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말엔 무슨 영화를 볼까?> 2010년 1월 1주 !
예술의 꽃을 피우기 위해 자신의 일생을 불살랐지만 고통스런 인생을 산 여류화가는 확실히 매력적인가 보다. 그래서 영화는 언제나 그녀들 주변을 맴도나 보다. 그리고 그녀들에 관심을 갖고 또한 그녀들의 매력을 집요하게 형상화한다.
근대 미술이 탄생한 이후 많은 여성들이 미술계에 진출했지만 고달픈 인생의 여정은 그녀들 주위를 언제나 맴돌았다. 그녀들의 인생은 항상 드라마틱했지만 그녀들의 인생은 환상적이지도, 평범하지도 않았다. 남성에게 버림받고, 힘든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던 것은 동서양을 불문했나 보다. 한국 최초의 근대화가인 ‘나혜석’이 노숙자처럼 생을 마감했다는 안타까운 인생이야기는 미술을 업으로 한 여성이 예술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지금과는 다르게 얼마나 어려웠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모습은 한국만의 사항은 아닌 듯 하다. 여류화가로서의 비극적인 삶을 산 세 명의 여성은 영화로 매우 극적으로 형상화됐다.
남자에게 버림받거나 육체적 장애로 고통을 겪거나 한다. 또한 자신의 천재성을 인정해주지 못한 사회에서 힘들게 생활하곤 한다. 그래도 그녀들은 포기하지 않았다. 아니 포기할 수 없었다는 표현이 더욱 적절하리라. 세상에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유일한 길은 작품 밖엔 없었고, 자신들의 힘든 인생을 작품으로 보상받으려 했다. 그러기에 그녀들은 작품에 모든 것을 걸었고 그곳에 그녀들의 열정, 노력 등을 쏟아 부었고, 그래서 그녀들은 집착과 광기에 사라 잡히기도 했다. 그녀들은 그렇게 인생을 살고 마감했다. 그런 인생을 산 그녀들엔 ‘세라핀 루이,’ ‘카미유 클로델,’ 그리고 ‘프리다’가 있다.
세라핀 (Seraphine, 2008)
천재성에 비해 명성을 갖지 못한 여성 화가의 슬픈 일대기를 그린 작품이다. 그녀의 말년은 정신병원에서의 삶이었을 만큼 그녀는 사회의 무시와 냉대, 그리고 자신의 광기로 점철된 인생을 살게 된다. 그런 그녀에게 우연한 기회로 감독 ‘마르탱 프로보스트’의 관심이 다가왔다. 그리고 마침내 2008년 그녀에 관한 영화가 나오게 된다. 적은 예산으로 만든 영화라서 개봉관이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평단과 관객들의 극찬으로 명품 영화의 가치를 얻게 되고 마침내 프랑스 전역은 물론 한국에까지 개봉된 작품이다. ‘욜랭드 모로’는 ‘전미 비평가 협회상’과 ‘LA 비평가 협회상,’ ‘노포트비치 영화제,’ ‘세자르 영화제’ 등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마르탱 프로보스트’ 감독 역시 뉴포트비치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
‘세라핀 루이’는 하녀였다. 전문적 교육을 받을 수가 없었지만 독학으로 천재적인 능력을 개발했고 그런 노력으로 자연의 영감을 받아 자신만의 독특한 미학을 창조한다. 1928년 그녀의 주인이었던 ‘빌헬름 우데(Wilhelm Uhde, 1874-1947)’가 그녀의 천재성을 확인하고 그녀의 patron이 되면서 그녀를 적극 지원한다. 이후 그녀는 또 다른 천재화가인 ‘앙리 루소’와 함께 ‘나이브 아트’의 대표주자로까지 발돋움한다.
그러나 대공황으로 모든 것이 바뀌게 됐다. 공황으로 그녀에 대한 우데의 지원이 끊기게 됐고 경제난, 사회적 편견, 그리고 전쟁과 함께, 급기야 정신병까지 앓게 되면서 정신병원에 입원, 이후 그곳에서 사망하게 된다.
그녀는 자연에 영향을 받아서인지 그녀의 작품은 주변에서 흔히 자연적인 소재들을 엿볼 수 있다. 즉, 꽃, 나무, 물, 야생열매, 들풀 등이 그것으로, 평범한 대상들을 화려하고 원시적인 색감으로 형상화하면서, 여성 특유의 섬세함까지 가세, 묘한 강렬함을 살린 작품들을 선보였다.
