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아고라 - 조선을 뜨겁게 달군 격론의 순간들!
이한 지음 / 청아출판사 / 200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조선 아고라]의 저자를 좋아하는 이유는 사람 냄새 풍기는 역사 이야기를 저술하는 작가이기 때문이다.

그의 책은 언제나 재미있고 사료에 충실하며, 사람 냄새를 풀풀 풍긴다.

이런 그의 글은 역사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 읽어도 역사의 매력을 느께게 하는 힘이 있고,

역사서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한없이 빠져들게 만드는 마력을 지니고 있다.

 

이 책의 제목은 토론이 일상적으로 벌어졌던 고대 그리스의 집회장 아고라(agora)에서 따왔다고 한다.

'아고라'에 부연한 한자는 토론의 '모습'에서 따 온 것으로,

 아(我) - 서로 고집하고, 고(考) - 홀로 생각하고, 라(喇) - 말로 주장하다의 조합이다.

제목도 제목이지만, '조선을 뜨겁게 달군 격론의 순간들'이란 부제는 책을 읽기도 전에 나를 흥분시켰다.

 

조선을 뜨겁게 달구며 역사를 움직인 토론은 5장으로 구성 되어 있다.

각 장에 예외 없이 등장하는 임금과 신하들은 각종 정책을 놓고 밀고 당기기를 하며 힘겨운 토론을 벌인다.

찬성과 반대를 무수히 오가다 결정지은 정책은 하나의 정책이 탄생되는 흐름을 세밀히 보여준다.

그 과장을 따라가는 일은 역사 공부에 유익할 뿐더러 현대인들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

이것이 이 책이 지닌 장점이다.

 

첫번째 논쟁은 한성 천도 논쟁이다.

'새 술은 새 부대에'라는 태조의 슬로건 아래 진행된 한성 천도는 태조를 제외한 모든 신하들의 반대에 부친힌다.

민심을 거스르며 추진한 한성 천도의 토론에서 신하들은 풍수지리와 민생고를 내세워 반대한다.

태조는 반대하는 신하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나, 그의 내심은 수도를 옮기기로 이미 결정을 한 상태였다.

그럼에도 천도를 강행하지 않은 이유는 분쟁의 씨앗을 남기지 않기 위한 태조의 전략이었다.

의견은 수렴하되 그 의견을 결정에 반영하지 않기로 말이다.

결국 한성 천도는 어거지로 이루어졌다가 정종의 개경 환도와 태종의 효도 차원으로 추진된 한성 천도로 매듭지었다.

천도와 환도, 다시 천도의 와중에서 신음하는 백성들의 고충을 행간에서 읽을 수 있었다

 

 

두번째 논쟁은 공법 실시 논쟁이다.

문제 많은 기종의 세금제도를 공법으로 고치기 위한 이 논쟁은 자그마치 17년 동안 이어졌다.

세금제도 하나를 놓고 지리하게 이끌어온 논쟁이다.

세종은 이렇게 기나긴 토론에서 시종일관 공법을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법을 시행하겠다는 세종의 집념과 논쟁을 벌이는 그의 태도는 과연 성군다웠다.

강압적이지 않은 태도, 신하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자세, 화를 내거나 권력을 휘두르지 않는 점이 훌륭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공법 시행의 중앙에 민생을 걱정하는 세종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백성애와 세종의 끈질긴 노력으로 탄생한 공법은 조선의 토지제도의 근간이 되었다.

 

 

세번째와 네번째 논쟁은 그 유명한 예송 논쟁이다.

송시열을 끈질게게 따라다닌, 그럴 수 밖에 없는 예송 1,2차 논쟁은 우리에게 아주 익숙한 논쟁이다.

다른 사람의 주장에는 두 귀를 막고 자신의 주장만 고집했던 송시열을 만나는 일은 이번에도 불편했다.

그는 뛰어난 학자다.

하지만 정치인으로서의 횡보와 그의 인간됨은 그의  뛰어난 실력을 왜소하게 만든다.

목적 달성을 위하고 서인 세력을 위한 일이라면 상대를 무자비하게 탄압하고,

왕을 교묘하게 속이고, 백성을 내세워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는 외곬수이며 말바꾸기의 명수다.

결국 예송 논쟁은 단순한 상복 문제가 치열한 당파싸움으로 바뀌고 말았다.

그 와중에 일어난 갑작스런 현종의 의문사는 몹시 서글픈 일이다.

 

 

다섯번째 문체반정 논쟁이다.

'잘못된 글을 올바른 것으로 되돌린다'는 문체반정의 주역은 정조가 맡았다.

새로 유행하는 문체가 마음에 안 든다는 정조는 소설체 대신 고문을 쓰도록 했다.

새로운 문체를 쓰는 초계문신들에게는 반성문을 쓰도록 했다.

박지원도 [열하일기]를 쓴 덕에 정조에게 반성문을 올렸다.

그거도 아주 비굴하게.

한국의 세잌스피어라 불리는 천하의 박지원이, [양반전]을 통해 신랄하게 양반을 비판한 박지원 말이다.

[열하일기]가 오늘날 고전을 읽는 사람들에게 1순위로 읽혀지고 가장 좋아하는 책이라는 사실을

정조가 들으면 어떤 반응을 보일지, 또 연암은 어떻게 반응할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