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벽한 날들
메리 올리버 지음, 민승남 옮김 / 마음산책 / 2013년 2월
평점 :
지난 주 내내 이명에 시달렸다. 혀가 마르고 까끌하여 모든 음식이 쓰게 느껴졌다. 일어서면 아뜩 어지럽고 전반적으로 기운이 없어 이것저것 검색하다 음허증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선무당이긴 해도 내가 나를 아는 측면도 있으니. 보신도 좀 해야겠지만 일단 감정의 평온을 찾는 일이 우선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읽은 지 좀 되었지만 다시 이 책을 펼쳤다. 나로선 해보지 못한 자연과 어울려사는 삶을 간접적으로 느껴보며 들어보지 못한 개똥지빠귀의 노래소리와 비버의 개구쟁이 몸짓 같은 걸 상상해보았다. 소박하고 정결한 메리 올리버의 문장을 따라가며 잔잔한 호수가에 앉아 머리가 맑아지는 느낌을 받았다.
메리 올리버의 산문집 <완벽한 날들> 앞에서 5년 전에 읽었던 김연수의 소설집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을 떠올린다. "Whoever you are, no matter how lonely/ the world offers itself to your imagination" 이미 유명한 인용으로 알려진 그녀의 시 '기러기Wild Geese'를 김연수는 서문에서 표제시로 인용하여 독자를 위로하고 있었다. 5년 전 그 소설을 끝까지 읽진 못했다. 내 안에서 끓던 모종의 감정이 그 당시로는 끝까지 흡입력을 방해했으나, 서문의 인용시만은 무한한 위로와 함께 가슴에 자리했고 눈물을 글썽이며 지인에게 메일로 소개한 적도 있다. 나만큼의 감흥이 없었던지 반응은 얻지 못했지만 나로선 상당히 호감가는 시였기에, 메리 올리버라는 시인의 이름은 몰랐어도 그렇게 인연이 닿아있었던 것 같다.
아흔이 넘은 나이에도 자연과 더불어 사는 일상 속에서 여전히 시를 쓰고 있는 메리 올리버의 산문집을 만난 건 행운이다. 그녀의 차분하고 정제된 글과 마주하며 내가 마치 고요한 우주 속에 조용한 사물로 자리하고 있는 듯한, 조용하면서도 격정적인 감정에 사로잡혔다. 에머슨의 정신과 호손, 워즈워드에 헌사한 듯한 에세이로는 메리 올리버의 정신적 본류와 문학관을 볼 수 있고, M과의 동반자적 생활에서 건져올린 소소한 일상의 느낌이나 자연과 동물에 대한 거리낌 없는 시선을 드러낸 글에서는 순수하고도 강인한 일면을 느낄 수 있다. 마지막 장에선 여러 편의 시를 함께 실어 우리에겐 덜 소개되었던 그녀의 시를 맛볼 수 있다. 자연시인, 생태시인으로 불리는 메리 올리버의 시에서는 거미 한 마리의 몸짓도 놓치지 않는 섬세한 시선을 통해 시인의 우주관이 담겨있다.
아름다운 영혼의 소유자 메리 올리버는 이 아름다운 우주에, 세상에 내가 무엇을 선물할 것인가를 생각한다. 내가 받을 것이 아니라 줄 것을 생각한다. 그녀는 아침산책을 하며 '감사'의 말들, 키스의 말들을 떠올리고 떡갈나무처럼 단순하고 헌신적이고 싶어 한다. 생쥐 귀 뒤의 털을 만지며 너무도 부드러워서 손가락이 황홀해지는 사람도 그녀다. '소중히 여기고, 걱정하고, 동정하고, 위안을 얻을 지각력 있는 생물체'가 하나씩 자신을 떠나가며 느끼는 상실감 앞에서는 조만간 구름으로 혹은 먼지로 무심하고 평온하게 흘러갈 그 생물체들을 상상하며 전능한 신의 창조성을 실감한다. "전능의 신들은 떠도는 먼지로 얼마나 풍요롭고 화려한 세상을 창조했는가!(124p)"
글쓰기에 대한 신념을 담은 좋은 글귀들이 눈에 띈 '가자미' 연작시 외에도 표제산문 '완벽한 날들'에서는 우리에게 완벽한 날은 어떻게 창조될 수 있는가, 어떻게 표현되고 상상되며 이야기될 수 있는가를 들려준다. 그것은 글쓰기에서의 완벽한 날들과 다르지 않다. 가장 마음에 닿았던 부분이다.
