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심채경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2월
평점 :
자신의 자리에서 그저 할 일을 매일같이, 성실하게 하는 사람이 쓴 글에는 항상 울림이 있다. 이 책 또한 그렇게 만들어졌을 것이다.
페이지를 넘길수록 저자에 대한 내적 친밀감이 무럭무럭 자라나는 책이다!! 나는 사실 저자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었는데도. 이 분은 박사, 교수, 방송에 출연하는 사람이며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사람이다. 요즘 언어로는 인플루언서라는 한 단어로 설명할 수 있겠다. 즉 나와는 전혀 상관없는 세계의 사람인데 어떻게 그렇게 느낄 수 있었을까?
생각해보면 책을 읽는 내내 다양한 주제 속에서 그가 하루하루 자신의 역할을 다하며, 다양한 일들에 대해 고민하며 살아간다는 게 느껴져서였던 것 같다. 예술적인 문장, 영감으로 가득찬 산문은 물론 멋지고 아름답고 가치있지만 읽고 나서 저자와 나 사이의 거리를 인지하게 되는 반면... 이 책은 그와는 반대로 읽으면 읽을수록 거리가 좁혀지는 기분이 들어 읽는 내내 즐거웠다.
물론 연구자로서의 역할이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맞벌이 워킹맘으로서, 개인으로서의 고민과 역할 또한 적지 않았다.
그러니 연구실에 홀로 남아 연구에 집중하는 밤은 정말이지 근사하다. 누군가로부터 전화도 걸려오지 않고, 누군가 찾아오지도 않으며, 아이를 먹이고 씻기고 입히고 재우는 일을 잊어도 되는 밤. 한 시간이든 세 시간이든 한 가지 주제에 오롯이 집중해 화장실 가는 것도 잊는 그런 밤.
연구하는 직업 뿐 아니라 그 어떤 직업이라도, 이렇게 일할 수 있다면 얼마나 멋진 일일까? 혼자 남아 일에 몰두하는 순간을 근사하다고 느끼는 것이 근사하다. 자신이 하는 일에 자부심과 애정을 가진 사람을 곁에 두고 싶다. 개인적인 친분을 쌓을 수 없다면, 그 사람이 남긴 글의 형태로라도.
어떤 일이든 힘든 면이 있지만(이 글의 연구실에서 밤을 새야 하는 상황처럼) 그것을 근사하다고 여길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천문학자가 <코스모스>를 완독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뭐 상관 없는 거 아닌가? (...) 그러니 이제 막 첫번째 조각을 집어들었는데 누가 와서 여러 조각을 촤라락 맞춰주고 가면 내심 화가 나는 법이다. 나는 이 책을 두고두고 조금씩 읽을 것이다.
이런 진솔함이 좋다. 남의 감동이 나의 감동이 되지 않는다는 부분이 흥미롭다. 저명한 우주학자의 글이고, 수많은 사람들이 그의 저작에 감동하고, 심지어 같은 우주를 연구하고 있는데도! 조언도 감동도 내가 필요한 순간에 내가 구할 일이다. 그 어떤 것도 마찬가지.
연구는 내가 인류의 대리자로서 행하는 것이고, 그 결과를 논문으로 쓰는 것이다. 그러니 논문 속의 '우리'는 논문의 등저자들이 아니라 인류다.
자연과학 전공자로서 그저 동의할 수 밖에 없는 문장이다. 때때로 나는 더 많은 사람들이 '우리'를 인류라고 생각한다면 이 세상이 얼마나 바뀔지 생각해보곤 한다. 아마 많은 결정들이 폐기되고, 수정되겠지. 절대 할 수 없는 행동들이 많아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