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의 해석
제드 러벤펠드 지음, 박현주 옮김 / 비채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처음 책에 대한 소개를 읽었을때는 "정신분석학과 추리소설의 완벽한 만남"이라는 부제가 무척이나 매력적인 책이었다. 한창 정신분석입문서를 들고 끙끙대고 있었던 터라 프로이트와 융이라는 정신분석의 두 거장의 이론을 쉽고 구체적으로 접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때문이었을까. 500페이지가 넘는 책의 두께도 별로 부담스럽지 않았다. 그런데..

표지의 매혹적인 여성사진 만큼이나 내용이 매력적인건 사실이다. 여느 추리소설처럼 사건의 베일이 조금씩 벗겨지는 숨막히는 순간에 무심하게 장면을 전환하며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구성부터 은밀히 관찰하는듯한 3인칭시선과 1인칭 독백의 적절한 혼합까지. 추리소설로서는 충분히 읽을만한 가치가 있다. 하지만 정신분석학적 내용은 거칠게 말하면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자세히 녹아있다는것이 전부다.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는 '무의식'이라는 용어만큼 이미 너무 일상적으로 접하는 용어인지라 별반 새롭게 다가오는것이 없다. 오히려 그 당시에는 가히 혁신적이었을 그 개념이 당대 사람들에게 얼마나 충격적이었나 하는 '시대의 차이'를 알수있다는 정도

프로이트와 융을 내세웠지만 사실 두 인물은 소설 전개에 있어 그리 비중있는 역할은 아니다. 융의 '배신'이란게 극적으로 나타나있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소설적 상상력일 뿐이고, 프로이트와 대립되는 융의 이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없이, 약간은 신비적으로 묘사되어 있는것 ㅡ 약간은 융에 대해 부정적인 인상도 엿보이는 ㅡ 이 아쉬울 뿐이다.

다른 측면에서 책의 장점을 찾아보자면 당시 뉴욕의 풍경에 대한 자세하고 구체적인 묘사, 그리고 살인사건을 추적해 가는 과정이 여느 영화나 수사극처럼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는 점이다. '다빈치 코드'만큼의 열풍은 아니겠지만 ㅡ 정신분석학이라는 학문이 풍기는 소원함 때문에서라도 ㅡ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그다지 질리지 않게 읽어볼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