍경
김용찬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수능 언어영역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것은 시-고전문학이다. 시는 함축적이어서 어렵고 고전문학은 생소한 단어가 어렵고. 그런데 '시조'는? 다행스럽게도 시조는 길이도 짧고 내용도 대충 뻔하다. (혹은, 그런것들 위주로 배운다) 군데군데 섞인 한자도 어렵지 않고 대개 우리말이라. 정말 '교과서'같이 뻔한 시조도 있고 비유가 재미있는 사설시조도 있고 수능문제에서 다루는 시조들은 비교적 한정된 주제라 그나마 '만만한' 고전운문이다.

초장부터 왜 '수능'을 들먹이는가. 이 책에서 다루는 시조들은 절반 이상이 '수능 언어영역'을 위해 배웠던 친숙한 작품들인데다 마치 학생들에게 설명하듯 시조의 주제와 (지은이가 있는 경우라면) 당시 시대적 상황들을 자세히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주제별로 묶어놓은 구성도 그렇고. 사실 '시'는 '해설'하려고 읽는건 아니니까 작품 하나하나마다 일정한 주제와 의미를 풀어놓는 이런류의 해설은 수능언어 말고는 접한적이 없다. 쉽게 읽혀서 좋기도 하고 ㅡ 별 새로운 것이 없어 심심하기도 하다. 특정 주제로 묶어놓다보니 입체적 해석 - 당시 배경을 고려한 '속뜻' 해석 말고 - 이 없는것도 아쉽다. 읽으면서 바로 생각했다. '고전운문 어려워하는 학생들한테 읽히면 좋겠다!'

고전 운문들이 그렇듯 '자연'에 관한 시조가 많다. 지금보다 훨씬 자연에 가까웠던 조선 사람들이 오히려 우리보다 더 자연을 그리워한다. 우리가 그리워하는 자연이 공기 좋고 물 맑고 안락한 '휴양지'라면. 그들이 그리워 하는 자연은 사람손이 닿지 않은, 사람이 들어간대도 그저 풍경중 하나로 슬쩍 끼여들 수 밖에 없는 거대한 그 무엇이다. 자연을 내게 맞추지 않고 자연과 소통하며 자연의 일부가 된다. 나의 '대상'이 아니라 동등한 '주체'다. 이런 사람들이 '대운하'를 보면 '새만금'을 보면 뭐라고 할까? 태안에 기름을 부은 '사람'보다 오히려 죽어가는 생물들에게서 동질감을 찾지 않을까?

시의 언어들은 점점 더 응결된 '결정'처럼 웅크러드는데 여기 시조들의 언어는 한자 관용어구를 빼면 일상언어처럼 너무나 구체적이다. 원래는 노래로 부르던 것들이라 하니 차라리 오늘날 '시'보단 '노래'에 비교하는게 낫겠다. '시'와 '노래'의 분리는 ㅡ 일상적인것이 특별한 것으로 바뀌어가는데 있지 않을까. 그때그때 노래/시를 지어 부를수 있던 풍류는 어디로 갔을까. 틈 날때마다 자기를 되짚어보며 '현재'를 사는 여유가 그립다. 늘 오지않은 현재/지나간 현재를 '생각하느라' 지금을 놓치고 사는 우리들이기에.

모두 20개의 주제를 다루고 있고 - 서너개씩은 연관되는 주제다. 사랑과 그리움/벗과 자연, 술, 음악 등 - 각 주제마다 한두개씩의 그림이 실려있다. 김홍도/신윤복의 유명한 그림이 많고 '친절한 조선사'에도 등장한 재미있는 그림 몇편이 있다. 반듯반듯한 글씨로 쓰여진 홍랑의 시조(묏버들 가려꺾어~) 원본과 무너지는 억장을 표현하는 듯 휘갈겨 쓴 '이응태공 부인의 언간' - 사별한 남편의 관에 넣은 편지. 1998년 안동에서 발견되었다. 그 애틋한 마음 때문인지 400년이 지났는데도 글자 한자 상하지 않았다고 한다. - 원본이 인상적이다. 이 두가지를 비롯해서 특별한 사연이 있는 사진/그림은 따로 설명을 붙였어도 좋았을 텐데. 화가 이름/사진 이름만 있고 그 밑엔 본문 내용 중 일부가 쓰여있어 따로노는듯한 느낌이다.

정치적 성격이 강한 시조에 대해선 신랄한 비판도 있을법 한데 대체로 중립적이거나 우호적으로 설명해간다. 뒤에 붙은 작가/작품 색인도 그렇고 여러모로 '청소년 도서' 분위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