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정의 습관
전경린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02년 1월
평점 :
품절


다른 인간과 교감을 꿈꾸면서도 그 교감의 수단이 사회화ㅡ 될 수 밖에 없음은 참 안타까운 일이다. 우린 길들여진 방식대로 자신을 표현할 뿐이다. 거기서 해방돼서 자신의 눈으로 자신을 바라보는 게 얼마나 힘든지. 난 섹스도 교감 중 하나라 생각한다.

전경린의 이 소설은 감히 여자의 입에 올리는게 터부시되었던 주제를 그렇게 사회화된 세대의 여자들을 주인공으로 그 세대에 속하는 작가가 터부를 깼다는데 의의가 있을 거다. 이 작품은 이후에 따라나올 많은 작품들의 stepping stone 이상의 의의는 없다.

미홍의 섹스에서 여자들이 꿈꾸는 이상적인 섹스가 무엇인지는 잘 드러난다. 다만 읽고나면 역시 소설이구나....하는 생각이 든다. too good to be ture일 분이다....후후.

상처받은 인교의 섹스가 차라리 더 리얼하다. 여자는 섹스중에 눈으로 많은 말을 하려고 하지만, 남자는 자신이 길들여진 방식대로 대담한 여자의 눈길을 따귀로 응징할 뿐이다.
상처받은 영혼을 들여다 봐달라는 절실한 호소는 늘....부질없는 육체의 끈질긴 몸짓과 메세지를 왜곡해버리는 매질, 공기 속으로 흩어질 뿐이고 상처받은 여자는 그저 계속 상처 받는 습관을 자신의 열정으로 나타내는 유일한 수단으로 기댈뿐이다.

외로움의 습관이 더욱더 많은 사람들을 섹스라는 교감 수단에 기대게 만들지만, 여기에도 역시 구원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이올렛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0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글쓰기는 종종 마스터베이션에 비유된다. 이 작품 내에서도 주인공 오산이의 강박적인 글쓰기가 종종 드러난다. 한 남자 작가의 글을 꼭꼭 강박적으로 베껴쓰는. 그녀의 글쓰기가 어떠냐고? 자신의 욕망을 결코 인정하는 법을 배우지 못한 글쓰기이고, 자신의 글 (the body of writing)의 주체가 자신 임을 절대 알지못하고 영원히 이미저리로, 피사체로 남기를 원하는 수동적인고, 더 나아가 노예근성에 배인 글쓰기이다.

그녀는 남성들의 글에 이미저리화 되는 (그래봤자 타자화되는 거지만) 여성으로서밖에 자신을 알지못한다. 그렇기에 그 강박적인 글쓰기는 결코 오르가즘에 이르지 못하는 질기고 긴 마스터베이션 같을 뿐이다. 그녀가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서 충족시키는 방법은
남성중심적 사회에서 잘 길들여진 객체답게 '적법'하게 강간당하는 것 밖에 없다. 실제 그리고 그렇게 오산이는 강간을 당하고 '소거' 되더군. 쳇.

난....이런 충족되지 못한 리비도 같은 글이 정말 싫다. 터져나와 폭발하는 균열을, 틈을 가진 텍스트 들이 좋다. 사비나가 공산치하 체코에서 사실주의 노동화만을 그리도록
강요받았을때 작업 중인 용광로 불길에 혼신을 쏟아 이글이글하는 자신의 예술혼을
언뜻 내비치는 '틈'을 만들듯이, 바이올렛 같은 자의식을 가진 여자라고? 그렇게 카메라에 피사체로 전락하고 싶은 가부지?

그렇게 글쓰기가 부여하는 일개 이미저리로 불멸화되고 싶은가부지? (르네상스 시대에 태어나지 참. - 인간들이 - 사실은 남자들 개인들만이 - 개인으로서의 자각을 시작할 때에 라우라로, 베아트리체로 불멸화된, 살과 피가 없는, 여자들이 있었는데 말야...후후. 감성이 딱 그시대 수준이구만.참 내.)

난 살과 피가 있는 여자가 좋아. 살과 피가 있는 글이 좋아. 그 살과 피를 으드득 으드득 으깨어 온 몸을 치장하는 칼리여신같은 분노의 글쓰기일망정, 그 살과 피를 보듬어 매일밤마다 오시리스를 새로 빚어내는 이시스 여신의 눈물과 환희가 되든. 그런 글이 읽고 싶어.

