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5학년 수학이 흔들린다 - 5학년 학생 50%가 수학 포기!
조안호 지음 / 21세기북스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수학이란 교과목에 대해서 다시 한번 깔끔한 정리를 할 수 있게 해 준 책입니다.

아이의 문제 채점을 하면서 보게 되는 문제에서 이런 형식으로 문제를 풀어야 하는 이유가 뭐지?

정말 우리때랑 다르네. 수준이 높네. 이래서 어찌 아이를 가르키나 ...

학교에서 선생님께 배우면 알겠지. 엄만 모르겠다. 밀쳤었는데 이젠 아니네요.

왜 그런 과정을 거쳐야 되고 어떤 내용으로 연결이 되는 지 감 잡았습니다.

시간이 되면 아이에게 필요한 맞춤 학습서를 손수 만들고 싶은 데 그건 장담을 못 하겠지만 부분적으로 구멍이 뚫린 건 해결 방안이구나 여겨지면서 조금은 안심이 됩니다.

집에 있는 문제집과 여러가지 수학 관련 책자를 다시 한 번 쭉~~ 보게 됩니다.

아이의 공부는 어짜피 아이가 하지만 조력을 하기 위해서 엄마의 역할은 분명히 있는 듯 합니다.

효과적인 맞춤 학습서의 예

해당 되는 교과서 단원

몫창에 쓰는 숫자들

암산력과 바르기, 자연수 확장에 대한 정리

진단 테스트지는 아직 펴지 않았지만 아이에게 해 보고 체크를 해 볼려고 합니다.

2학년 남자아이 이지만 뭔가 아쉽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이 책을 계기로 해서 기초력을 다질려고 합니다.

무조건적으로 문제집만 풀리는 것이 능사가 아니고 아이의 스타일 따라서 부족분을 체킹해서 개별지도를 해야 된다는 것을 느낍니다.

수학 용어 자체를 이해하게 하고 여러권의 문제집을 풀게 하는 것 보담 같은 문제집을 여러 번 풀게 하는 것이 아이가 수학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곱하기 같은 수의 덧셈     나누기  같은 수의 뺄셈

아이들이 금방 설명듣고 문제를 풀었다고 다 익숙하게 할 수 있다는 건 오산이란것. 반복해서 익숙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 시기가 될때까지 기다리고 체크해서 담 단계로 넘어가라는 말.

스스로 문제를 풀어보고 조금 개념이 잡혔을 때 공식을 알려 주라.

공식만으로 문제를 푸는 건 진정한 실력을 갖춘 것이 아니라고..

어느정도 감을 잡았을 때 공식을 잃어버려도 풀어낼 수 있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