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본대지진을 주제로 한 에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을 만화화한 것이다. 에니메이션과 소설에 없는 소타의 과거 이야기(2권)도 있지만, 대체로 동일본대지진 피해자들을 위로하고 실상을 보여주는 건 비슷하다. 스즈메가 고등학교를 다닌 미야자키현에서 일본에서 100~150년 주기로 일어난다는 큰 지진인 난카이 대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지금, 이미 지난해에 노도 지진을 경험한 일본인들의 입장에서 더는 피해가 없기를 바랄 뿐이다.
서울도서관에 비치희망신청해서 본 책이다. 팔레스타인 연대집회 참가 전, 후로 다 읽었는데, 읽는 게 힘들었다. 나는 뉴스로 보는 내용을 저자는 현장에서 경험한 것을 일기로 쓴 것이기 때문이다. 잘 읽었다. 앞으로 더 이스라엘의 패배를 위한 팔레스타인 연대운동에 참가해야겠다.
이스라엘이 인종학살 전쟁을 일으킨 이래 가자지구의 참상을 85일간의 일기로 기록한 책이 나왔습니다. 일기 한 줄 한 줄에 슬픔과 고통이 가득 배어 있는 책입니다.그러나 팔레스타인에는 저항과 희망도 있습니다.https://ws.or.kr/article/32965📰 구독📺 노동자연대TV youtube.com/c/노동자연대TV📱 안드로이드·아이폰 앱 ws.or.kr/s/app📮 매일 뉴스레터 구독 ws.or.kr/s/email⚡️ 텔레그램 ws.or.kr/s/tg🗞 종이신문 ws.or.kr/subs👉 후원(일시·정기) ws.or.kr/donation〈노동자 연대〉를 구독하고 후원해 주세요.기사 일부《집단학살 일기》는 이스라엘의 인종 청소 전쟁에 직면한 팔레스타인인들의 처절한 생존에 관한 기록이다.그러나 이 전쟁에 절망과 희생만 있는 건 아니다. 저항과 연대라는 희망도 있다.이스라엘군이 ‘평정’했다고 했던 가자지구 중·북부에서는 다시 저항이 일어나 지금 전투가 벌어지고 있다. 저자의 고향인, 완전히 파괴됐다는 자발리아 난민촌도 그중 한 곳이다. 지난 5월 이스라엘군 수석대변인 다니엘 하가리는 이렇게 말했다. “지난 몇 주간 하마스가 자발리아에서 군사력을 부활시키는 것을 목격했다.”이스라엘군의 만행에 맞선 저항도 악착같이 되살아나 이스라엘을 곤경에 빠뜨리고 있다. 팔레스타인인들은 식민 지배의 희생자이지만, 그 지배를 뒤흔드는 저항의 주체이기도 한 것이다. 그런 저항을 보며, 세계 곳곳에서 팔레스타인 연대가 자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