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땐 동물을 그렇게 키우고 싶었는데, 지금은 이 녀석이 나와 함께하는 마지막 고양이이기를 바라고 있다.


누군가 버려놓고 간, 이제 겨우 걷기 시작한 새끼 고양이를 버릴 수도 없고 맡길 곳도 없어 얼레벌레 약 2년을 같이 살고 있다. 귀여운 존재가 자연에서 도태되는 것을 눈 뜨고 보지 못하는 인간의 얕은 동정심이다. 그 때문에 이 고양이는 내게 대체 불가능한 소중한 존재가 되었지만, 나는 동물은 인간이랑 거리를 둘 수록 동물다운 삶을 살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내가 생각하는 동물다운 삶이란 그들의 본능이 충족되는 삶이다. 너희 육식동물들은 움직이는 생명체를 재빠르게 사냥해서 송곳니로 살점을 뜯어야 하고, 나무에 올라야 하고, 발정기에 새끼를 낳아야 하며, 그 새끼들은 대부분은 죽고 일부는 살아남아 자손을 낳아야 한다. 인간의 개입이 없으면 너희는 그렇게 산다.


하지만 우리 집 고양이는 자손 번식은커녕 동족 한번 못 만나고, 집 밖에 평생 나갈 일이 없을 것이며 같잖은 플라스틱 쪼가리로 사냥놀이를 하며 매일 동글동글한 사료만 씹어 먹으며 그렇게 안락하게 질병에 걸리지 않는 한 길고양이 수명의 몇 배를 살다가 죽겠지.


너의 본능은 인간이 허용된 장소에서만 해소될 수 있어. 긁는 행동은 스크래처에만 해야 해. 벽지를 긁거나 소파를 상하게 하면 인간은 그 행동을 금지하잖아. 얼마나 혼란스러울까? 저기서는 긁어도 여기서는 안 된다는 규칙이 실크벽지와 가죽소파의 가치라는 것이 없는 고양이의 세계에서도 합당하게 받아들여지는지? 요즘  '애완동물' 이라는 말은 '반려동물'로 대체되었지만 동물과의 관계가 애완(사랑하여 가까이 두고 보며 귀여워함)과 반려(생각이나 행동을 함께 하는 짝이나 동무) 중 어느 쪽에 더 가까운지 한번 더 생각해 볼 일이다.


자연에서라면 죽을 것이 분명한 생명을 살려서 인공물들로 가득 채워 키우는 자의 감정을 이입해서 오래도록 살게 하는 게 정말 맞는 걸까? 인간의 개입은 대체 어디부터 정당한 걸까. 자연 다큐 찍을 때는 펭귄 새끼가 얼어죽는 광경이 펼쳐져도 인간이 개입 안하는 게 맞다고들 하잖아. 고양이는 왜 그렇게 계속 살리고, 번식도 못 하게 하고, 집에 가두어 키울까. 인간이랑 너무 가까운 곳에 살고 있어서? 귀엽고, 키우는 게 가능해서? 


하지만 이것도 어디까지나 내 생각일 뿐, 고양이의 생각은 아니다. 내 생각이 틀렸을 수도 있지. 그래서 너무너무 물어보고 싶다. 넌 자연에서 험난하고 짧은 묘생이겠지만 본능을 억누를 필요 없이 자유롭게 살다 가는 삶이 좋은지, 우리 집에서 지금까지처럼 삶에 대한 어떠한 투쟁도 필요없이 가족들의 보호 하에 안락하게 살다가 죽고 싶은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잠자냥 2022-12-09 08: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공감 가는 글이 많아서 출근길에 쭉 읽고 있습니다. 그래도 길에서 고생하는 것보다는 나으리라 생각해요. 특히 한국 같은 데서는 길고양이 진짜 불쌍합니다…..

2022-12-12 17:03   좋아요 1 | URL
와 혼자만 볼 줄 알았던 누추한 글에 댓글이!! 맞아요 길냥이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삶이 참 고단하죠… 그와중에 고양이 혐오범죄까지 요즘 극성이라 너무너무 화나요ㅠ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