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성사란 무엇인가? - 역사가가 텍스트를 읽는 방법
리처드 왓모어 지음, 이우창 옮김 / 오월의봄 / 2020년 4월
평점 :
역사는 여러 하위 분과로 나뉜다. 그 중 하나가 지성사(Intellectual history), 혹은 사상사(History of ideas)다. 그외의 영역들에 대해서는 『OO(역)사란 무엇인가?』 같은 키워드로 검색해볼 것을 권장한다. 너무나 분야가 다양해서 여기에 나열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 중에는 정치사 같은 전통적으로 강세를 부이는 하위 분과도 있고, 여성사처럼 20세기 후반에 부상한 분과가 있는가 하면, 공공 역사, 환경사, 디지털 역사처럼 21세기 들어 주목받는 분과들도 있다.
이 책은 이처럼 다양한 역사학 분야들 중 하나로서 지성사가 거쳐온 궤적과 그 실천성, 존재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지성사 입문서다.
지성사, 혹은 지성사의 또 다른 명칭이라 할 사상사에 가해진 전통적인 공격이자 선입견을 들자면, 일부 남성 엘리트들이 남긴 텍스트에만 매달린다는 것이다. 한국으로 치면 일부 남성 사대부들이 남긴 저명한 텍스트만 연구대상으로 삼는 경우를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이 같은 이미지를 서양사에 반전시켜 본다면, 이미 죽은 일부 엘리트 백인 남성들의 텍스트에만 매달리는 것으로 다분히 비춰보이기 쉽다. 당연하지만 지성사는 하나의 연구방법론이기 때문에 어떤 텍스트든 연구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는 오류다(문제는 현재와 거리가 멀수록 연구를 위한 역사적 자료 자체가 빈약해진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그러한 오해를 바로 잡고, 나아가 하나의 역사적 실천으로서 지성사란 무엇인가를 조망한다. 이 책의 본문 첫부분인 서론에서 제일 먼저 제시되는 것은 19세기 초 잉글랜드의 한 채석장에서 발견된 석공의 메시지다. 저자는 해당 석공의 메시지를 두고 사회사가일 경우 채석장 노동자들의 삶과 사회적 위치, 노동자가 속한 사회를 재구성하고자 할 것이며, 경제사가는 노동자들의 임금 및 경제적 조건을, 문화사가는 개인과 사회집단의 독특한 담론이나, 역사적 인물과 보다 큰 사회 집단 간의 권력관계를 분석할 것이나, 지성사가라면 석공이 남긴 언어, 즉 말에서 출발할 것이라 가정한다. 이어서 저자의 시선은 석공의 짧은 메시지로부터 19세기 초 영국의 상황과 그에 대한 데이비드 흄의 당대 인식으로까지 이어진다.
이 책은 서론, 본문 6장, 결론, 옮긴이 해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저자 리처드 왓모어는 먼저 지성사에 대해 개관한 후, 현재의 지성사(정확히는 저자가 속한 캠브리지 학파)에 이르기까지의 지성사의 역사를 소개한다. 이 과정에서 아서 러브조이처럼 낯선 이도 있는 반면, 콜링우드, 쿤, 푸코처럼 반가운 이들도 등장한다.
그러나 이 책에서의 주인공은 결국 저자가 속한 캠브리지 학파다. 이 책에서 저자가 제시하는 지성사의 방법론, 실천적 의의 모두 캠브리지 학파의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해당 학파의 창시자라 할 퀜틴 스키너와 J. G. A. 포칵은 1960년대 기존의 사상사의 방법론에 반기를 들고 기존 사상사의 오류를 지적하며 그 대안으로 언어맥락주의를 내세웠다.
