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점심 시간에 동대문가서 내가 만들 목걸이 재료를 샀다..
갖가지 이쁜 색깔의 구슬들을 보는것 만으로 행복해진다..
담엔 엄마랑 같이 한번 가야겠다 ^^;;;
아침엔 좀 안좋은 소식을 들어서그런지
점점더 내 즐거움을 적극적으로 찾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저녘에 동화책을 주문했다.
서점가서 손에 느낌이 오는 놈을 떡하니 집어들고 오는 기분도 좋지만
이렇게 주문하고 기다리는 것도 한번 재미 붙이니 쏠쏠하다...
언넝와라 언넝와라~~ 뾰족산의 모험아!!!!
음.. 그런 동화책을 보고있음. 행복해 질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전이다.. 사전.. 롱맨의 초보자를 위한 사전..

분권해서 가방안에 넣고 댕기고. 가끔 지하철 안에서 꺼내본다..

가끔 아주 가끔..

원래는 공부를 하잡시고.. 단어볼거라고 시작했지만.

이건 영................ 고딩때도 안하던 짓 할라니 참 거시기 하당..

주말에 시험치기로 했는데 보기싫어 보기싫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을 주문했다..

작년에 the hours 영화보면서 많이 울었었는데...

중반부터 마냥 울었었다.

그녀들의 이야기와 그녀들이 느끼는 감정이 남의 것이 아닌듯 느껴졌기 때문이다.

남성과 여성이라는 관계에서 그녀들이 느끼는 그 외로움

그 벗어나지 못함이.. 그 갑갑함이.. 너무나도..

슬펐다고 말하기엔 좀 모자라는 거 같다...

평생을.. 의붓오빠들에게 당한 성추행으로 잠자리를 같이 하지 않고 각방을 쓰겠다는 조건으로 결혼해서 극진한 떠받듬을 받고있는 버지니아 울프도

아침일찍 꽃을 사다 바치는 50년대의 자상한 남편을 가진 그녀도..

레즈비언으로 파트너와 같이 살고 있지만 자신에게 사랑을 가르쳐준 남자를 잊지못하고 에이즈가 걸린 그의 곁에서 그를 돌보며 맴돌고 있는 그녀도..

시간이 지날수록 그녀들의 외부적 상황은 조금씩 좋아지지만

정작 그녀들을 더 행복해져 가는걸까..

마치 운명의 굴레와도 같이 어쩔수 없이 느껴지는..

그들의 고독함.. 소통할 수 없음..

어찌 보면 그녀 3명의 공통점은 그녀들이 여자라는 조건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여성이면서 불안정한, 어딘가 텅빈 곳이 많은 영혼을 지녔다는 것이리라..

특히, 두번째 여자-임신중이던-의 모습이 잊혀지지 않는다.

남편의 생일날 아들과 같이 케이크를 만들다가

발작적으로 그걸 쓰레기통으로 내버리는 모습

이웃의 부인이 유방암이던가? 자궁암으로 병원으로 향하는 모습을 보면서

그녀의 갈등은 더욱더 고조되고..

그날 밤... 남편은 런닝 바람으로 침대에서 아내가 빨리 침대로 오기를 기다리고

그녀는 그녀의 속에 감쳐진 격한 혼란 속에서

침실 옆 화장실에서 소리죽여 눈물흘린다.

남편은 그녀가 오기를 채근하고..

얼마나 싫을까 저 순간에.. 침대로 들어가 남편의 손이 닿으면.

자신의 생일이라 무언가를 기대하는 듯 보채는 남편의 모습과

어느날 갑자기 그것도 오늘 암이라며 병원으로 가버린 이웃여자의 모습과

내 속에서 자라고 있는 이 불안, 비틀어짐, 어긋남들을

그는 이해할 수 있을까

내 안에 있는 설명할수도 없는것들을 설혹 잘 설명한다고 해도 이런느낌이 그에게 가 닿을수 있을까

끔찍해........

아무 생각없이 웃고있는 그가

내가 힘들것을 염려해 아침을 준비하고 꽃까지 꺽어온 그가 끔찍해.

끔찍하고도 애처로와.. 그러고도 불쌍해..

이런 내가 내 안의 생명은 어떤 의밀까?

