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말시티 15 - 완결
강경옥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1년 5월
평점 :
품절


정상/ 비정상의 이분법 (binary opposition)을 강경옥 님이 다룬 만화....난 개인적으로 어릴적에 눈물을 펑펑 흘려가며 읽은 별빛속에..에 대한 지고한 애착을 자기고 있는 고로, 이 만화 역시 주목해 가며 끝까지 읽었다. 결말은 역시나 진부했다. 그렇다고 이 작품이 재미없다던가, 작품성이 떨어진다던가 라고 말하기엔 이 작품에 대한 내 애정이 너무 크다.

이 작품에서 개인적으로 너무도 매료된 부분은 마르스가 양성인간으로 설정된 점, 화성을 세팅으로 한 꿈을 통해 이샤와 만나는 부분이었다. 전자에 대해선 좀 실망스러웠다. 마르스에게 양성인간이라는 것은 그녀에게 부여된 비 정상적인 특질 중 한부분이지 이를 통해 내가 기대했던 것만큼 성정체성의 사회적 의미라든가, 유전적 의미 등을 탐구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특이한것은 단순하게도 (단지 여자의 몸인 마르스인 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마르스 자신도, 독자들도 마르스 이자 가이를 여자로 다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강경옥에게 아쉬운 점 하나는, 존재론적 성찰류의 독백에 상당히 능숙하지만 늘...성정체성에 대한 부분은 비껴간다는 거다....(왜 그녀가 표현하는 사랑은 다 플라토닉하고 생각이 그리도 많고 지고지순한가..말이다...작품은 작가의 인간적 성숙도 역시 반영하지 않는가....이런점에서 작가가 사랑을 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면 내가 너무도 뻔뻔하게 그녀의 사생활을 건드리는 건가....) 이에 반해 꿈을 통한 그녀의 교감 능력은 상당히 독특했지만, 그녀의 이러한 능력은 채 승화되지도 못하고 오로지 물리적 파괴력만이 모든 문제 해결릐 열쇠가 되고 만다.

마르스와 트롤의 관계 역시 창조주와 이에 반항하는 르네상스적인 인간의 절규인데....닥터 프랑켄슈타인과 그가 만든 괴물 사이에서 이미 극명하게 드러나지 않았는가.쩝. 죽이고 싶지만 죽이지 않겠어....죽여달라는 네 무의식적 욕구에 절대 부합해 주지 않겠어....라며 마르스가 트롤과의 관계에 구둣점을 찍는 방식은 참신했지만....단지 그녀의 이전의 행동과 너무나도 대치된다는 점이...걸릴뿐이다. 왜 갑자기..한순간에 초월적인 시선을 가지게 된단말인가.

(글구...비너스는 모야...왜 배치된거야...머 중요한 역할을 할지 알았더만...왜 양성인 마르스인 생물학적 파트너는 첨부터 넘도 편하게 남자인 비너스라고 설정하고 넘어가는지...)

쓰다보니...마치 노말씨티의 단점만 줄줄이 열거한 셈이 됬는데, 이 작품이 그래도 높이 평가받을 만한 점은 정상과 비정상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했다는 거다....비정상이라고 사회적으로 규정되는 것들이, 미처 기존 사회 질서 시스템에 편입되지 못하고 혼돈으로 규정되는 파워들이 실상은 이 사회를 이끌어가는 힘일 수 있다는 점이다. 사회 속에 갇힌 정상적인 인간들은 자신들이 규정하고 정의한 정상의 범주에 갇혀 정상/ 비정상의 대립의 각을 뛰어넘기가 힘들다....

그럴때 구원의 힘은 정상인들의 변경에서 늘 오기 마련이다...비정상이라 규정된 그네들이 이 대립의 각을 무너뜨리며 새로운 대립항을 창출하는 거다. 그래서 비이성과,혼돈은 소중할 수 있으며, 비정상은 어디까지나 정상인들의 거울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이제 니가 지겨워
배수아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0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 - 아래와 같음.

독신이 유행이라면 기꺼이 동참할 것이요, 프라다 정장에, 시슬리 화장품에, 올리비에 머리핀이 유행이라면기꺼이 내 몸에 휘감으리라. 독신 여성의 성적인 자유가 붐이라면 내 어찌 외면하리오 - 한 몫 거들자. 뒤통수에서 내 다마를 깐 친구(?)들일망정 나와같은 부류와 어울려야 하며, 실제는 타인들의 시선을 끊임없이 의식하며...겉으로는 자의식 과잉인 척 하리라. 튀는게 한 추세라면 또 빠질 수 없지.

