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씨, 이씨를 낮춰 부르거나 친근하게 부를 때 김가, 이가라고 한다.

으레 이 가가 집 家겠거니 했는데 뜻밖에도 哥를 쓴다고.


나도 최근까지 몰랐고 다음 사례에서 보듯이 이거 모르실 분들 많을 듯 하다.


사례 1) www.ddanzi.com/ddanziNews/766161362

왜 윤가(家)놈인가

윤가놈. 건조하게 직역하면, ‘윤씨 가문의 남자’란 뜻이다. 여기서 ‘놈’은 상대방을 비하할 때 흔히 사용하는 왜놈이나 쌍놈의 ‘놈’과는 다르다. 나는 가치중립적 용어로 놈을 사용하는 것이니 오해하지 말고, 고소도 하지 말고 대승적으로 넘어가자.


그렇담 왜 윤놈이나 석놈 혹은 열놈이 아니라 윤’가(家)’놈인가. 그것은 이 사안의 엄중성, 역사성 때문이다. 생각해보라 강제징용 배상 문제가 어디 하루 이틀 된 문제인가. 짧게는 몇 년, 길게는 50년, 근본적으로는 100년도 더 되었다.


말하자면, 인간의 수명을 뛰어넘는, 개인의 역사 이상의 역사적, 민족적 문제라는 것이다. 이는 이 땅에 살아온 앞선 세대와 살아갈 세대 모두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 이 정도 스케일의 문제는 한 개인이 책임을 질 수 없고, 개인에게 책임을 물릴 수도 없다.


여기서 개인을 뛰어넘는 주체의 필요성이 대두되는데, 나이브한 사람들은 ‘윤석열 정권’을 들먹일지도 모르겠다. 틀렸다. 고작 4년짜리 정권이 이런 역사적인 일을 어찌 감당하겠는가.


못해도 성씨 하나, 가문 하나 정도의 사이즈는 나와줘야 이야기가 된다. 따라서 이 결단의 공과는 윤석열이 아니라 윤가놈에게 주어지는 것이 맞다. 윤석열을 이 땅에 나게 만든 윤 씨 선조들과 앞으로 이 땅에 살아갈 윤 씨 후손들 모두에게.


가문이 연대 책임을 지라거나 연좌제를 부활시키자는 말이 아니다. 애초에 나는 이 결단에 대해 좋니 나쁘니 어떠한 가치판단도 하지 않았건희와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에서 그런 일은 일어나서도 일어날 수도 없다.


다만 사안의 엄중함이 엄중함이니 대통령 윤석열이라는 용어로는 부족함을 느껴, 윤가놈이라는 용어를 불가피하게 사용하게 되었다. 윤씨 가문의 너른 양해 부탁드린다.


우리, 새끼손가락 마주 걸고 약속하자. 이번 결정에 찬성하건 반대하건, 이 사안을 논할 때만큼은 굥, 좋빠가, 윤짜장 등으로 국론분열 하지 말자고. 잘해도 윤가놈, 못해도 윤가놈. 윤가놈으로 통일하자고.



사례2) 여명의 눈동자 2, 김성종, 남도, 2003(3판1쇄), 109쪽

다른 하나는 노가(盧家)가 윤홍철이라는 인물과 가까이 사이라는 점인데 이것을 뚫어 보면 혹시 가능성이 있을지 몰라.




여전히 궁금한 게 하나 남는다. 왜 훨씬 본능적으로 자연스런 家 말고 哥를 쓰게 된 걸까?

궁금하다. 알게 되면 글 올려서 제 서재 손님들께도 알려드리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심술 2023-04-14 1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마 사촌으로 ‘정가형제‘란 이름으로 활동하는 정범식,정식 두 영화감독님들은 아셨겠지?
 

ㄱ) 어제 낮 kbs1 라디오 '김태훈의 시대음감'에서


김태훈(음악평론가 겸 진행자): 제가 어느 자동차 회사에 강연 갔는데 주차장에 보니까 그 회사 경쟁사 차도 많이 주차됐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강연에서 '이 회사 유연성 좋다 희망이 보인다'고 했어요.


김현준(손님이자 퍼블릭자산운용창립자): 제 아내가 L사 다니는데 직원들 모두 L사 휴대폰 써야 했어요. 그러다 L사가 휴대폰 시장에서 나가니까 직원들이 다 좋아했다더군요.


이랬는데 이걸 들으니 옛 생각 났다.

