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친구 - 행운의 절반
스탠 톨러 지음, 한상복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커피가 섞이면 조화로운 맛과 향을 만들어내고
사람이 어우러지면 행복과 성취를 만들어낸다 (273쪽)
나이가 들수록 친구의 소중함을 느낀다. 아이러니한 것은 나이가 들수록 또래 친구를 만나기가 어려워지며, 그 만남의 깊이도 일시적이 되는 확률이 높다는 것. 학교 다닐 때에는 그 많던 친구들이 다만 경쟁 상대로 여겨졌는데, 학교를 졸업하고 나니 그 친구들과 연락이 되지 않거나, 졸업 이후 살아온 길이 너무 많이 달라져서 더이상 친구가 되기 어려운 상태가 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인터넷 상에서 수많은 커뮤니티에 가입하고 활동하는 것에 매달리게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회사 동료들에게는 아예 친구가 되는 것을 기대하지 않았다.
그런데 <행운의 절반 친구>에서는 지금이라도 먼저 친구가 되어 줌으로써 친구를 만들으라고 말한다. 제로섬 게임에서 경쟁 상대로만 친구를 대했으나, 이제는 모두 행복해지는 플러스섬 게임을 하자고 말한다. 여기에서 친구는 동년배 사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배우자, 가족, 선후배, 직장동료, 함께 생활하는 동물에까지 넓어질 수 있다.
가족 안에서도 아주 외로웠고, 말을 더듬는 버릇 때문에 따돌림을 당했던 조, 그는 지금 연인과도, 회사의 같은 팀 내에서도 인간 관계가 원활하지 않다. 우연히 들른 커피숍에서 맥이라는 커피숍 주인을 만나게 되고, 그가 제공한 공짜 커피와 쿠폰 덕분에,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뭔가 돈을 벌 수 있을까 하는 속셈으로 계속 접근한다. 그에게는 밀려드는 청구서와 브로커에게 정보를 사면서 진 빚이 많았으니까.
그러다가 아무런 대가 없이 친구처럼 대해주는 맥에게 감동하고, 결국 그 감동과 기쁨을 부서 사람들에게 나누기 시작한다. 삐걱대던 연인과도 아주 좋은 친구 관계를 유지한다. 성과급에 목매달던 그는 이제 부하 직원의 취미 생활에 대한 관심, 개인적 어려움에 대한 배려, 사심 없는 기회 부여 등 진정한 친구로 바뀐다. 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며, 다시 생각하면 얼마나 쉽고 행복한 일이랴.
우화 형식의 책들이 다 그렇듯 너무 술술 풀리는 일들과 절묘한 타이밍의 우연들이 조금은 아쉽지만, 조에게 감정 이입을 해 가면서 읽었기에 참 따뜻하고 행복한 결말이었다.
어렸을 때로 돌아가 보자. 내가 학교에 다니던 때만 해도 수험에 대한 부담이 없었던 중학생 때라면 참 좋겠다. 좋은 것은 서로 나누고 선생님 흉도 같이 보고 맛있는 것도 나눠 먹으면서 별 것 아닌 일에도 함께 웃었던 친구들.
지금도 늦지 않았으니 따뜻하고 친밀한 일터, 오손도손 화목한 커뮤니티, 서로 배려하고 예의를 지키는 가족, 가끔씩 챙겨주는 선후배가 되도록 노력한다면, 예전에 전부라고 생각했던 모든 것을 잃었으나 더 큰 것을 얻을 수 있었던 조처럼 진정한 친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지금 내 곁에는 6살배기 친구가 자고 있다. 내일 아침에는 이 친구를 부드럽게 깨우는 일부터 시작해서 회사에서 만나는 친구들, 온라인에서 만나는 친구들에게 먼저 미소띤 인사를 건네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