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더 선 시스터 문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 나열된 얼마 되지 않은 한글책 중에 하나를 골라야 했으므로 별 기대없이 읽기 시작한 책이었다.
하지만 첫페이지를 넘기면서 시작해서 마지막 페이지를 다 읽고 덮을 때까지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
워낙 이야기가 짧고 가벼운 탓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그 시절의 내 모습이 선명하게 떠올랐기 때문이기도 했다.

고등학교때부터 친구였던 두 명의 남자와 한 명의 여자에 관한 이야기가 각자의 시선으로 전개된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첫번째, 여자의 이야기이다.
특별할 것 없는 평범한 여대생의 이야기.
그래서 더욱 마음에 와 닿는 이야기다.
마치 나 자신의 이야기 같기도 하고 혹은 내 친구의 이야기 같기도 한, 그런 사람에 관한 이야기.
나만 이토록 평범했던게 아니라는 사실에 묘한 위로를 받고 나도 모르게 주인공에게 동일시해 가면서
'맞아 맞아, 나도 그랬었지.'하고 맞장구를 치다보면 어느새 이야기가 끝자락에 와 있다.

「자의식 과잉인 주제에 콤플렉스 덩어리였고, 간신히 프라이버시를 손에 넣고도 외로움을 탔으며, 뭔가가 되고 싶어 죽겠는데 발을 내딛기는 무서웠다.
모든 것이 모순되고 삐걱거렸다. 그래도 그곳에서 발을 내디뎠으면 조금이나마 능력을 키울 수 있었을 테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고 모든 것을 작은 사이즈에 맞춘 탓에 스스로를 넓힐 기회를 놓친 채 시간을 보냈다는 생각이 든다. - 21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9월이 영원히 계속되면
누마타 마호카루 지음, 민경욱 옮김 / 블루엘리펀트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복잡하게 얼켜있는 등장인물들의 관계를 선뜻 이해할 수 없는 것은 문화 차이 때문일까.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전 남편의 의붓딸을 사랑하는 사이다와 밀회를 하는 주인공 미즈사와,

잔혹한 성범죄 피해자인 아사미를 치료하다 본가정을 버리고 그녀와 재혼하는 미즈사와의 전남편 유이치로,

의붓 어머니가 된 아사미를 사랑하는 미즈사와와 유이치로의 아들인 후미히코,

의붓 오빠를 사랑하게 된 후유코,

후미히코를 좋아해 후유코를 시기하다 사이다의 사고사와 후유코의 자살에 관여하게 된 미치코.


이밖에도 등장인물은 몇몇이 더 있지만 사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인물들은 아니니 빼기로 한다.

그들의 관계를 보는 것만으로도 뭔가 비정상적인 기운이 느껴지지 않는가.

행여 이들의 복잡한 관계에 남득할만한 개연성이라도 있었다면 그런대로 괜찮았을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 덧붙여 불쾌함이 느껴지는 대목이 있다.

그것은 이 소설의 발단이 되는 후미히코의 실종사건에서 중심인물이 되는 아사미에 관한 것이다.

그녀는 이야기의 전면에 나서지는 않지만 등장인물들의 관계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인물로 잔혹한 성범죄의 희생자다.

작가는 미즈사와의 생각을 빌어 아사미가 잔인한 성범죄의 희생자가 된 이유를 설명하는데

그녀의 몸에 흐르는 소토오리히메라는 것이 남자들의 이상한 욕망을 불러 일으켰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런, 작가는 처참한 범죄의 희생자가 그런 운명일 수 밖에 없었다고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마치 중세시대 마녀사냥을 연상케 한다.

가해를 하도록 만든 그 무엇인가가 이미 피해자에게 존재한다는 식의 망상으로

가해자의 폭력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비정상적인 논리.

이 논리대로라면 피해자는 그런 일을 당해 마땅한 사람이 되고 만다.

이런 논리는 조금 억지스럽다.