내 앞에서 나의 감정들에 전염되어가는 이아이는 어떨까?

보모에게 맡기고 차에 시동을 거는 순간

아이가 자지러 진다. 가지말라고 울면서 몸부림친다.

눈물이 난다. 내 마음을 아는 걸까..

저 몸부림도 보모에겐 그저 철없는 아이의 그것으로 보이는지 아이가 차를 따라가지 못하게 움직일수 없게 꼭 잡고만 있다.

-------------------------------------------------------------------

세번째로 나왔던 여자가 사랑한 에이즈 걸린 남자가.. 바로 두번째 나왔던 여자의 아들이었다.

두번쨰로 나온 그녀는.. 아들을 때놓고. 호텔로 가서 델러웨이 부인 소설을 읽으며 자살을 결심하지만,, 다시 집으로 돌아와서 둘째를 낳고 그린곤 떠나버린다. 남편은 상심한 나머지 알콜 중독으로 얼마지나지 않아 세상을 뜨고, 그 어린 아들은 그녀의 감정을 가장가까이에서 느끼고 자란 어린 아들을 예민한 감수성을 지닌 작가로 성장한다. 그 아들과 세번째 여자는 친구였으며 아들은 다른 남자를 사랑한다. 그러나 세번째 여자는 15살때 그가 그녀의 이름을 처음으로 부른 순간을 잊지 못한다. 그녀가 그를 위해 작가상 수상기념 파티를 열려고 하는날 그는 자신의 아파트에서 그녀가 보는 앞에서 뛰어내려 죽음을 맞이한다.

그날 저녘 화려한 파티 장식이 되어 있는 아무도 가득차 있지않은 거실에 벨이 울린다. 그의 어머니다. 그녀들은 그녀들의 슬픔을 대신 간직하고 뛰어내려 버린 그로 인해 조우한다. 그녀의 어긋남을 가지고 뛰어내린 그의 희생으로 인해 , 그녀들은 이제 행복해질까?

그녀들은 이제야 행복해질까...

라는 생각에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고 한참 뒤에도 눈물때문에 자리에서 일어날수가 없었다. 너무 많이 울어서 쪽팔렸을정도니까..

버지니아 울프의 책에 그리 많은 기대는 하지 않는다. 그 속에 어떤 내용이 담겨있을 지도 모르고,, 등대 인가? 읽다가 때려친 기억도 있어서 말이다.

하지만 나만의 방..방이 아니어도 나만의 물리적 공간이 필요하다. 어디든간에..

