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남동생의 강철같은 긴 다리에 무참히 살해당했다.
완전히 뭉개졌다.
너무나도 끔찍한 현장이였다. 피갑칠를 몸을 보며 살이 떨렸다.
그런데 갑자기 시간이 살해당하기 바로 직전으로 뒤돌려 진다.
나는 그 현장의 앞에 까페 2층에 올라갔는데
의자가 2층에 꽉 차있었고, 사람들이 하나둘씩 차기 시작했다.
그리고 아래를 내려다 보니, 그 살해직전의 장면이 시작되기 전이였고,
앞에서 바라보던 그 장면을 위에서 다시 바라보게 된 것이다.
사람들은 도와줄 생각은 하지않고
마치 영화의 한 장면인듯 그 장면을 구경하였다.
나 역시 소리도 지를 수 없을만큼 너무 무서워서 그냥 보기만 했다.
그리고 나서 남자들 몇명이 남동생의 친구들 그들 역시 무서운 사람들이
집안을 돌아다녔고, 나는 우리아들을 안고 있으며, 그들의 눈치를 보았다.
방구석에 핏자국이 선명해 나는 이불을 덮어놓은채
그들이 집밖으로 나가기를 기다리다가 잠이 깼다.
몇일 전 H와 통화를 하고 꿈을 꿈이다.
이렇게 끔찍할 수가..
참담한 심정으로 아침에 일어나서
'부모살해꿈'이라고 검색을 했더니,
길몽이다. 원하는 일이 성사되는 꿈이라고 한다.
하지만, 너무 끔찍하고 서늘한 기분이 들었다.
죽음은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기에 흔히 길몽으로 불리운다.
부모의 죽음은 정신적 독립을 의미하기도 한다.
길몽과 정신적 독립,, 이 둘 다 이 꿈과는 별 관계가 없어보인다.
내 안의 어떤 것이 외부의 폭력으로 파괴가 되었고, 아직도 무서운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런 단순한 심몽 같기도 하고, 스트레스 한 표현 같기도 하다.
그 장면을 앞에서 한 번 보고, 위에서 한번 보고 있었다는 것은
나에게 일어난일을 한 가지 측면 말고 두 가지 측면으로 바라보라는 것이 아닐까.
정면에서 일어난 그 일을 너무나 무섭고 어떻게 할 수 가 없다.
하지만 위에서 바라본 일은 영화의 한 장면 같다.
좋게 표현해서 지금은 사건의 중심이기는 하지만 좀 더 객관적으로 넓게 보라는 얘기 일 수도 있다.
악몽은 기억하라는 메세지다.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였음으로 극단적 방법으로 표현했을 것이고,
또한 자고 일어나서도 기억하라고 가장 더러운 꿈을 만들었다.
지금 타인의 일을 보듯 나의 일에도 객관적인 시선이 필요하다는 뜻의 꿈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