그리고 또 하나, 400페이지가 넘는 꽤 두꺼운 분량의 실종사건의 전말이

책의 말미에서 갑작스럽게 일단락되는 것은 무척 당황스러운 경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와 춤을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61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브라더 선 시스터 문]을 읽고 주저없이 그녀의 책을 선택했다.

첫번째 이야기는 열린 결말로 끝이 나지만
가바시마가 실종되기 전 설정해 놓은 장치들을 쫓아 가면서
이 단편집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그러나 끝까지 읽고 보니 이것은 단편집이라기 보다는
작가의 아이디어 노트같은 느낌이 더 많이 든다.
독특한 설정이나 독특한 구성으로 엮인 이야기들은
장편으로 풀어내면 더 재미있을 것 같다.
이미 그런 책들이 나와 있는지도 모르지만.

책의 맨 뒷편에 쓰여진 작가의 말을 보니
작가 스스로도 몇가지 단편들은 더 긴 이야기로 써보려다가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아 미처 그렇게 하지 못했다고 써 놓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술은 속삭인다 미야베 월드 (현대물)
미야베 미유키 지음, 김소연 옮김 / 북스피어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순전히 작가의 이름때문이었다. 왠지 낯익은 이름. 그렇다고 정확히 누구인지는 모르겠는 어이없음. 그 의문이 풀린 것은 책의 마지막 페이지, 그러니까 번역자의 글 뒷 편에 아주 작은 글씨로 씌인 '미미여사'라는 단어덕분이었다. 일본 작가의 미스터리 장르 소설에 막 재미를 붙인 때, 이런 저런 블로그를 통해 리뷰를 읽고 있었는데 그 중 한 곳에서 미유베 미유키라는 작가를 언급했고 그녀의 닉네임이 미미여사라는 글을 읽은 적이 있었다. 그때의 기억이 이 책을 읽게 된 계기가 된 것이다.

소설의 앞부분엔 여러 인물에 관한 짧막한 이야기가 속도감있게 언급된다. 도대체 누가 등장인물이 된다는 것인지, 그들의 관계가 어떻게 연결되는 것인지, 그래서 무슨 이야기를 하려는 것인지 혼란스럽다. 그러다 스가노 요코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가 묘사되고 마모루라는 소년이 사건의 중심에 등장하면서 비로소 독자는 소설의 흐름을 따라가기 시작한다.

미야베 미유키는 사회파 미스터리 작가라고도 불린다고 한다. 사회문제에 대한 깊은 관심을 작품에 녹아낸다는 것이다. 이 소설도 마찬가지다. 이것은 단순히 자살을 빙자한 살인사건에 관한 이야기만이 아니다. 물질만능 대한 비판, 대중의 소비를 부추기는 비윤리적 수단에 대한 고발 그리고 출세를 위해 양심을 팔아버리는 비도덕적 행태등 사회문제의 민낯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그러나 그것을 드러내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마모루라는 소년을 등장시켜 우리가 살아가는 이 사회에서 도덕적 가치와 인간적 정의로움이 여전히 유용하다는 것과 우위에 있다는 것을 환기시킨다. 결국 권선징악의 교훈인 셈인데 조금 아쉬운 것은 요시타케의 자수가 그의 의지에 의한 것이 아니라 체면술의 힘을 빌려 이루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여러가지 범죄와 관계가 얽히고 설킨 상황에서 '소년' 마모루의 힘으로 풀어내기에 그 부분은 역부족이었나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순간
가와하라 렌 지음, 양윤옥 옮김 / 지식여행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사랑하는 자를 한순간 잃고 슬픔과 혼돈에 빠진 이즈미.
방황하는 그녀가 가진 단 하나의 의문은 준이치를 잃은 사고 당시의 사라진 기억이다.
그리고 계속되는 같은 꿈.

사랑하는 이에대한 추억과
끊임없는 슬픔과 아쉬운 치유의 과정.
그리고 선물처럼 주어진 또 다른 생명.

아름답게 포장된 살짝 당황스러운 결말.
사춘기 소녀의 꿈같은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