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을 쫓아 신화가 된 사나이 

 

 

나는 그려야만 하오

이 절박한 한마디로 세상에 신화가 된 한 사나이가 있다. 이 작품은 그림을 그릴때에만 존재할 수 있었던, 이 세상에 오직 하나밖에 없는 자신의 달을 쫓아 살다 간 한 남자에 대한 이야기다. 그 남자의 이름은 찰스 스트릭랜드. 능력있는 증권 브로커로 단란한 가정을 이루며 부러울 것 없어 보였던 이 남자는 하루아침에 가정을 버리고, 화가가 되고자 하는 열망에 휩싸여 쫓기듯 가출하게 된다.

 

이 작품을 쓴 서머싯 몸은 우리에게 <인간의 굴레에서>란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누구나 한번쯤은 <달과 6펜스>와 함께 이 작가의 책을 읽어봤을 정도로 우리에게는 친숙한 작가이다. <달과 6펜스> 속 화가 스트릭랜드는 후기인상파 화가 고갱을 모델로 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고갱의 삶을 그대로 답습한 자서전이라기보다는, 굴곡이 많았던 고갱의 삶을 단순화하여 화가의 내적 예술 세계에 촛점을 맞춰 새롭게 구성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아이들의 아버지이자, 한 여자의 남편이었던 평범한 남자가 언제 어떻게 변할 줄 모르는 열망에 휩싸여 세상 속 안락함을 버리고, 한 순간에 아무것도 알 수 없는 블랙홀같은 시간 속으로 황홀한 발걸음을 내딛게 되었는지 따라가 보자.

 

집을 나온 스트릭랜드는 파리의 허름한 호텔에 머물면서 자신의 내면에서 울려 나오는 소리에 만 집중하면서, 그 소리를 자신만이 표현해 낼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로 만들어내기 위해 온 힘을 기울인다. 그 과정에서 이 이야기를 이끌어가고 있는 화자(작품 속 ’)도 만나고, 사람좋은 화가 스트로브와 그 부인 블런치도 만나게 된다. 본의 아니게 블런치와 육체적인 스캔들을 일으키게 되면서 그 부부를 파멸에 빠뜨리게 되지만, 정작 본인은 아무 일도 아니란 듯, 냉정함을 보인다. 그러나 블런치와의 관계는 스트릭랜드에게 자신의 이미지를 보다 더 잘 표현할 수 있게 해 주는 가교 역할을 하게 된다. 일정한 수입 없이 굶기를 밥 먹듯이 하는 어려운 생활 속에서도 꿋꿋하게 자신의 마음 속 달을 놓지 않았던 스트릭랜드는 우연히 그렇게나 찾고 헤매던 무의식 속 영혼의 고향 타히티를 만나게 되면서, 자신의 내적 공간과 현실적으로 조우하게 된다. 봄에 꽃이 피듯, 스트릭랜드는 자연스럽게 자신의 천재성을 드러내면서 드디어 세상의 신화가 된다.

 

어렸을 때 아무 감흥없이 교과서에서 만났던 고갱을, 이 작품을 통해, 스트릭랜드를 통해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천재의 삶이 주는 고뇌에 조금 더 접근할 수 있었다.

 

지난여름, 시립미술관에서 만났던 고갱의 그림들 앞에서 심장이 두근거리고, 머리가 어지러웠던 기억이 떠오른다. 오랜 시간을 거쳐 스트릭랜드의 그림들이, 아니 고갱의 그림들이 생생하게 살아 나와 내 심장 속으로 예술가의 정신을, 작품의 아름다움을 전해 주었다.

그 시간들이 이제는 나에게 신화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고갱, 타히티의 관능
    from 꽃별이네 2013-09-22 21:56 
    고갱의 새로운 발견...그 사람이 궁금해졌다 귀스타브 아로자는 자신의 개인적 취향을 통해서, 고갱으로 하여금 모든 예술가가거치지 않을 수 없는, 새로운 길로 나아가기 전에 관학파의 인습에서 빠져나와야 하는 힘겨운여행을 하지 않을 수 있게 한 셈이다. 119 그는 일찍부터 위대한 예술가와 그렇지 못한 예술가의 차이는 반드시 재능이나 솜씨의 문제라기 보다는 괴팍함의 추구, 유일한 무엇인가를 하고 싶다는 억누를 수 없는 욕망의 문제라는 사실을 깨닫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