남자들의 피사체가 되고싶은 욕망밖에 그리지못하는 자의식이라면 '여류'하고 폄하되도 할말이 없을거야. '정의'하는 폭력앞에 늘 그렇게 마조히스트적인 쾌락을 맛보며 살기를, 축,복,해. 후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루 밑 바로우어즈 - 영화 '마루 밑 아리에티' 원작 시공주니어 문고 2단계 23
메리 노튼 지음, 베스 크러시, 조 크러시 그림, 손영미 옮김 / 시공주니어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린시절 셋방살이 요정이라는 낭만적인 제목으로 읽었던 책이다. ^^ (다시 나왔네~) 물건이 없어지거나 어디선가 부스럭 대는 소리가 나면 셋방살이 요정이 울집에도?하며 촉각을 곤두세우던 어린시절의 꿈이었다고나 할까. 마지막에 바로우즈네가 들켜서 둑밑으로 이사가 버려야만 했을때, 샘 역시 (어른이 되기 위해?) 그 곳을 떠나야만했을때, 결국...꿈을 믿던 이린시절에서 등돌려 어른이 되어야만 하는 아픔을 생생히 지금도 얘기해주는 내 기억속의 동화이다. 난....어른이 된 몸이 부끄러운 웬디야..역시.tst tst ts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앰버 연대기 1 - 앰버의 아홉 왕자
로저 젤라즈니 지음, 김상훈 옮김 / 예문 / 1999년 2월
평점 :
절판


앰버는 내가 닿고자 하는 당신이며,
앰버의 왕족이 그림자를 걷듯
나, 젤라즈니의 메타포를 통해
당신을 향해, 내 속의 앰버를 향해 걸을 수 있음을 믿는다.

단테가 신곡의 최 상층에서
겹겹히 둘러쌓인 장미 속에서 베아트리체를 만났듯,
패턴을 걷고 또 걸어
혼돈의 나의 뿌리임에도
각인하고 또 각인시키고
나의 앰버가 탄생하는 순간
나의 앰버가 나의 앰버가 아님 또한.....
당연하지 않은가.

젤라즈니가 내민 비밀의 화원의 열쇠는
저토록 빛나는군...그래.
내 것이 이리도 초라해 보이게 만들정도로.

강하고 끈질기고 모질다가도
우연처럼(?) 관대하질 수 있는 '코윈'이야말로
정말 현실에 살아가는 '나' 같지 않은가 말이다.

마지막으로 또 한번,
난 그네들이 저토록 맘껏 가져다 쓸 수 있는
저 풍성한 상징의 켜(layer)들이 넘 부러워.

내 안엔...바리데기 공주 빼고
또 누가 있단 말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엔더의 아이들 1 - 엔더 위긴 시리즈 4 엔더 위긴 시리즈 4
올슨 스콧 카드 지음, 장미란 옮김 / 시공사 / 2001년 6월
평점 :
절판


속편은 항상 부담을 안고 출발하기 마련이다. 기발한 상상력으로 출발한 1편, 철학적 깊이를 가진 2편과 3편에 이어, 상상력이 덜하고, 철학적 깊이가 덜한 4편으로 역시나 종지부를 찍고야 마는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제인이 결국 신의 경지에 까지 비유되다 못해 엔더의 아이우아가 구현된 육체 중 하나인 어린 발렌타인의 몸으로 '성육신'하는 경지까지 이르고 있으니 말이다.^^ 참으로 인간 중심적인, 참으로 서구적인 발상이 아닐 수 없다. 인간의 몸으로 끌여들여진 신이라니, 이질적인 존재라니 말이다.

버거여왕도, 피기도, 제인 조차도 변했건만 오로지 인류만은 틀에 갖혀 변하지 않음을 씁쓸히 보여준다. 헌드레드 월드에 퍼져사는 그 엄청난 수의 인류가 하나도 자랑스럽지 않다. 변화하지 않고 틀에 갖힌 인류라니 말이다. 결국은 피터에서 시작해 피터로 끝나는군. 쳇.

동양문명과 서사모아 문명에 대한 저자의 사고 방식을 통해 서구와 동양의 깊은 차이를 절감한다. 그들이 동양을 피상적으로 밖에 이해하지 못한다고 하소연을 한다면 크나큰 우주앞에 이토록 작은 별것도 아닌 차이를 앞에 두고 난 오리엔트를 스스로 오리엔탈화...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건 왜일까...

'피기'라 불릴 지언정 (그렇게 왜곡되게 정의 당하는 폭력을 당할지언정) 의사소통을 향한 손을 거둘 수가 없어서 그들의 우주선에 편승하는 '피기'로 그저 살아가야 하는 걸까.
'타자'로 사는 삶은 피곤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