책을 읽으면서 생각해 봐야겠다

언넝와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행가서 보려고 두꺼운 책을 두권 샀다.
하나는 미스터리 걸작선 이라는 내용과 어울리지 않는 제목을 가진 추리단편소설모음집이고
하나는 류시화씨가 엮은 인디언 추장들의 연설 모음인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 이다.
두권다 내 손바닥 만큼씩 두껍다.
여행가서 한 4일동안 한적하게 책볼 요량으로 두꺼운거 골랐는데
막상가서 생각보다 이거저거 할게 많아서 책을 하루만 여유있게 읽었다.
두 권 다 마음에 들지만.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가.. 너무 마음에 든다.
침입자인 유럽의 백인들에 학살당하며 사라져가고 있는 인디언들의 이야기들
너무나 슬프고 그 슬픔을 담담하게 받아들이면서 절망하지 않는 인디언들의 태도가 부럽고
사진에 나타난 현자와도 같은 그들의 형형한 눈빛이 너무나 아름답고
왠지 그들 구전의 가르침과 우리네 수련할 때 나오는 얘기들이 일치할때는
역시 인디언은 한국인이랑 같은 뿌리일거야 하는 생각이 들고 그랬다.
인디언들은 소유라는 개념이 없었다 한다. 물집에 집착하지 않고 자기에게 소중한 것일수록 자기 주위의 사람들과 나누어야 한다고 배웠단다. 그들은 어머니 땅을 신성하게 여기며, 이 자연을 움직이고 순환하게 하는 위대한 정령의 큰 뜻에 자신들을 맡겼다.
우리가 옛날 영화에서 본 머리가죽을 벗기는 인디언.. 그건 백인들이 인디언 학살을 시작하면서 인디언 머리가죽을 벗겨오면 그에 따라 상금을 주기 시작해서 그랬단다. 자신의 가족들을 동족의 머리가죽을 벗겨가는 것을 보고 격분한 인디언들이 똑같은 방식으로 한거라고.
이미 백인들이 들어오기 이전에 중앙의 6개 부족은 연맹 체계를 갖추고 있었으며, 회의 자리에서는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말하는 지팡이가 주어진 순서에 따라 누구도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었다.
배가 고파서 음식을 도적질 한것은 그들에게 죄가 되지 않았으며, 그러나 물질의 탐욕이 있는 사람 물질에 집착하는 사람은 어린시절부터 그렇게 하다 망한 사람들의 우화를 들으며 성장했으며, 도적질을 한 사람은 평생 불명예를 안고 살아간단다.
그들은 어머니 대지와 위대한 정령이 이뤄내는 자연의 모습들을 최고의 미덕으로 여겼으며 자연의 모습에 감동을 느꼈다. 추장들을 루브르 미술관에 초청해서 그림을 보여준 뒤 멋지지 않냐고 백인들이 자랑하니까, 추장이 대답한다. 나는 이해할 수 없다. 왜 백인들은 조그만 사각천에 물감을 덧발라 놓은 것을 가지고 그렇게 소중히 여기는가? 그토록 아름다운 초원과 산과 강들을 더럽히면서 말이다.’
그것 자체가 신기했다. 하긴 언제나 살아서 움직이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 섭리의 신비함과 아름다움에 비하면, 우리가 그 명화라고 부르는 것들도 어쩌면 사각천에 물감을 덧발라 놓은 것일지도 모른다. 루벤스의 그림 하나면 기아로 고통받는 몇만명의 생명을 구할수 있을 런지 모른다. 지금은 멀리 떨어진 곳의 사람들의 기아보다는 그 루벤스의 그림이 더 가치 있는 것일뿐..

미타쿠예 오야신. 이라는 말이 있다. 인디언말로 세상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다는 거란다. 우리는 때때로 세상에 정말 혼자 내동댕이쳐 진거 같은 느낌을 받는다. 주위 사람들의 조그만 말에 크게 상처받고. 내가 힘들땐 누구도 나를 이해 못해주고 세상에 내 주위엔 아무도 없는거 같고. 내 몸이 아플땐 누구도 나의 고통을 이해 못해줄거 같은 가장 가까운 사람이라할지라도.그러면서 인간은 누구나 고독한 거라 애써 스스로를 위로한다. 그러나 인디언들은 아니라고 한다. 세상 어느것도 그 혼자서는 존재 할 수 없음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eylontea 2004-02-27 17: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는 왜 내가 아니고 너인가> 너무 좋지요... ^^
저는 전에.. 이번에 다시 나오기 전에 읽어더랬지요.... 개인적으로 류시화의시가 간지러워 싫으시다는 분도 계시지만.. 저는 좋아한답니다...
<삶이 나에게 가르쳐 준 것들>이라는 책을 10년전에 읽었을때부터 좋아하게 되었던 것 같아요... ^^
수필집은 좋아하지 않는 제가 유일하게 읽는 수필이 있다면 류시화님하고 법정스님 정도랄까...
 

 

모란함로진주과(牡丹含露眞珠顆) 
미인절득창전과(美人折得窓前過) 
함소문단랑(含笑問檀郞)
화강첩모강(花强妾貌强) 
단랑고상희(檀郞故相戱) 
강도화지호(强道花枝好)
미인투화승(美人妬花勝) 
답파화지도(踏破花枝道) 
화약승어첩(花若勝於妾) 
금소화동숙(今宵花同宿) 

 

----------------------------

풀이 하자면

부인이 남편에게 물었다.

제 손에 든 이 모란꽃과 저 중 누가더 어여쁘나요

남편은 짐짓 웃으며

그 꽃이 더 아름답소 하자

여자가 꽃을 내던지면서

화를 내며 하는말

"오늘 밤은 이 꽃이랑 주무세요"

 

아줌마 멋지다 왠지 ㅎㅎㅎ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eylontea 2004-01-01 19: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비연 2004-01-03 1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미있는 글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