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주 양육자가 엄마였고, 엄마가 특별히 직장 생활을 하거나 집을 비우지 않았다 하더라도, 아이를 학대하거나 미워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미묘한 상호작용을 해야 할 시점에 장기간의 산후우울증이나 부부간의 불화, 입원이나 집안 문제 등으로 아이를 정서적으로 잘 돌보지 못했을 때도 아이는 발달 트라우마를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문고 전문상담교사로 wee클래스 공간 활성화를 위해 어떻게 계획할까 고민 중에 만난 책.나의 자원과 이 책 내용 속 어느 지점과 함께 내년 계획을 해 본다.한 권의 책이 나오기까지 많은 고민과 경험, 투자 된 시간, 선택의 연속 나누어 준 내용 감사하고 또 체화해서 나 또한 나누어 보리라~
여러 얘기로 새롭게 생각거리 제공함
울타리를 무너뜨릴 때마다우리들은 더 큰 힘이 생기는 걸 느꼈어.
6살 남아가 시골에서 도시로 이사와서 유치원에서 또래관계 맺으며 있었던 한 에피소드에서 우리가 생각해 볼 부분을 안내 함.시간을 보낼때 성별로 대상을 규정하는 건지?생각거리 주는 대목.실수를 저지르는 것이 아이인지 어른인지?
"모두 다 제자리에 갖다 놔!이런 놀이는 절대 다시 하지 말거라."선생님은 나를 보면서 말했어.실수를 저지른 게 나였던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