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을 배반한 과학자들 - 되풀이되는 연구 부정과 '자기검증'이라는 환상
니콜라스 웨이드.윌리엄 브로드 지음, 김동광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자라고 하면 왠지 다른 직업의 사람들보다 더 정확하고 꼼꼼하고 객관적인 결과에 충실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과학의 특성과 연계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수많은 기만과 표절의 사례를 통해 과학과 과학자의 문제점, 이 문제가 발생하게 된 원인을 총체적으로 살펴본다.
과학은 ‘인간이 두 가지 목표, 세계를 이해하고 그 이해를 위해 기울이는 개인적 노력을 인정받는다는 것을 위해 분투해온 무대’였다고 저자들은 말한다. 과학에 대한 첫 번째 목표보다 두 번째 목표에 대한 필요성과 보상의 유혹이 커질수록, 그리고 과학이 발달하면서 발각될 위험이 적어질수록 기만과 표절이 늘어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논리적 연역, 결과의 객관적 검증, 이론의 구축이라는 과학적 방법의 기둥’에서 벗어나서, 자신이 세워둔 이론에 입각하여 주관적인 결과를 수집하게 된다.
과학자의 연구 성과는 논문과 특허로 발표되며, 동료들의 검증과 실험의 재연을 통해 점검되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이지만, 저자들이 책에서 이야기했듯 과학의 분야가 점점 더 지엽적이고 전문화되면서 검증과 재연이 어려워졌다. 여기에 ‘데이터를 말끔하게 다듬거나 통계치를 약간 부풀리고, 마음에 드는 데이터만 선별하여 보고하는 행위’가 더해질 경우 재연 성공률은 더 낮아진다. 저자들은 과학에 기만과 표절이 난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술지의 축소와 경쟁, 논문의 양보다는 질을 추구할 것을 제안한다.

지금 과학계에 종사하는 내 입장에서는 책 내용에 자유로울 수 없기에 100% 공감하며, 그리고 뜨끔해 하며 읽었다. 회사에서도 논문과 특허의 개수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승진에 가산점이 부여되므로 그 분야를 소홀히 할 수 없고, 최소한이지만 부분적인 데이터 마사지도 실시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특허나 논문에 나와 있는 실험을 그대로 해 봐도 재연이 어려운 것은, 아주 세세한 항목까지 기술되어 있지 않고 핵심적인 것은 누락시키기 때문이다.
다른 분야에서는 지적 재산권이 철저히 지켜지는데, 과학에서는 객관적이고 자세한 지식을 요구하는 것도 사실 형평성이 어긋난다고 보인다. 그렇지만 건강과 생산성, 실생활 전반, 때로는 생존에까지 커다란 영향과 위험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과학자는 진실과 공익의 측면에 서야 하고 정치적인 문제에 좌우되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논문 표절을 일삼았던 알사브티보다 정치와 야합하여 인종 문제를 야기한 두개골 용적의 새뮤얼 모턴, IQ지수의 시릴 버트, 소련의 리센코의 예를 볼 때 그 파괴력을 실감할 수 있다.

다른 책들에서처럼 지식과 과학의 사기꾼의 예를 듦에 그치지 않고, 이런 일이 일어나는 배경과 구조에 대해 자세하고 치밀하게 설명한 것은 이 책의 장점이자 독자층을 좁히는 문제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과학계에서 일하지 않았다면 이처럼 일관성있고 흐름에 따른 구체적인 문제를 제시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문장이 길고 복잡해서 번역하기에도 어려웠을 것처럼 보이고 그 때문에 명확하게 의미가 전달되지 않는 문장도 꽤 있었던 점이 아쉽고, 쓰여진 지 10년이 넘은 책이라서 아주 오래된 사례들이 주를 이룬 점도 그렇다. 현재 정설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는 이론들이 표절 또는 기만인지 밝혀지기까지 또 오랜 기간이 소요될 것이다.
어린아이들의 꿈이 더 이상 과학자가 아닌 지금, 과학자의 위상과 진실한 과학을 위해 인식을 바꿔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황 우석 사태를 겪었고 유교적인 도제 사회에 익숙한 우리 나라에서는 더 시급하다고 보지만, 세계적인 기만 사례인 황 우석 사태도 유야무야 넘어가는 것을 보면 우리 나라 과학계 전반의 반성과 재정립은 참으로 요원하다고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