어릴 때 서울 종로구 청운동 살았는데

계동 현대사옥 지나다 보면 80년대 말에 딱 한 대 기아 프라이드 자리잡은 게 보였다.

늘 무슨 사연인지 궁금했는데 거의 서른다섯 해 지난 지금도 모른다.


눈치코치 안 보는 개성 쎈 직원일까

은인이 기아차 쎄일즈맨이여서 어쩔 수 없이 산 직원일까

또 다른 까닭일까?


ㄴ) 오늘 아침 kbs1 라디오 '뉴스월드' 듣는데


조윤주(외신캐쓰터 겸 김지윤 아나운서 대신 오늘만 임시 진행자): 윌 스미쓰의 '스위트 드림즈' 듣고 돌아오겠습니다.


'스위트 드림즈'는 '유리쓰믹쓰' 노랜데 하다가 조윤주 말실수가 아니라 내 귀실수였다는 걸 깨달았다.


유리 - 윌

스믹쓰 - 스미쓰


소리가 꽤 비슷하죠?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심술 2023-04-09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방금 kbs1 라디오 ‘정관용 시사본부‘ 에서 서울신문 송현서 기자가 뭔 말실수 했는데 불과 몇 분 지났는데 기억이 안 난다. 정반대로 말했는데 구체적으로 뭐였더라? 예를 들면 ‘민주당‘이라고 말해야 하는 데서 ‘국민의힘‘으로 말하는 유형 실수였는데.

hnine 2023-04-09 17: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비슷하네요. 유리스 믹스와 윌 스미쓰 ^^

심술 2023-04-09 17:27   좋아요 0 | URL
반갑습니다. hnine님.

예, 혼동하기 딱 좋아요.
 

어느 우리나라 유명 남배우가 토크쇼에 나와서 '나는 무명이고 돈많았으면 좋겠다'고 했다고 그 동안 여러 차례 여기저기서 듣고 읽었다.

유명배우라니까 당연히 돈은 많을 것인 이분이 사생활 침해받는 게 싫어서 이런 말 한 것으로 나는 생각했다.

그러니까 돈도 좋지만 사생활보호가 더 중요하다는 어떻게 보면 배부른 이의 반찬투정 같은 말인 줄로만 알았다.

수학적으로 표현해보면 '사생활 > 돈'.


그러다 최근에 김얀 작가의 '돈독한 트레이닝'이라는 책 읽다가 이 말을 다시 만났는데 처음으로 이름몰랐던 유명남배우가 류승수란 것도 알게 됐고 '난 모르는데 유명한 거 맞나? 누구지?' 궁금해 검색해 보다가 내가 그동안 이 말을 오해하고 살았다는 걸 깨달았다.

류승수씨 말은 '난 얼굴은 알렸는데 돈은 그다지 벌지 못했다. 차라리 남들이 얼굴 못 알아보더라도 돈 많이 버는 게 좋다'는 뜻으로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돈 > 사생활'을 강조한 거였다. 배부른 이의 반찬투정보다는 아직 배고픈 이의 절절한 심경고백에 가까운 말이고.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걸 절감했다.


혹시 바로 얼마 전의 나처럼 이 말의 참뜻을 모르시는 알라디너 분들 계실 거 같아 적어 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두 달 전 8월7일에 우리동네서 드라마 촬영한다고 썼는데

blog.aladin.co.kr/13829867

어제부터 mbc수목드라마로 방영한다.


두 달 전 스태프에게 물어보니 드라마 이름이 <일당매집사>랬는데

내가 잘못 들은 거고 <일당백집사>가 맞다.


나야 tv없어 못 보지만 우리 동네서 찍은 작품인 만큼 잘 됐음 좋겠다.


그러고보니 지난달에도 우리동네서 뭔 드라마 찍길래

드라마 이름 뭐냐 물으니 비밀이라 답할 순 없고 내년 방영된다 했는데

촬영용 버스에 온통 '무진'이라고 적힌 걸 보니 드라마 지리적 배경이

무진인가 보다.

아무래도 드라마작가가 김승옥 단편소설 '무진기행' 팬인듯.


내년에 '무진'을 배경으로 삼은 드라마가 뭔지 살펴보면 답이 나오겠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심술 2022-10-21 15: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blog.aladin.co.kr/temper/13829867

인데 잘못 썼구나.
 

아니네요.


제목 - 비트코인 600년만의 기회

출판사 - 샤샤

출판일 - 2022년 8월

글쓴이 - 도리도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