글쓰는 게 내 지적인 허영심을 만족시킨다면, 스왈롭스키보다 더 삐까번쩍한 악세사리라면 내 어찌 펜을 들지 않으랴.

tst tst ts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젤라즈니의 전도서에 바치는 장미 리뷰에다, 마치 화성인 vs. 지구남성 이  유색인종 vs.백인남성같다고 젤라즈니의 여성관에 유감을 표하는 글을 올렸더만, 음....17분중 2분 추천이란다. 자그만치 15명이 반대한다는 거다.

이상하다...골또롬.

왜 울 나라 마초들은 마초를 마초라 그럼 마구 화낼까 몰르겠다. 화내라지.

원래 진실을 들으면 화내는 족속들이 있더라만.

소통을 포기한지가 언제인데 말이다. 새삼 개의하랴~~~~~

 

젤라즈니의 전성기가 1970년대임을 고려할때 충분히 그러고도 남지 않는가 말이다.

구닥다리 시대 사람이니 이해해주자고? 아니, 난 공인에 대한 기대 수준이 엄청 높다.

시대를 초월하는 인식을 가진 고귀한 정신들을 알기에 더더욱 못그러겠다.

 

토마스 모어 - 전처의 죽음으로 맞이한 두번째 부인에게 진심으로 글을 가르치려고 했다. 여자와 대화를 나누어 보는 거 소원이라. (부인이 거부했다)

존 스튜어트 밀 : 프랑스 혁명 전 시대에 살았던 그는 여성도 가사노동의 굴레에서 해방만 된다면 남성과 다름없이 학문과 사회활동에서 동등할 거라고 '여성론'에서 주장했다. 서구 여성 최초의 여권 선언을 했던 매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선언보다도 한 시대 전에 말이다.

그렇게 보면 젤라즈니가 초라하지. -___-;

차라리 로렌스라면 이해해 주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LAYLA 2004-07-26 02: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저렇게 시대를 앞서나가는 남성도 있었군요 정말 칭찬해 줘야 겠어요 나중에 하늘에서 만난다면요..^^

톡톡캔디 2004-08-02 0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언젠가...좌담회 비슷한 모임에 간적이 있엇지요. 친구랑. 가는 길에 제가 흥분해서 모어는 어땠고, 스튜어트 밀은 어땠고...침을 튀겼는데, 하필 그 좌담회서 그러더군요. 서로 자기 친구를 소개하라고. -__-; 이노무 친구...절 가리키며, 존경하는 남자가 존 스튜어트 밀이래요...흑흑 분위기 엄청 썰렁했습니다. 역시 열정은, 취향은, 나 혼자 만의 것인지 과연.... 과연...흑흑.
 

어린 날 읽었던 몇권의 책은 무엇을 준다해도 바꿀 수 없네~

가슴에 깊이 새긴 그 때 감동은 일생을 두고 남는 것.

아동 도서는 계몽사~~~~

 

난 이 노래를 참 좋아한다.

계몽사 50권은 내 어린 시절 소중한 자양분이었다.

그립다. 계몽사 50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무비 2004-07-03 16: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북유럽동화집을 참 좋아했답니다. 그 중에서도 '별의 눈동자'.
오늘 마이리스트 처음 하나 만들어봤어요.
제목은 '사랑보다는 일이라고라?'
연애와 일, 결혼 앞에서 갈팡질팡하는 여성들을 위한 만화 모음이에요.

톡톡캔디 2004-07-27 0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태양의 동쪽, 달의 서쪽'을 제일 좋아해요. 일명 신랑 찾아 삼만리, 라고나 할까요 ^^; 호홋~ 이 동화에 삽화를 그린 Kay Neilson의 삽화는 정말 환상적이랍니다. (인터넷 검색해 보세용~) 아...이 삽화가는 옆에만 있다면 그 손이라도 잘라 내 소장하고 싶고, 저 동화는 제가 쓰는 (10년째 쓰는 중인) 네 첫소설의 제목으로 삼았지요....호홋..아마 죽기전에도 못쓸거라는...단지 이렇게 쓰고 나니 제가 참 엽기녀처럼 들리네요.
 

새로이 알게된 미국 일러스트레이터이다.

난 왠지 미국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이 사람의 삽화들은 너무나도 미국적인데 너무나도 좋다. (왠일이람!)

기존에 영어 회화 교재에 삽화로 들어간 이사람의 삽화를 몇컷 본적이 있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그의 삽화 중 하나 Shiner이다.^^;

음..Allposters.com이라는 포스터 판매 사이트에 들어가

록웰을 검색해보라!!!!! ^^;

사람들이 사는 모습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