스키너의 언어맥락주의에서 철학적 기반은 영국의 철학자 오스틴의 화용론에 바탕을 둔다(오스틴의 저작 『말과 행위』는 현재에도 번역서가 절찬 판매 중이다). 예를 들어보자. 경찰이 얼어붙은 호수 위에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을 보고 "거기 얼음이 얕으니 주의하세요"라고 말한다면 무슨 의도에서 이런 말을 한 것일까? 단순히 얼음이 얕다는 사실을 전달하기 위함일까? 여기서 텍스트의 이중적 면모를 끌어낼 수 있다. 어떤 텍스트가 말해질 때나 쓰여질 때, 즉 발화될 때와 해당 발화가 지니는 발화수반적 힘(illocutionary force)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다. 스키너는 저자가 텍스트를 쓰는 행위와 저자가 쓴 텍스트를 별개로 구분하고, 텍스트를 저술하는 시점, 즉 특정한 역사적 맥락에서 텍스트의 저자가 의도한 바, 그리고 행위로서 텍스트의 효과를 따져보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예컨대 우리가 플라톤의 텍스트를 읽을 때, 플라톤이 역사적 맥락에서 어느 시점에 위치하는지, 그리고 플라톤이 텍스트를 작성한 의도가 무엇인지, 해당 텍스트가 지니는 발화수반적 힘이 무엇인지를 따져보아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플라톤이 당대 아테네의 민주주의를 논하는 텍스트를 현대 민주주의 정치 체제에 대한 텍스트라고 착각해버리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언어맥락주의는 지성사가들의 도구이기도 하지만, 현실에서도 유익한 실천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논증의 탄생』이라는 책을 보면 우리는 언제나 주장을 하고, 그에 대한 논거를 대고, 논거의 근거를 댄다. 한 마디로 '논증'을 한다. 우리가 일상에서 수행하는 커뮤니케이션은 주장, 논거, 근거를 늘 수반한다. 지성사의 방법론으로서 언어맥락주의는 누군가가 어떠한 주장을 할 때, 그의 주장을 탐색하게 해주는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주장을 내세우는 사람이 어떤 맥락에서 그런 주장을 펼치는가, 주장을 하는 의도는 무엇인가, 주장이 담고 있는 발화수반적 힘은 무엇인가. 이 같은 지점들을 곰곰이 따져 우리는 세상에 범람하는 황당무계한 주장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이거나 반대로 오해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쯤에서 이 책의 한계점도 지적해두는 것이 온당하겠다. 사실 언어맥락주의는 1960년대 퀜틴 스키너의 글에서 등장한 연구방법론인 만큼 국내 학계에서도 여러 차례 소개되었다. 옮긴이 해제에서 이러한 부분을 딱히 설명하지 않고 있다는 점은 짚고 가야 할 점이다. 이 책 본문의 한계를 꼽자면 이 책의 서술에서 주인공이 캠브리지 학파라는 점이다. 사상사 혹은 지성사는 각 국가마다 그 관심 분야가 달라지고 연구방법론도 조금씩 달라진다. 이 책에서 소개되듯이 독일에서는 개념사가 강세를 보인다면, 이 책에서는 일언 반구의 언급도 없지만 미국에서는 오래전부터 고유한 사상사 혹은 지성사가 전개되었다. 『지성사란 무엇인가』라는 제목에도 불구하고, 이 책만으로는 지역별로 다른 지성사/사상사의 흐름을 포착할 수 없다. 어떻게 보면 유럽, 그 중에서도 영국, 영국에서도 캠브리지 학파의 일원들만의 사상사를 개론서로 소개하고 있는 셈이다.
이 책을 읽고난 후, 우연히 한 유튜버의 영상을 보게 되었다. 해당 유튜버의 비판점을 요약하자면 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의 텍스트를 바탕으로 쓰인 한 베스트셀러 서적이 사실은 저자가 아들러의 텍스트들을 원래의 맥락과 다르게 왜곡한 책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 베스트셀러의 저자는 아들러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발언을 교묘하게 비틀어 마치 성인까지 포괄하는 발언으로 고쳐쓰는 식으로 아들러의 원래 의도를 곡해한 지점이 많다는 것이다.
나는 아들러의 심리학을 잘 모르기 때문에 이 사안에 대해 판단할 의도는 전혀 없다. 문제는, 우리가 현실에서 마주하는 여러 텍스트들이 오류가 없을 수가 없다는 점이다. 저자가 의도했거나, 의도하지 않았거나 간에 말이다. 그래서 이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가 더 중요해진다. 이 같은 상황에서 지성사, 특히 언어맥락주의의 방법론은 저자와 저자의 발화로서 텍스트 간의 관계를 포착하여 텍스트를 면밀히 읽도록 도와줄 수 있다. 역사적 텍스트를 넘어, 현실에서 누군가의 주장을 마주할 때 이 책의 독자는 상대의 주장을 해부할 수 있는 메스를 쥐고 마주선다고 할 수 있겠다. 그 점에서 이 책은 단순히 지성사를 소개하는 개론서를 넘어서는 실천적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