호손의 '일곱 박공의 집'에 대한 에세이에서 메리는 "결국 세상엔 몇 가지 이야기들밖에 없다. 사악함에 대한 이야기, 선에 대한 이야기, 사랑에 대한 이야기, 시간에 대한 이야기. 마법은 이야기하는 방식에 있다.(101p)" 고 했다.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끈기와 예리함을 지닌 독자들을 위해 아주 느린 템포의 공감 속에서 글을 읽게 한 호손의 이야기 방식, 산문성을 호평했다.
지금 당신의 날씨는 어떤가? 나의 날씨는 어떤가?
바람이 부는가? 어떤 바람이 찾아오는가? 어디로 부터 어떻게 불어오는가?
최소량의 날씨를 선호한 메리 올리버는 "문제는, 삶에서든 글쓰기에 있어서든 이야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혹독한 날씨는 이야기의 완벽한 원천이다(61p)" 라고 하면서도, 자신은 그런 장엄하거나 거대한 날씨에서 나온 이야기보다 호수의 표면에 둥둥 떠다니는 것 같은 평온함을 느낀 어느 여름 아침의 발작적인 행복감에 대해 들려준다. 특별한 것 없는 아주 평범한 순간, 폭풍우나 악천후 속에서 가능한 정신과 우주의 교감과는 차원이 다른 축복에 대해 나직히 들려준다.
그런 교감은 푸른 하늘의 축복 아래 햇살 가득한 세상이 평온을 구가하고 바람의 신이 잠들었을 때, 그 조용한 순간에 몰입하는 사람에게 일어나기 쉽지 않을까 한다. 그런 때 우리는 모든 겉모습과 부분성의 베일을 들추고 그 속에 숨겨진 걸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태양의 장미꽃잎들 속에 서서 바람이 벌의 날개 아래서 졸면서 내는 소리보다 크지 않게 웅얼거리는 소리를 들을 때 가장 강력한 가정에(심지어 확실성에까지) 이를 수 있을 것이다. 이런 평온한 날씨도 엄연히 날씨이며 보도할 가치가 있다. (63p)
또 한 가지 마음에 와닿은 건 습관에 대한 글인데, 메리 올리버는 숲속의 동식물이 생명유지를 위해 자연의 법칙에 따라 습관처럼 하는 삶의 양식을 찬양한다. 좋거나 나쁘거나 습관이 되어버린 것들을 답답한 것으로 치부하곤 했던 생각을 깬다. 균형 잡힌 삶을 사는 데는 습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그녀는 "우리 삶의 양식은 우리를 보여준다. 우리의 습관은 우리를 평가한다. 우리가 습관과 벌이는 싸움은 아직 실현되지 않은 꿈들을 말해준다(29p)"고 쓴다. 예리하다. 헌신과 유머, 둘 다에 진지한 여우가 되고 싶다는 메리 올리버는 또 얼마나 사랑스러운 시인인지.
화려할 수도, 소박할 수도 있지만 정확하고 엄격하고 친숙한 의례가, 습관이 없다면
신앙의 실재에(하다못해 도덕적인 삶에라도) 어떻게 도달할 수 있겠는가(애매하게 말고)? - 29p
* 생각과 감정의 균형이 좋은 메리 올리버의 산문을 읽고, '습관'에서 문득 생각나는, 영화 '철의 여인'에서 정계에서 은퇴한 노년의 마거릿이 의사에게 한 말. "사람들은 생각을 묻기보다 기분을 묻지. 왜지?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물어봐달라구. 나? 나는 생각을 조심하지. 생각은 말이 되고, 말은 행동이 되고 행동은 습관이 되고 습관은 성격이 되고, 성격은 운명이 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