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네 살, 비밀과 거짓말 (문고판) 네버엔딩스토리 10
김진영 지음 / 네버엔딩스토리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나는 이 소설에서 주인공 장하리의 가정 환경을 중심으로 감상해봤다.

이제 열네 살밖에 되지 않은 이 소설의 주인공 하리의 가정 환경을 보자. 우리 사회 하층민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아버지는 현장 노동자로 일하지만 가정에 별로 보탬이 되지 않으며 매일 술만 마시고 하리에게 별다른 관심을 보여주지 않는다.

아니, 이 소설 속에 그려진 모습으로는 자기 앞가림하기도 힘들다. 노동에 지친 심신을  술 한잔으로 채우고 집에 와서 밥먹고 자기 바쁘다. 아버지는 하리의 일상에 관심을 가지기가 힘들다.

어머니의 모습은 어떤가?  식당에서 일하며 자신의 정신적 상처나 허전함을 도둑질로 해소한다. 하리의 엄마 역시 자기 자신만의 삶도 버겁고 무겁다. 

경제적 궁핍이 대개는 정신적 궁핍으로 이어지듯 하리의 엄마와 아빠는 무엇인가 결핍되어 있고 불완전해 보인다.

지하에 사는 하리의 집처럼, 하리의 가정 환경은 굴속처럼 어둡지만 출구를 찾기는 쉽지 않다. 그래도 열네 살이기에 하리는 열네 살 소녀다운 발랄함이 있다. 보통 청소년처럼 좋아하는 가수가 있고 찌질하지 않고  뽀대나지 않게 옷을 잘 입는 남자 친구 성민이를 좋아한다.

한번의 도둑질이 예주라는  올가미에 갇혀 반복적으로 이어지는 것이나, 엄마의 그 변변치 않은 도둑질이 계속되는 것. 이것이 난 족쇄 같은 가난과 고통의 대물림으로  느껴졌다. 벗어나고 싶지만 벗어나지지 못하는, 지긋지긋한 가난과 보이지 않는 희망 속에서 거짓과 비밀로 숨겨진 떳떳지 못한 삶을 하리 역시 부모처럼 똑같이 반복해야만 하는가?

다행히 소설 속 하리는 야무지다. 하리는 자신의 도벽을 고치지 못하고 또다시 도둑질을 하는 엄마를 보면서 이렇게 말한다.



"엄마, 이제 일 다니지마!"

"하리야, 그래도 그건 안 돼."

"엄마는 그 아이 때문도 아니고, 병도 아니야. 엄만 버릇이고 중독이야. 아빠가 술을 안 먹으면 어쩔 줄 모르는 것처럼 엄마도 그런 거야. 아빠는 술로 인정하지 못하는 자신을 감추고 있는 거고 엄마는 훔치는 걸로 엄마를 감추고 있어. 그 순간은 편하겠지. 하지만 그다음은 어떤데?"

엄마가 나를 바라본다. 이 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도 안다.

"도둑년이라는 소리를 듣는 거야. 도둑년! 그리고 난 도둑년의 딸이 되는 거라구."


이 소설은 해피엔딩으로 끝난다. 적어도 하리는 불의의 추악함을 끊어내려 한다.

야무진 하리는 엄마, 아빠, 선생님께 자기 소리를 당당하게 낸다. 하리네 가족에게도 희망이라는 이름의 엷은 빛이 보인다. 


이 책은 열네 살 청소년의 눈높이에 잘 다가갔고 그들의 생활상을 사실감있게 잘 표현하였기에 재미있게 읽힌다. 또한 하층민 소녀의  삶과 고민을 아주 잘 그려냈다고 본다. 그러나 끝부분에서  작가의 친절한 모범답안 풀이 같은 주제 전달은 조금 과하다는 생각이 든다. 좀더 여운을 주는 방식으로 마무리해서 독자들의 감상의 몫을 키웠으면 더 좋았을 거라는 아쉬움이 들지만 전체적으로 좋은 소설이다.

소설 속 주인공 하리는 희망이 없는 굴 속 같은 어두컴컴한  삶에서 출구를 찾아가지만, 현실에서는 하리 같은 청소년들이 자꾸만 더 깊은 어둠 속으로 들어갈 것만 같다.  부모에게조차 관심이나 보호를 받지 못하는 하층민 청소년들이 가출하여 어두운 도시를 방황하며 가슴속에 분노와  미움을 담고 나쁜 어른들의 추악함을 닮아가고 있진 않은지...  우리 사회의 안전망이 더 든든해져서 그런 청소년들에게 작은 희망의 빛이 되어 주어야 할 텐데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것 같고....

가난은 잘못이 아니다. 그러나 그 가난에서 만들어지는 분노, 미움, 절망, 비열, 거짓, 범죄마저도 정당화될 순 없을 거다. 그런 추악한 이름들이 체화되어 '자신도 어쩔 수 없는 부모와 같은 똑같은 삶을 붕어빵처럼 찍어내며 살지 않도록' 더 크고 든든하고 촘촘한 사회적 안전망이 우리 청소년들에게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