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살린 10명의 용기 있는 과학자들
레슬리 덴디.멜 보링 지음, C. B. 모단 그림, 최창숙 옮김 / 다른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교 1학년 아이들과 함께 이 책을 읽고 토론해 보았다.

아이들은 이 책을 다 어려웠다고 말한다. 글씨가 너무 작고 10명이나 되는 많은 과학자들에 대한 이야기인데다가 잡다한 사실까지 포함되어 있어서 복잡하게 느껴지고 잘 정리가 되지 않는 것 같다.

 

마리 퀴리를 제외하고 9명의 과학자들은 잘 알려지지 않은 생소한 이름들인데 (진짜 이 과학자들 이름을 도무지 외워지지가 않는다) 이들의 자기 인체 실험은 너무 놀랍다.

 

온도가 무려 72도로 올라갈 때까지 20분간이나 머물면서 온도에 따른 인체의 체온 변화를 실험했던 조지 포다이스,

소화실험을 위해 단단한 뼈를 통째로 삼킨 스팔란차니,

페루 사마귀병의 퇴치를 휘해 무시무시한 전염병균을 자기 몸에 주사한 카리온,

마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치명적인 아산화질소가스를 일부러 들이마신 웰스,

위험을 무릅쓰고 자신의 심장에 고무관 카테터를 삽입한 포르스만,

우라늄 원석을 추출하여 라듐 연구를 수없이 하다 방사능에 쏘인 퀴리,

호흡 연구를 위해 아들에까지 독가스 마시게 하였던 존 스콧 홀데인,

로켓썰매에 몸을 얹고 레일 위를 시속 1천킬로미터로 달리다 1초 안에 멈춰 서는 사상초유의 실험을 한 존폴스탭,

홀로 사막의 동굴에서 무려 131일 동안 갇혀지내는 고립실험을 한 스테파니아 폴리니

 

이 책에 나온 과학자들은 용기가 있는 헌신적인 과학자라고 해야 할까?  아니면 자신의 일에 몰두하다 보니 반쯤  정신이 나간 광적인 위험한 과학자라고 해야 할까?

이들의  무모할 정도로 용감하고 황당하기까지 한 이야기를 읽으면서 과학자들의 열정과 노력을  알 수 있게 될 것 같다.

분명한 것은 이들의 목숨까지 내놓는 자기 인체 실험이 있었기에 인류는 더 많은 과학적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인간은 더욱 안전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