까미유 끌로델 (Camille Claudel, 1988)

그녀의 이야기는 언제나 최고의 조각가 ‘오귀스트 로댕(제라르 드파르듀)’을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 그녀의 천재적인 예술적 능력을 확인하고 그녀를 발탁했으며, 그녀와 사랑을 나누었지만 그녀를 버린 남자이기도 하다. 이 둘의 관계는 영화의 중심이 있으며, 로댕과의 관계를 통해 까미유 끌로델(이자벨 아자니)의 인생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영화로 오스카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던 이자벨 아자니의 눈부신 연기를 확인할 수 있는 이 영화는 카메라맨 촬영감독이었던 ‘브루노 누이땅’의 첫 번째 연출작임에도 불구하고 대단한 걸작을 만들고 말았다. 이자벨 아자니는 이 작품으로 베를린국제영화제와 세자르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세기 프랑스 최고의 조각가인 ‘오스뀌드 로댕’의 연인으로만 알려졌던 까미유 끌로델은 언제나로댕의 그늘을 벗어나지 못하고 말았다. 그녀의 시작이 로댕으로부터 시작됐고 그의 모델이 되기도 했지만 마지막 역시 그가 그녀를 버림으로써 모든 것이 끝나고 말았다. 또한 이런 비극적인 결말의 또다른 원인으로 지적될 수 있는 것은 19세기 후반 파리, 독립적인 여성 예술가에 대한 사회적 억압으로서 조각가가 되고자 했던 끌로델은 이 사회적 장벽을 넘지 못했다.
스승이었던 로댕과의 사랑과 불륜으로 가족에게 버림받은 채 무려 생의 마지막 30년을 정신 병동에서 보내고 만다. 또한 그런 상황 속에서도 가난과 광기로 인생의 후반을 보내고 만다. 또한 점차 확고해진 로댕의 명성과는 반대로 그녀는 이름없는 예술가의 비극적 삶만을 부여 받았다. 마지막 엔딩에서 볼 수 있는 동생에게 보내는 슬픈 편지는 그녀의 인생의 모든 것을 보여준다. 로댕의 비극적 연인으로만 기억되던 카미유 클로델의 치열한 삶을 뛰어나게 조명해냈다.
프리다 (Frida, 2002)
1983년 헤이든 헤레라(Hayden Herrera)의 책 [프리다]가 출간되고 나서야, 당시엔 무명이었다 ‘프리다 칼로’란 멕시코 화가에 관심을 갖게 된 프로듀서 ‘낸시 하딘’는 10여 년간의 힘든 활동을 통해 마침내 줄리 테이머를 감독으로 그녀를 영화화하게 된다. 멕시코 출신의 배우 ‘셀마 헤이엑’이 그녀의 그늘진 인생을 연기했고 오스카상에서 분장, 음악상 등 2개 부문 수상했다.
그녀의 작품은 현재 최고가로 거래되고 있지만 생의 상당 시간 무명이었다. 또한 그녀의 이름엔 언제나 그녀의 남편이자 멕시코의 유명한 화가인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가 나오게 된다. 디에고 리베라 (알프레드 몰리나)는 까미유 끌로델에서의 로댕과도 같지만, 어쩌면 프리다에겐 더욱 가혹한 존재였다. 18세에 버스 사고를 당하면서 하반신이 마비되는 불운을 겪게 된 것을 시작으로 남편 디에고 리베라의 난잡한 사생활로 마음 편한 인생을 살지 못했다. 영화에서 표현된 그녀의 불운한 인생은 그녀로 하여금 자신의 미모와 열정, 그리고 인생을 그림에 쏟아 붇도록 만들었고 영화는 객관적으로 그런 모습을 차분하게 그려내고 있다.
영화는 극찬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지만 호평이 조금 우세한 편이다. 또한 그녀의 사상을 드러내지 못한 점이 있기도 하다. 그녀는 양성애자였으며, 사회주의자이기도 했다. 역시나 일자로 된 그녀의 눈썹은 그녀의 상징이 됐고, 도전적인 인생을 추구하는 페미니스트들의 활력이 되기도 했다. 무엇보다 불운이기보다 투쟁적인 그녀의 인생을 다시금 재조명할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