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감상은 즐거운 일이지만, 쇼트나 앵글같은 전문용어를 들먹이며 영화를 해부하는 일은 참 재미없는 일이다. 그것은 전문가의 일이지 평범한 관객이 할 일은 아니다. 영화가 볼거리의 일종으로서 기능해온 역사 속에서 이런 문제는 결코 새삼스러운 것도 아니요, 비단 영화만 아니라 소설이나 시도 사정은 마찬가지이다.출판에서도 이런 사정은 마찬가지이다. 누구의 영화 읽기 식의 책은 좀 팔려도 히스의 이런 책들은 영화학도 외에는 관심 대상이 되기 어렵다. 그래서 그런지 영화나 문화 연구에서 중요한 저작이나 화제작들 중 해외 저작 상당수의 미번역 상태에 놓여 있다. 히스의 이 책이 읽힌다면 그것은 연구실이지, 지하철이나 버스깐이 아니다. 물론 나같은 사람은 번역이 안되면 원서로라도 읽어보겠다는 욕심을 부리는 편이지만, 히스의 이 책처럼 누군가의 노력으로 번역되어 나오면 반갑기 그지없다. 번역된 글을 읽으면서 역자가 상당히 애로가 많았겠구나 하는 마음이었는데, 이것은 전적으로 히스의 문체 때문임을 짐작할 수 있다. 역자가 번역한 지젝의 <비딱하게 보기>가 선사한 번역서 읽기의 기쁨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마치 한글책 읽는 것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는 번역서는 많지 않은 법.꼭 한 번은 읽어보고 싶었던 히스의 이 책을 번역하신 역자와 맹목적 투기(?)의 용기를 낸 출판사에 감사할 뿐이다. 역자의 머릿속에도 있겠지만, 영화 관련 서적 중 아직도 소개되지 않은 책들이 많은 줄 알고 있다. 로레티스나 멀비, 메츠의 책도 번역될 수 있다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