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방한중인 장 피에르 드 마저리 유엔 세계식량계획 WFP 평양사무소 대표는 29일 "북한의 식량 위기상황은 매우 심각하며,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드 마저리 대표는 이날 오후 서머셋 호텔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세계식량계획(WFP)은 북한에 필요한 식량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지만 이는 지원국의 도움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한에서 식량 공급은 매일 매일의 투쟁과 같다"며 "이는 지난해의 수해와 그로 인한 농경지 손실 그리고 WFP 등의 국제 구호단체를 통한 공여국의 지원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대표적 북한 식량 지원국이었던 한국과 중국마저 북핵 사태 등을 이유로 북한에 대한 원조를 중단하면서 북한의 식량부족이 한층 심화되었으며, 이는 가장 취약한 계층인 임산부나 산모, 5세 미만의 어린이에게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지금 당장 도움을 주지 않는다면 곧 다가올 춘궁기에 북한 주민들의 식량 위기는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라고 호소했다.
드 마저리 대표는 특히 "이번 평양 방문에서 북측이 과거와는 달리 협조적인 태도를 보인 것은 WFP의 북한 활동의 중요성을 북한 당국도 인정한 것이라 본다"며 북한 당국의 변화된 태도와 식량 지원의 절실함을 강조했다.
그는 "북한이 WFP에게 전체 인구가 필요로 하는 식량과 자체 생산량 사이에 100만톤의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며 "북한 측이 이같이 식량 부족을 인정하고 게다가 직접적 수치를 인용한 것은 처음으로, 이는 북한이 정말로 식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부연했다.
드 마저리 대표는 "WFP는 정치적 기관이 아닌 만큼 정치적 논쟁은 피하고 싶다"고 전제한 뒤 "인도적 지원은 정치화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북한 식량 지원이 정치적 이슈에 좌우되고 있지만 북한의 굶주린 아이들은 정치를 알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한국 정부가 지난해 약속한 식량 5만톤 지원이 정치적 이유로 현실화되지 않았지만, 한국 정부는 이를 이행할 의지가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덧붙였다.
2007년 3월 29일 뉴시스 정치 뉴스에서 발췌
이 뉴스는 <왜 세계의 절반이 굶주리는가>에 대한 현실 상황을 포괄적이고 긴박하게 보여준다. 이런 기아 상황이 발생하게 된 이유와 상황, 해결되지 않을 때의 예상 결과, 주변국과 구호 단체의 역할까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그러나 우리는 이와 같은 기사를 예사로이 읽어 넘기고 이들의 어려움을 지극히 외면하고 있다. 이는 저자가 말한 것처럼 ‘사람들이 기아의 실태를 아는 것을 대단히 부끄럽게 여기기 때문에, 그 지식 위에 침묵의 외투를 걸치’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저자인 장 지글러 교수는 유엔 식량 특별 조사관 일을 하면서, 강대국의 관심 밖에서 소외받고 있는 많은 국가의 기아 인구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기아의 근본적인 원인과 그 실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아지지 않는 현실 등에 대해 침착하고 논리적으로 설명한다. 아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어서, 얼핏 보기로는 인터넷 홈페이지의 FAQ (frequently asked question)처럼도 보인다. 그러나 안을 들춰 보면 기아의 처참한 내용에 대해 감정적으로 흔들리지 않는 침착한 설명이 대조적으로 비춰진다. 감정적으로 대한다면야 뜨겁게 끓었다가 뜨겁게 식는 반응만을 유발할 수 있겠지만, 여러 나라의 역사와 지리, 정치,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 등을 풍부하게 실어 놓아서 우리가 기아에 대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머리로 이해한 지식들은 계속해서 우리 안에서 무엇인가 행동으로 이루어내도록 촉구할 것이다.
웰빙과 로하스가 트렌드인 요즘 같은 시대에,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생존 그 자체가 목적인 그들의 현실은 남의 일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가슴이 아프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아픔을 내 아픔으로 느낄 줄 아는 유일한 생명체가 인간’임을 새삼 깨닫고 행동으로 옮겼으면 한다. 그들도 우리와 같은 인간이기 때문이다.
월드비전: www.worldvision.or.kr
굿네이버스: www.goodneighbors.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